• Title/Summary/Keyword: 외국어 정확성

Search Result 17,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Reading Fluency and Accuracy for English Language Acquisition in EFL Context. (외국어교육 환경에서 영어습득을 위한 읽기유창성과 정확성에 관한 연구)

  • Shin, Kyu-Cheol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3
    • /
    • pp.249-256
    • /
    • 2018
  • This study aims to explore efficient foreign language learning paradigm with a focus on reading fluency and accuracy. From a perspective of language acquisition in the foreign language context, the priority in the L2 learning between accuracy and fluency has been a very important issue. Fluency becomes an important issue due to many researchers' interests in the L1 and L2 classroom. Although both accuracy and fluency are crucial, the paradigm shift from fluency to accuracy is necessary in the foreign language teaching. In this context, as an alternative methodology for L2 learners' fluency, the extensive reading approach is provided. A number of studies have suggested that extensive reading program could lead to improvement of L2 learners' reading rate and is an effective approach to improving general language proficiency.

The Effect of Overseas Language Training on the Development of Foreign Language Accuracy (해외어학연수의 외국어 정확성 향상에 대한 효과)

  • Cha, Mi-Yang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8 no.4
    • /
    • pp.93-99
    • /
    • 2020
  • The Journal of Industrial Management Society in Republic of Korea. In order to explore the effect of overseas language training on the development of foreign language accurac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rrors in English compositions produced by 27 Korean university students who received overseas language training for 15 weeks. For data collection, students were made to take two tests, a pretest and a posttest, a semester apart. The differences in composition elements and errors between the two tests were examined and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showed that while the average length of the compositions and sentences increased, the number of sentences decreased in the posttest. Also, more errors were found in the posttest where the students tried to construct more complex sentence structures. The students' ability to generate sentences were found to have improved, while their competence in using grammatical elements accurately within sentences did not see great improvement. This implies that overseas language training was not effective for aiding the development of one's grammatical accuracy of a foreign language over a 15-week period for the students.

A study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naive propensity score adjusted estimator using double post-stratification method (나이브 성향점수보정 추정량의 정확성 향상을 위한 이중 사후층화 방법 연구)

  • Leesu Yeo;Key-Il Shi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6 no.6
    • /
    • pp.547-559
    • /
    • 2023
  • Proper handling of nonresponse in sample survey improves the accuracy of the parameter estimation.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properly handle MAR (missing at random) nonresponse or MCAR (missing completely at random) nonresponse. When nonresponse occurs, the PSA (propensity score adjusted) estimator is commonly used as a mean estimator. The PSA estimator is known to be unbiased when known sample weights and properly estimated response probabilities are used. However, for MNAR (missing not at random) nonresponse, which is affected by the value of the study variable, since it is very difficult to obtain accurate response probabilities, bias may occur in the PSA estimator. Chung and Shin (2017, 2022) proposed a post-stratification method to improve the accuracy of mean estimation when MNAR nonresponse occurs under a non-informative sample design. In this study, we propose a double post-stratification metho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naive PSA estimator for MNAR nonresponse under an informative sample design. In addition, we perform simulation studies to confirm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Bias corrected non-response estimation using nonparametric function estimation of super population model (선형 응답률 모형에서 초모집단 모형의 비모수적 함수 추정을 이용한 무응답 편향 보정 추정)

  • Sim, Joo-Yong;Shin, Key-Il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4 no.6
    • /
    • pp.923-936
    • /
    • 2021
  • A large number of non-responses are occurring in the sample survey, and various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deal with them appropriately. In particular, the bias caused by non-ignorable non-response greatly reduces the accuracy of estimation and makes non-response processing difficult. Recently, Chung and Shin (2017, 2020) proposed an estimator that improves the accuracy of estimation using parametric super-population model and response rate model. In this study, we suggested a bias corrected non-response mean estimator using a nonparametric function generalizing the form of a parametric super-population model. We confirmed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estimator through simulation studies.

A Study on the Problems of AI-based Security Control (AI 기반 보안관제의 문제점 고찰)

  • Ahn, Jung-Hyun;Choi, Young-Ryul;Baik, Nam-Ky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21.10a
    • /
    • pp.452-454
    • /
    • 2021
  • Currently, the security control market is operating based on AI technology. The reason for using AI is to detect large amounts of logs and big data between security equipment, and to alleviate time and human problems. However, problems are still occurring in the application of AI. The security control market is responding to many problems other than the problems introduced in this paper, and this paper attempts to deal with five problems. We would like to consider problems that arise in applying AI technology to security control environments such as 'AI model selection', 'AI standardization problem', 'Big data accuracy', 'Security Control Big Data Accuracy and AI Reliability', 'responsibility material problem', and 'lack of AI validity.'

  • PDF

Bias adjusted estimation in a sample survey with linear response rate (응답률이 선형인 표본조사에서 편향 보정 추정)

  • Chung, Hee Young;Shin, Key-Il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2 no.4
    • /
    • pp.631-642
    • /
    • 2019
  • Many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solve problems found in sample surveys involving a large number of item non-responses that cause inaccuracies in estimation. However, the non-response adjustment method used under the assumption of random non-response generates a bias in cases where the response rate is affected by the variable of interest. Chung and Shin (2017) and Min and Shin (2018) proposed a method to improve the accuracy of estimation by appropriately adjusting a bias generated when the response rate is a function of the variables of interest. In this study, we studied a case where the response rate function is linear and the error of the super population model follows normal distribution. We also examined the effect of the number of stratum population on bias adjustmen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estimator was examined through simulation studies and confirmed through actual data analysis.

Bias corrected imputation method for non-ignorable non-response (무시할 수 없는 무응답에서 편향 보정을 이용한 무응답 대체)

  • Lee, Min-Ha;Shin, Key-Il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5 no.4
    • /
    • pp.485-499
    • /
    • 2022
  • Controlling the total survey error including sampling error and non-sampling error is very important in sampling design. Non-sampling error caused by non-response accounts for a large proportion of the total survey error.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handle non-response properly. Recently, a lot of non-response imputation method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and traditional statistical methods have been studied and practically used. Most imputation methods assume MCAR(missing completely at random) or MAR(missing at random) and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focusing on MNAR (missing not at random) or NN(non-ignorable non-response) which cause bias and reduce the accuracy of imputation. In this study, we propose a non-response imputation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non-ignorable non-response. That is, we propose an imputation method to improve the accuracy of estimation by removing the bias caused by NN. In addition,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is confirmed through small simulation studies.

KTX passenger demand forecast with multiple intervention seasonal ARIMA models (다중개입 계절형 ARIMA 모형을 이용한 KTX 수송수요 예측)

  • Cha, Hyoyoung;Oh, Yoonsik;Song, Jiwoo;Lee, Taewook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32 no.1
    • /
    • pp.139-148
    • /
    • 2019
  • This study proposed a multiple intervention time series model to predict KTX passenger demand. In order to revise the research of Kim and Kim (Korean Society for Railway, 14, 470-476, 2011) considering only the intervention of the second phase of Gyeong-bu before November of 2011, we adopted multiple intervention seasonal ARIMA models to model the time series data with additional interventions which occurred after November of 2011. Through the data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s of various interventions such as Gyeong-bu and Ho-nam 2 phase, outbreak of MERS and national holidays, which affected the KTX transportation demand, are successfully explained and the prediction accuracy could be quite improved significantly.

초등영어교육에 있어서 발음교육

  • 박매란
    •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 /
    • 1997.07a
    • /
    • pp.257-257
    • /
    • 1997
  • 우리 나라에서 초등영어 교육이 실시되는 연령층이 언어습득 분야에 있어 그렇게 일찍 언어학습을 시작하는 것이 학습효율성의 측면 또는 언어숙달도 측면에서 과연 이로운지에 관해서는 학자들간에 아직도 논쟁의 여지가 많다. 피아제의 인지발달론에 의하면, 의식적 조작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분야가 바로 발 음분야이기 때문에, 따라서 의식적 조작이 이루어지는 '형식적 조작기'이전인 10-11세 정도에서부터 음성언어 중심의 외국어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따라서 듣기와 말하기의 기능에 주안점을 둔 초등영어 교육은 감각과 놀이, 게임, 노래나 챈트 둥으로 흥미를 지속시키면서, 영어의 특질인 강세박자리듬언어(stress-timed rhythm language)의 특성올 초창기부터 듣기 및 말하기 훈련으로 지속적으로 연습시킬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James Asher가 창안한 교수법인 천신반용볍(Total Physical Response)도 초기에 말하기에 대한 부담감 없이 흥미 있는 활동을 통하여 학습동기를 높여줄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었다. 뿐만 아니라, 청취단계에 있어서 초기에는 귀로들은 외국어를 무조건 기억하지 않고 즉각적인 인지로 끌어내어, 점차 이와 같은 인지훈련을 반복함으로써 결국에는 기억에까지 도달하려 하는 초기학습에 중한 역할을 차지하는 학습법이다. 음성학적인 측면에서 초동영어 교육의 시작단계인 3학년에서는 특히 분절음소 차원에서 영어의 자,모음이 우리말의 자,모음과는 다르다는 차이점을 배우게 되고, 초분절 음소 중에서는 강세와 리듬의 차이를 자연스럽게 습득할 수 있도록 정확한 발음을 들려주어 정확한 발음을 해 낼 수 있도록 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제6차 교육과정의 영어교육 목표가 언어의 '정확성'보다는 '유창성' 에 그 목표를 두고 있는 점을 감안한다면, 시작단계부터 반드시 정확한 발음을 지녀야 하는 가의 문제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정확한 발음은 그 언어에 대한 숙련도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이와 병행하여 이루어지는 경우도 흔히 경험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결국 초등영어 교육과정에도 명시되어 있듯이 '...영어에 대한 친숙함과 자신감을 심어주고, 영어에 대한 흥미와 관심을 지속적으로 유지시키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중요한 측면은 흥미와 관심을 유지시키는 지적인 학습활동보다는 정의적인 학습활동의 전개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의사소통식 영어 발음지도

  • 김정렬
    •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 /
    • 1997.07a
    • /
    • pp.45-60
    • /
    • 1997
  • 의사소통식 영어교수법은 Widdowson (1978)이래, 과거 20여 년간의 여러 외국어 교수 방법들을 (침묵식 교수법, Gattegno; 자연적 교수법, Terrell & Krashen; 전신반웅 교수법, Asher; 집단언어 학습법, Curran; 암시적 교수법, Lozanov) 거치면 서, 이들 중에서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한 여러 가지 방법을 총괄하여, 명실공히 외국어 교육 방법의 중심으로 그 자리를 갈수록 확고히 잡아가고 있다. 의사소통식 교수법은 우선 언어란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이며, 의사소통은 사회 속에서 일어나는 사회 언어적 행위로 본다. 따라서, 외국어 교육의 목적을 무엇보다도 의사소통 기능의 숙달에 두는 것이다. 일반적인 의사소통 상황을 보면 발화내용의 문법적 정확성은 그 상황에 대한 내용의 적절성 여부에 비하면, 부수적인 것이다. 예를 들면, 사과를 하는 의사소통기능을 공부하면서, 사과하는 표현으로 Sorry라는 말을 썼다고 하자. 이때, 영어는 주어 생략 언어가 아니기 때문에, Sorry 대신에 문법적으로 완전한 문장인 I'm sorry 로 표현해야 한다는 문법적인 문제보다는 사과하는 표현이 그 상황에서 적절하게 쓰인 것인지를 묻는 것에 초점을 맞춘 것이 의사소통식 교수 방법이다. 현재, 초등학교 16 종 영어 교과서도 의사소통 기농들을 적절한 상황에 맞춰서 의사소통식 교수 방법의 정신을 비교적 잘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발음에서만큼은 아직도 의사소통식 교수방법을 무시하고, 정확한 발음의 명시적인 설명이나, 예시에 그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러한 경향은 교육부에서 고시한 제6차 교육과정과 이에 따른 해설서에서 되풀이되고 있다. 발음지도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많은 양의 지면을 할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후에 흐르는 의사 소통식 영어교육의 맥을 완전히 끊고, 단지 정확한 발음의 해부학적 예시와 기술에 그 치고 있다 (임영재 외 1995). 이러한 발음기관의 단면도를 이용한 해부학적 발음의 예시는 특정 자음의 정확한 혀의 위치를 알려 줄 수는 있지만, 발음훈련을 대신하지는 못한다. 예를 들어, 자전거를 타고자 하는 사람이 자전거의 페달을 밟았을 때, 그 동력전달 과정을 자세히 소개한 책자를 읽었다고 해서, 자전거를 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역시, 자전거를 타고자 하면, 실제로 타고 넘어지면서 배우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발음훈련의 경우 교재의 내용이나 의사소통 기능은 의사소통식으로 가르치면서도 발음만큼은 아직도 원어민의 입모양을 활용한 듣고 따라하기 식의 전통적인 방법의 발음훈련을 계속하고 있다. 이러한 전통적 발음훈련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 장에서 제시되겠지만, 초등학교에서 듣고 따라하기나 듣고 골라내기와 같은 방법으로 발음훈련을 하면, 많은 학생들이 쉽게 지루해 하고, 아마 영어시간 중에서 가장 싫어하는 시간이 발음연습 시간이 될 가능성이 많이 있다. 현재 의사소통식 교수 방법을 모태로 한 교과서에서도 의사소통식 발음지도법을 쓰지 않았다는 것은 새로이 시작하는 초등학교 영어교육에서 아쉬운 점이라 아니할 수 없다. 초등학교 학생들에 대한 발음 지도의 핵심은 그들의 지적, 정서적, 신체적 특징을 잘 고려해야 한다. 초등학교 학생은 지적, 정서적, 신체적으로 성장기에 있어서, 호기심이 많고, 모방성이 강하며, 감수성이 예민하여 마음에 상처를 받기도 쉽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끊임없이 신체적으로 움직이고 싶어한다. 이러한 학생들의 특정 을 반영하여 발음을 지도하는 길은 역시 초등학교 교과서의 다른 영역들처럼, 학생들은 움직이는 활동을 하면서 재미를 느끼고, 교사는 이들 활동을 통해서 교수목표를 성취하는 쪽으로 맞추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발음지도가 필요한 이유와 요인을 살펴본다. 그리고, 전통적인 발음지도 방법을 일별해 보고, 의사소통식 발음지도법을 제시하는 순으로 논의를 전개하기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