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과적 손 소독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손 소독제 및 소독방법에 따른 외과적 손 소독 효과 (Comparison of Surgical Hand Scrub Formulations and Scrub Methods for Antimicrobial Efficacy)

  • 김명숙;김경자;신영란;박광옥;문향미;정재심;김미나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9권2호
    • /
    • pp.118-124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ree surgical scrub methods-4% chlorhexidine gluconate(CHG) with brush, 4% CHG without brush, and waterless scrub using 1% CHG and 61% ethanol combination(alcohol-based agent)-for antimicrobial efficacy. Method: "Glove-juice technique" was used to evaluate microbial hand counts before surgical scrubs, 1 min and 3 hr after surgical scrubs. Result: Waterless scrub using CHG and ethanol combination resulted in a 4.8-log reduction at 1 min and 4.0-log reduction at 3 hr. CHG without brush resulted in a 4.7-log reduction at 1 min and 3.3-log reduction at 3 hr. The traditional scrub using CHG with brush resulted in a 3.6-log reduction at 1 min and 0.8-log reduction at 3 hr. The waterless scrub and CHG without brush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og reduction(p<.05) than CHG with brush at 1 min and 3 hr after surgical scrub. Waterless scrub showed greater log reductions than CHG without brush,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Waterless scrub using alcohol-based agent showed more persistent and immediate antimicrobial efficacy than either CHG with brush or CHG without brush.

  • PDF

물과 솔 없이 사용하는 외과적 손 소독제 Chlorhexidine/Ethanol 혼합제와 Povidone-iodine의 소독 효과 (Evaluation of a Waterless, Scrubless Chlorhexidine Gluconate/Ethanol Surgical Scrub and Povidone-Iodine for Antimicrobial Efficacy)

  • 최정실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39-44
    • /
    • 200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1% chlorhexidine-gluconate/61% ethanol (CHG/Ethanol) emollient and 7.5% povidone-iodine (PVI) scrub for antimicrobial, residual effect, and skin condition. Method: CHG/Ethanol emollient hand hygiene was performed waterless, and brushless by operating doctors and nurses (N=20). PVI hand washing was performed with water and a brush (N=20) for 5 min. The subjects were asked to press their left hand in hand-shaped agar before a surgical scrub, immediately after a surgical scrub and after the operation. The amount of isolated microorganisms were calculated by counting the number of divided areas($1{\times}1cm$, 160 cell) which were culture positive in the hand culture plate. The skin condition was evaluated. Result: The antimicrobial count of CHG/Ethanol emollient and PVI immediately post surgical scrub was 0.0 vs. 4.1 (p>.05), and after the operation was 0.1 vs. 37.8 (p>.05)respectively. The Residual effect of CHG/Ethanol emollient immediately post surgical scrub and after the operation were 0.0 vs. 0.1 (p>.05), and PVI were 4.1 vs. 37.8 (p>.05)respectively. The skin condition and satisfaction of CHG/Ethanol emollient was higher than PVI (p<.05). Conclusion: The antimicrobial effect between CHG/Ethanol emollient and PVI were the same. Considering skin condition, satisfaction and allergic reaction CHG/Ethanol emollient for surgical scrub is recommended in Korea.

두 가지 알코올제제 손마찰과 포비돈 아이오다인의 외과적 손소독 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Antimicrobial Effect of Two Waterless Alcohol-based Hand Rubs with a Povidone-Iodine Hand Scrub for Surgical Hand Antisepsis)

  • 주형례;정재심;김미나;박광옥
    • 임상간호연구
    • /
    • 제15권1호
    • /
    • pp.55-65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1% chlorhexidine gluconate/61% ethanol (CHG/ethanol), 45% ethanol/18% 1-propanol (ethanol/propanol) and 7.5% povidone-iodine (PVI) scrub with brush to evaluate their antimicrobial effect. Method: Utilizing repeated measures design, 9 nurses participated in the study. Glove juice sampling procedure was used to evaluate microbial hand counts before the surgical hand antisepsis, one minute after hand wash, and after the surgery. Results: Waterless rub using CHG and ethanol combination resulted in a 3.94 log reduction at 1 min and 2.78 log reduction at 3 hrs. Ethanol/propanol resulted in a 2.42 at 1 min and 2.22 at 3 hrs. The traditional scrub using PVI with brush resulted in a 0.94 at 1 min and 0.95 at 3 hrs (p=.003) and 3 hrs (p=.026) after the surgical hand antisepsis.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 (p=.002). Duncan post hoc test result showed that the PVI was less effective (p<.05) in sterilizing microbials on hands than CHG/ethanol or ethanol/propanol. Conclusion: Both of the two alcohol-based antiseptic rubs are acceptable alternatives to the PVI with brush for surgical hand antisepsis.

표준화환자를 이용한 호흡기감염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지식,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Simulation-based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 for Nursing Student's of the Knowledge, Clinical Nursing Competency)

  • 허정;윤영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435-44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호흡기 감염질환 지식과 임상수행에 대해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간호학과 4학년생 112명을 대상으로 2020년 3월 2일부터 6월 15일까지 표준화 환자를 활용하여 전염성 호흡기계 환자 간호를 위한 단일군 전후 설계이다. 호흡기 감염병 교육 프로그램 '폐 감염병 지식', '손 씻기', '마스크 착용', '환자 및 간병인에게 마스크 착용 유도', '정맥주사' '3way 주사', '외과적 무균술', '소독 의료기기', '오염된 린넨 관리', '감염자 관리 매뉴얼' 등 10개 교육 과제 수행이며 강의, 기술 훈련, 표준화된 환자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디브리핑으로 구성되었다. 표준화된 환자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후 호흡기 감염질환에 대한 학생의 지식과 임상수행능력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며, 다양한 감염관리 실습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서울시 치과의원의 진료실 감염관리 및 폐기물 처리 실태 조사연구 (Study on the Infection Control and Dental waste Disposal in Dental Clinic Located in Seoul City)

  • 강재경;김은숙;김경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05-113
    • /
    • 2002
  • 치과 진료실에서 병원성 미생물의 근원이 되는 곳은 환자의 구강이다. 구강 내에서 행하여지는 모든 진료행위는 타액과 혈액에 노출되고 그 안에 존재하는 병원성 미생물들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전파되어 감염성 질환이 쉽게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와 치과 종사자들의 감염방지를 위해 주위를 환기시키고 실천적 계기를 마련하기 위해 서울시 치과의원 100곳을 추출하여 진료실 감염관리와 폐기물 처리실태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멸균준비를 위한 기구세척시 대부분 고무장갑을 착용하고 있으나(95%), 기구건조(56%), 기구포장(57%), 멸균지시테이프를 부착(24%)하는 기관은 적었으며, 대부분의 기관이 멸균기(가압증기멸균기 또는 불포화화학증기멸균기 또는 건열멸균기)를 보유하고 있으나(97%), 멸균기의 성능점검이 나 관리는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3. mirror, pincette, explorer 등의 기본기구, 외과기구, 그리고 치주기구는 90% 이상 멸균하였다. 3 표면관리에 있어서 표면소독제로 알콜을 사용하는 경우가 94.0% 이었다. 4. 폐기물 처리의 경우 사용한 주사바늘, 수술용 칼, 봉합용 바늘은 97~98%가 별도의 밀폐용기에 모아서 별도로 처리하고 있으나, 아말감 찌꺼기를 올바르게 보관하는 기관은 65% 수은 찌꺼기를 올바르게 보관하는 기관은 74% 이었다. 5. scaling 시(수술용 고무장갑+구강 마스크+보안경)을 착용하거나(수술용 고무장갑+안면 보호대)를 착용하는 사람은 37% 이었고, 보철물 연마시(구강 마스트+보안경)을 착용하거나 안면 보호대를 착용하는 사람은 25% 이었다. 6. 간염예방주사를 맞았거나 면역되어 있는 사람은 90% 이었다. 7. 마취주사바늘 제거시 손으로 뚜껑을 닫고 제거하는 경우(84%)와 주사바늘에 찔린 경험(62%)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많은 사람이 부주의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 환자의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과 환자에게 납방어복을 입히는 것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으므로 환자의 안전관리를 주의한다고 생각하고 있지만(98%) 실제로 환자를 보호(37%)하는 것은 아니며, 본인의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과 술자의 방어방법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으므로 주의한다고 인식(95%)하는 만큼 술자의 보호(88%)를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 기구의 소독과 멸균의 단계와 절차를 올바르게 적용하는 것과 표면소독제로 알콜 대체재료의 보급이 필요하고, 폐기물 처리 방법에 대한 교육을 더욱 확산시켜야 하며, 개인의 안전관리에 대한 인식에 비해 실천이 부족하므로 특히 환자보호와 더불어 술자 등 개인보호를 위한 실천이 필요하다고 검토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