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외과(外科)

검색결과 21,357건 처리시간 0.047초

거골 골연골 병변에 대한 관절경적 골연골성형술 (Arthroscopic Osteochondroplasty of Osteochondral Lesion of the Talus)

  • 이명진;김성수;왕립;이철원;유성곤;황진수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34-139
    • /
    • 2012
  • 목적: 거골의 골연골 병변 환자에서 관절경적 골연골성형술의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1999년부터 2007년까지 거골의 골연골 병변으로 관절경적 골연골성형술을 시행한 48예 중 3년 이상 추시가 가능한 환자 3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48(38-108)개월이었고 남자가 22예, 여자가 10예이었으며 평균 나이는 34(20-56)세였다. 단순 방사선 사진 및 자기공명영상에서 병변의 위치를 확인하고 Berndt와 Harty의 방법으로 분류하였으며 전 예에서 관절경적 변연절제술 또는 미세골절술을 시행하였다. 미국정형외과족부족관절학회의 족관절-후족부 점수(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AOFAS] ankle-hindfoot scale)와 Kaikkonen의 주관적 및 기능적 점수(subjective and functional score)를 이용해 족관절의 기능을 평가하였고, 관절경적 미세골절술을 시행한 22예와 변연절제술을 시행한 10예를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족관절-후족부 점수는 술 전 53(${\pm}7$)점에서 최종 추시 84(${\pm}8$)점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P<0.001) 평균 주관적 및 기능적 점수도 술 전 55(${\pm}8$)점에서 최종 추시 88(${\pm}8$)점으로 술 전에 비해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001). 병변의 심한 정도와 술 후 족관절의 기능 점수와의 연관성은 없었으며(P>0.05) 관절경적 미세골절술을 시행한 군과 변연절제술을 시행한 군간의 결과 비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거골의 골연골 병변 환자에서 관절경을 이용한 골연골성형술은 환자의 만족도와 기능적인 면에서 비교적 우수한 결과를 보였으나 변연절제술과 미세골절술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PDF

AO C-형 원위 대퇴골 골절의 치료로 삽입된 관외측 금속판의 절경 보조하 최소 침습적 제거의 결과 (Results of Arthroscopic-assisted Minimally Invasive Removal of a Lateral Periarticular Plate used for the Treatment of AO Type-C Distal Femoral Fractures)

  • 김영모;이준규;양재훈;김보건;이원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6-52
    • /
    • 2009
  • 목적: AO C-형 원위 대퇴골 골절의 치료로서 대퇴골 외측에 금속판을 삽입한 후, 관절경 보조하 최소 침습적 금속판 제거를 시행하였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술식의 유용성을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 10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AO C-형 원위 대퇴골 골절로 관혈적 정복 및 대퇴골 외측면에 금속판 내고정술을 시행하였던 환자들 중 대퇴골 외과 부위의 불편감으로 인해 관절경 보조하 최소 침습적 금속판 제거를 시행하였던 17예와 관절경 없이 고식적인 방법으로 금속판 제거슬 시행한 15예, 총 32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42.6세(20~66세), 최초 골절 상태는 AO/ASIF 분류상 C1 16예, C2 11예, C3 5예였다. 술 중 확인된 관절내 병변, 술 후 합병증 및 술 후 일상 생활로의 복귀 시간, 수술에 대한 만족도, 술 전 및 술 후 6개월 추시상의 슬관절 통증을 조사하였다. 결과: 전 예에서 금속판의 최고 원위부는 슬관절 내에 위치하였고, 23예에서 이와 접촉하는 외측 관절낭의 손상이 확인되었다. 관절경 보조하 금속판 제거술을 시행한 군에서 금속판 제거술 후 지속적 창상 배액으로 세척술 및 창상 재 봉합술을 시행한 경우가 1예 있었다. 술 후 일상 생활로의 복귀는 관절경 보조하 금속판 제거술을 시행한 군에서 평균 7일이었고, 고식적 금속판 제거술을 시행한 군에서 평균 7.6일 이었다. 관절경 보조하 금속판 제거술을 시행한 군은 14예(82.4%)에서 '보통' 이상의 수술 만족도를 보였으며, VAS 통증 지수는 수술 전 4.9에서 수술 후 6개월에 1.9로 감소하였다. 고식적 금속판 제거술을 시행한 군은 13예(86.7%)에서 보통' 이상의 수술 만족도를 보였으며, VAS 통증 지수는 수술전 5.2에서 수술 후 6개월에 2.5로 감소하였다. 결론: 본 술식은 원위 대퇴골에 삽입된 금속판 제거와 함께 슬관절 내의 다양한 병변의 확인 및 치료가 가능한 장점이 있었다. C-형 원위 대퇴골 골절의 치료를 위해 삽입된 금속판에 의한 슬관절 외측 관절낭의 손상이 매우 빈번히 확인되었고, 금속판을 제거함으로서 슬관절 통증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음으로, C-형 원위 대퇴골 골절과 같이 금속판의 최고 원위부가 관절내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골절의 유합이 이루어지면 금속판을 제거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가령에 따른 흰쥐 하악과두 섬유층의 미세구조 및 교원원섬유의 변화 (ULTRASTRUCTUAL ANALYSIS OF THE FIBROUS LAYER OF CONDYLE IN THE RAT TEMPOROMANDIBULAR JOINT WITH AGEING)

  • 변기정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0권4호
    • /
    • pp.305-315
    • /
    • 1998
  • 흰쥐에 있어서 가령에 따라 하악과두에 가해지는 기계적 부하의 변화에 따라 하악과두 섬유층의 미세구조적 변화를 관찰,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하악과두 섬유층의 세포는 생후 초기에는 미분화간엽세포 및 섬유모세포로 구성되어 있었다. 가령에 따라 생후 14일, 27일군 등에서는 생후 초기에 비해 교원원섬유를 활발하게 합성, 분비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섬유모세포가 발달하였는데 이들 세포는 과립형 물질로 채워져 있는 내강이 대단히 확장되어 있으며, 리보솜이 치밀하게 존재하는 과립세포질세망과 골지장치가 발달되어 있었다. 또한 이들 세포내에는 세포소기관 사이에 세사가 점차로 발달하는 양상을 보였다. 생후 55일군 이후에서는, 가늘고 긴 세포돌기를 가지며, 과립세포질세망 및 골지장치가 발달되어 있어 교원섬유의 합성이 왕성한 것으로 추측되는 세포, 약간 둥글거나 다각형의 모양을 보이며, 세포질내에 사립체, 용해소체 및 골지장치가 발달하였으며, 손상된 교원섬유 혹은 변성된 세포의 흡수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측되는 세포, 세포질의 상당부분이 세사로 채워져 있으며, 사립체, 용해소체 및 과립세포질내세망과 같은 세포질내 소기관은 잘 발달되어 있지 않아 가해진 기계적 자극에 대해 적응하였거나 활동이 정지된 세포 등 3종류의 세포가 관찰되었다. 세포간질의 교원원섬유는 생후 초기부터 가령에 따라 점차로 치밀하게 배열되는 양상을 보였다. 교원원섬유의 직경은 생후 1일, 7일군에서는 $38.48{\pm}3.81nm$, $38.06{\pm}3.86nm$로서 유사하였으나 생후 14일군에서는 $50.21{\pm}3.93nm$로 가장 굵은 양상을 보였으며(p<0.05), 그후 생후 27일, 55일군에서는 각기 $40.05{\pm}2.52nm$, $43.63{\pm}1.20nm$로서 점차로 가늘어져 생후 1년군에서는 $37.38{\pm}2.17nm$로서 가장 가늘어 졌다(p<0.05). 그 분포에 있어서는 생후 초기에는 직경이 30-60인 교원원섬유가 대다수를 차지하는 unimordal한 분포를 보였으나, 생후 27일 이후에는 직경이 작은 교원원섬유가 점차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가령에 따른 결과로 미루어보아 하악과두 섬유층의 미세구조, 교원원섬유의 배열 및 직경의 분포에서의 변화는 가해지는 기계적 부하에 대한 적응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 PDF

수축력과 신장력을 병용한 골신장술에서의 다양한 힘의 비와 부여시기에 따른 신연골 반응 (THE REACTION OF BONE REGENERATE TO THE VARIOUS FORCE RATIO AND PERIODS ON DISTRACTION OSTEOGENESIS WITH COMBINED DISTRACTION FORCE AND COMPRESSION FORCE)

  • 김욱규;신상훈;정인교;김철훈;허준;윤일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7권5호
    • /
    • pp.403-41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iveness of the modified distraction osteogenesis (DO) method with the concept of overdistraction and compression stimulation which have been previously suggested by the authors in 2002 and to explore the optimal distraction-compression ratio and appropriate latency period for the compression force application during consolidation. The experimental specimens were assessed with radiography, histologic findings, and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after the conventional DO method and the modified DO technique had been applied on rat mandibles. Total 60 rats were used for the study. In experimental group of 54 adult rats, mandibular osteotomie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molar areas were performed and customized external distractors were applied. The surgeries on 6 rats of control group also were done with same osteotomy technique and DO device application. Final amount of distraction was set-up as 2 mm on both groups. But, in a experimental group of 54 rats, distraction osteogenesis with a compression force were performed with the different distraction-compression ratio and variant latency periods for compression. The three ratio-subgroups were made as distraction 4 mm group with compression 2 mm, distraction 3 mm group with compression 1 mm, and distraction 2.5 mm group with compression 0.5 mm. In addition, The three subgroups with 3, 7, 11 days latency period prior compression were allocated on each ratio-subgroups. Total 9 subgroups consisted of 6 rats on each subgroup. In control group of 6 rats, conventional distraction technique were routinely performed. The rats of control groups were sacrificed on postoperative 3, 6 weeks after 2 mm distraction. The ra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also were sacrificed on the same euthanasia days of control groups to compare the wound healing. Final available specimens were 55 rats except 5 due to osteomyelitis, device dislodgement. Distraction-compression combined group on 6 weeks generally had showed increased bone mineral density than the same period group of conventional distraction technique on the DEXA study. More matured lamellar bone state and extended trabecular pattern in the combined group than those of control group were also observed in the histologic findings on 6 weeks. In the distraction-compression combined groups, the bone density of 2.5 mm distraction subgroups with 0.5 mm compression showed the highest value on the DEXA study among various force ratio groups. In the distraction-compression combined groups, the bone density of 3 day latency period subgroups showed the highest value on the DEXA study among various latency period groups for the compression application. From this study, we could deduce that 1/5 force ratio for the compression versus distraction, 3 day latency period prior compression application would be the most effective condition if modified distraction osteogenesis technique might be applicable. The modified DO method with a compression force may improve the quality of bone regenerate and shorten total treatment period in comparison with conventional DO technique clinically.

3-Dimensional Micro-Computed Tomography Study on Bone Regeneration with Silk Fibroin, rh-Bone Morphogenetic Protein Loaded-Silk Fibroin and Tricalcium Phosphate Coated-Silk Fibroin in Rat Calvaria Defect

  • Pang, Eun-O;Park, Young-Ju;Park, Su-Hyun;Kang, Eung-Sun;Kweon, Hae-Yong;Kim, Soeng-Gon;Ko, Chang-Yong;Kim, Han-Sung;Nam, Jeong-Hun;Ahn, Jang-Hun;Chun, Ji-Hyun;Lee, Byeong-Min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4권1호
    • /
    • pp.1-11
    • /
    • 201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one regeneration capacity of silk fibroin (SF) when combined with beta tricalcium phosphate (${\beta}$-tricalcium phosphate [TCP]) and rh-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 in vivo by micro-computed tomography (CT), soft x-ray, and histological analysis. Methods: A total of 56 critical size defects formed by a trephine bur made on 28 adult female Spague-Dawley rats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the defect size was 5.0 mm in diameter. The defects were transplanted with (1) no graft material (raw defect), (2) autogenous bone, (3) SF ($10{\mu}g$), (4) SF-BMP ($10{\mu}g$, $0.8{\mu}g$ each), and (5) SF+${\beta}$-TCP ($10{\mu}g$). At 4 and 8 weeks after operation, the experimental animals were sacrificed. Samples were evaluated with soft x-ray, histological examinations and 3-dimensional micro-CT analysis. Results: In the 3-dimensional micro-CT evaluation, bone volume and bone surface data were higher in the SF-BMP ($12.8{\pm}1.5$, $138.6{\pm}45.0$ each) (P<0.05) and SF-TCP ($12.3{\pm}1.5$, $144.9{\pm}30.9$ each) group than in the SF group ($6.1{\pm}3.3$, $77.2{\pm}37.3$ each) (P<0.05), except for the autogenous group ($15.0{\pm}3.0$, $190.7{\pm}41.4$ each) at 4 weeks. At 8 weeks, SF-BMP ($16.8{\pm}3.5$, $173.9{\pm}34.2$ each) still revealed higher (P<0.05) bone volum and surface, but SF-TCP ($11.3{\pm}1.5$, $1132.9{\pm}52.1$ each) (P=0.5, P=0.2) revealed the same or lower amount compared with the SF group ($13.8{\pm}2.7$, $127.5{\pm}44.8$ each). The % of bone area determined by radiodensity was higher in the SF-TCP ($31.4{\pm}9.1%$) and SF-BMP ($36.2{\pm}16.2%$) groups than in the SF ($19.0{\pm}10.4$) group at the period of 4 weeks. Also, in the histological evaluation, the SF-BMP group revealed lower inflammation reaction, lower foreign body reaction and higher bone healing than the SF group at postoperative 4 weeks and 8 weeks. The SF-TCP group revealed lower inflammation at 4 weeks, but accordingly, as the TCP membrane was absorbed, inflammatory and foreign body reaction are increased at 8 weeks.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the silk fibrin can be used as an effective grafted material for tissue engineering bone generation through a combination of growth factor or surface treatment.

배양된 인간 골막기원세포의 조골세포 분화과정에서 골기질 형성정도와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신호와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VASCULAR ENDOTHELIAL GRWOTH FACTOR SIGNALING AND MINERALIZATION DURING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OF CULTURED HUMAN PERIOSTEAL-DERIVED CELLS)

  • 박봉욱;변준호;류영모;하영술;김덕룡;조영철;성일용;김종렬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9권3호
    • /
    • pp.197-205
    • /
    • 2007
  • Angiogenesis is a essential part for bone formation and bone fracture healing.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one of the most important molecules among many angiogenic factors, is a specific mitogen for vascular endothelial cells. VEGF-mediated angiogenesis is required for bone formation and repair. However, the effect of VEGF on osteoblastic cells during osteogenesis is still controversial. In recent days, substantial progress have been made toward developing tissue-engineered alternatives to autologous bone grafting for maxillofacial bony defects. Periosteum has received considerable interest as a better source of adult stem cells. Periosteum has the advantage of easy harvest and contains various cell types and progenitor cells that are able to differentiate into a several mesenchymal lineages, including bone. Several studies have reported the bone formation potential of periosteal cells, however, the correlation between VEGF signaling and cultured human periosteal cell-derived osteogenesis has not been fully investigated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VEGF signaling and cultured human periosteal-derived cells osteogenesis. Periosteal tissues of $5\;{\times}\;20\;mm$ were obtained from mandible during surgical extraction of lower impacted third molar from 3 patients. Periosteal-derived cells were introduced into the cell culture and were subcultured once they reached confluence. After passage 3, the periosteal-derived cells were further cultured for 42 days in an osteogenic inductive culture medium containing dexamethasone, ascorbic acid, and ${\beta}-glycerophosphate$. We evaluated the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the expression of Runx2 and VEGF, alizarin red S staining, and the quantification of osteocalcin and VEGF secretion in the periosteal-derived cells. The ALP activity increased rapidly up to day 14, followed by decrease in activity to day 35. Runx2 was expressed strongly at day 7, followed by decreased expression at day 14, and its expression was not observed thereafter. Both VEGF 165 and VEGF 121 were expressed strongly at day 35 and 42 of culture, particularly during the later stages of differentiation. Alizarin red S-positive nodules were first observed on day 14 and then increased in number during the entire culture period. Osteocalcin and VEGF were first detected in the culture medium on day 14, and their levels increased thereafter in a tim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VEGF secretion from cultured human periosteal-derived cells increases along with mineralization process of the extracellular matrix. The level of VEGF secretion from periosteal-derived cells might depend on the extent of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Le Fort I 골절단술을 이용한 상악골 전진 후 안정성에 관한 3차원적 연구 (Three Dimensional Study on the Postoperative Stability after Advancement of Maxilla Using Le Fort I Osteotomy)

  • 오철중;허정우;정광;조민성;정승곤;박홍주;오희균;유선열;국민석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5권2호
    • /
    • pp.82-87
    • /
    • 2013
  • Purpose: This study evaluated postoperative maxillary stabilities in patients with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who were taken both maxillary advancement surgery and mandibular retrusive surgery, using Le Fort I osteotomy, through three-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Methods: We selected 14 patients who were taken postoperative three-dimensional computerized tomography at the time before surgery, immediately after surgery, six months after surgery among the patients undergone both maxillary advancement surgery using Le Fort I osteotomy and mandibular retrusive surgery using bilateral sagittal split ramus osteotomy. We measured and compared the vertical distance of A-point and posterior nasal spine (PNS), the horizontal distance of A-point and PNS in transverse plane and coronal plane of the three-dimensional reconstructed images, respectively. Results: In transverse plane,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immediately after surgery ($S_1$) and immediately before surgery ($S_0$) of A-point was $-0.04{\pm}1.80$ mm, $S_2$ and $S_0$ was $-0.15{\pm}1.69$ mm, and between $S_1$ and $S_2$ was $0.11{\pm}0.58$ mm.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data (P>0.05). In transverse plane, the distance between $S_1-S_0$ of PNS was $-3.87{\pm}2.37$ mm, $S_2-S_0$ of PNS was $-3.79{\pm}2.39$ mm, and $S_1-S_2$ of PNS was $-0.08{\pm}0.18$ m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data (P<0.05). In coronal plane, the distance between $S_1-S_0$ of A-point was $3.99{\pm}0.86$ mm, $S_2-S_0$ was $3.57{\pm}1.09$ mm, and $S_1-S_2$ was $0.42{\pm}0.42$ m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data (P<0.05). In coronal plane, the distance between $S_1-S_0$ of PNS was $3.82{\pm}0.96$ mm, $S_2-S_0$ was $3.43{\pm}0.91$ mm, and $S_1S_2$ was $0.39{\pm}0.49$ m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se data (P<0.05). In transverse plane, it was estimated that PNS has no statistical postoperative stability in the same direction. In coronal plane, it was estimated that both A-point and PNS had no statistical postoperative stability (P<0.05). Conclusion: Clinically, the operation plan needs to take into account of the maxillary relapse.

완전 편측성 순구개열 신생아 환자의 술전 비치조 정형장치와 구순열 수술이 치조골 정형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presurgical nasoalveolar molding (PNAM) appliance and cheiloplasty on alveolar molding of complete unilateral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 김나영;이신재;백승학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35-245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술전 비치조 정형장치 (PNAM)와 구순열 수술이 치조골 정형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장기간 추적검사가 가능했던 16명의 완전 편측성 순구개열 환자 (남자 10명, 여자 5명, 평균 파열부 최단거리: 10.46mm) 이었으며 서울대학교 치과병원 교정과에서 동일 교정의에게서 술전 비치조 정형장치로 치료받은 후 동일 외과의 에 의해서 회전-전진법을 사용한 구순열 수술을 받았다. 평균 치조 정형기간은 13.10주였으며 구순열 수술 후 내원시까지 기간은 평균 8.31주였다. 초진시 (T0, 평균연령 : $37.0\pm27.89$일), 치조골 정형술 후(T1, 평균연령 : $119.25\pm40.18$일), 구순열 수술 후 (T2, 평균연령 : $190.81\pm42.78$일)에 환자들의 상악모형을 각각 채득하였고 1:1 비율로 사진을 찍은 후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7개의 선, 5개의 각도 계측항목을 측정하였고 paired t-test를 사용하여 통계학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1. 치조 분절의 후방부위는 치조골 정형술과 구순열 수술의 영향을 받지 않는 안정적인 구조였다. 2. 치조골 정형술에 의한 파열부 간격의 폐쇄는 주로 대분절 전체의 후방 굴곡으로 이루어졌다. 3. 치조골 정형술 기간 동안 대분절의 전방 성장이 억제되었으나 구순열 수술 후에는 전방성장이 회복되었다. 4. 구순열 수술 후 전방부 분절간 각도가 증가한 이유는 구순열 수술 이후 형성된 구순 반흔조직 의 압력 에 의하여 치조골 정형술 효과가 나타난 것이다.

정모 및 측모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을 이용한 3차원 계측 프로그램의 개발 -1. 단일 방사선원으로 촬영된 두부 방사선사진의 두부 위치 보정을 이용한 3차원 좌표의 산출- (DEVELOPMENT OF THREE DIMENSIONAL MEASURING PROGRAM WITH FRONTAL AND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PART 1. COMPUT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BY COMPENSATION OF THE ERROR OF THE HEAD POSITION IN ORDINARY NON-BIPLANAR CEPHALOSTAT-)

  • 이근호;이상한;장현중;권대근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7권3호
    • /
    • pp.214-220
    • /
    • 2001
  • 안면비대칭이나 반안면왜소증과 같은 구강악안면영역의 기형에 대한 진단 및 치료 계획 수립을 위하여 두개 악안면 구조물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3차원 두부 계측 방사선 시스템의 임상적 적용이 계속 시도되었으나 주로 두 방향의 방사선원으로부터 동시에 얻어진 standard Broadbent-Bolton cephalometer에 한정되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일방사선원에 의하여 촬영된 한 쌍의 정모 및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으로 정확한 3차원 좌표치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이렇게 얻어진 3차원 좌표치의 정확도와 재현성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모,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동시에 촬영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오차를 보정해주는 수학적인 공식을 산출하고 이 공식에 의거하여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에 기준한 측모 두부 방사선 계측 사진의 위치 결정시의 오차를 건조 두개골을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1차와 2차 측정시 각각 평균 $0.46{\pm}1.21^{\circ}, $0.33{\pm}0.90^{\circ}로 나타났다. 2. 단일 방사선원으로부터 3차원 계측점의 좌표값을 얻을때의 재현성을 파악하기 위한 임상적 계측 결과 1, 2차측정간의 오차가 절대값 평균 0.54mm ($-2.99{\sim}2.26mm$)로 나타났으며 이때 계측점 인식의 오차는 평균 $1.2{\pm}1.6mm$ 였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에 의거한 측모 두부 방사선 계측사진의 위치를 결정한 후 두부위치 보정공식을 도입하면 임상적으로 충분히 재현성 있는 3차원 계측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을 증가시킨다. - PKC pathway는 MAPK pathway를 경유하여 Runx2의 전사 활성을 조절한다.있을 것으로 사료된다.대구치의 원심경사는 필연적으로 일어나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착제의 종류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한 결과, 영구치와 유치 모두에서 Clearfil SE Bond를 사용한 군의 전단결합강도가 가장 높았으며 AQ Bond를 사용한 군의 전단결합강도가 가장 낮았다.본에서 III군에 비해 크기가 큰 기포가 더욱 많이 관찰되었다.e의 약동학은 cimetidine에 의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영향은 관찰할 수 없었다.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생체내 대사능을 관찰하는 실험이 향후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san film보다 큰 수증기 투과도를 보였다.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y tissue layer thinning은 3 군모두에서 관찰되었고 항암 3 일군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보면 술전 항암제투여가 초기에 시행한 경우에는 조직의 치유에 초기 5 일정도까지는 영향을 미치나 7 일이 지나면 정상범주로 회복함을 알수 있었고 실험결과 항암제 투여후 3 일째 피판 형성한 군에서 피판치유가 늦어진 것으로 관찰되어 인체에서 항암 투여후 수술시기는 인체면역계가 회복하는 시기를 3주이상 경과후 적어도 4주째 수술시기를 정하는 것이 유리하리라 생각되었다.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다른 약물인 glycyrrhetinic acid($100{\mu}M$)도 CCh 자극으로 인한 타액분비를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 PDF

한국인 악안면 기형환자의 하악골 상행지에 관한 해부학적 연구 (AN ANATOMICAL STUDY OF THE MANDIBULAR RAMUS IN KOREAN PATIENTS WITH DENTOFACIAL DEFORMITY)

  • 김기정;이의웅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27권3호
    • /
    • pp.193-203
    • /
    • 2001
  • Orthognathic surgery of the mandibular prognathism and the retrognathism is tend to be performed on the mandibular ramus to prevent inferor alveolar nerve inju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safe and accurate reference point on mandibular ramus for orthognathic surgery by comparative anatomical study of dentofacial deformity patients. We use 38 Korean Cadavers with normal occlusion(Group 1), 3-dimensional simulation of computerized tomogram of 23 patients with retrognathism (Group 2), 27 patients with mandibular prognathism (Group 3).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 1. The maximum thickness of the mandibular ramus is $8.78{\pm}1.15mm$ for Group 2, $7.61{\pm}1.26mm$ for Group 1, $6.95{\pm}0.82mm$ for Group3 respectively (P=0001). The minimum thickness is $5.51{\pm}1.08mm$ for Group 1, $5.06{\pm}0.40mm$ for Group 2, $4.56{\pm}0.78mm$ for Group3, respectively (p=0.0001). But, the thickness at the level of 5mm above the lingular is $0.78{\pm}0.65mm$ for Group 2, $5.63{\pm}1.28mm$ for Group 1, $5.32{\pm}0.91mm$ for Group 3, respectively.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groups(P=0.0510). 2. The horizontal location from the midwaist point to lingular is $0.18{\pm}1.57mm$ for Group 1, $0.69{\pm}1.33mm$ for Group 2, $0.66{\pm}1.66mm$ for Group 3,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groups(p=0.0835). But the vertical location from the midwaist point to lingular is $1.45{\pm}2.64mm$ for Group 1, $0.63{\pm}1.44mm$ for Group 2, $0.34{\pm}1.81mm$ for Group 3, a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groups(p=0.0030). 3. The horizontal location from the midwaist point to mandibular foramen is $0.29{\pm}1.75mm$ for Group 1, $0.63{\pm}1.44mm$ for Group 2, $0.34{\pm}1.81mm$ for Group 3, and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groups(p=0.5403). But the vertical location from the midwaist point to mandibular foramen is $-3.33{\pm}4.43mm$ for Group1, $-4.79{\pm}2.26mm$ for Group 2, $-6.06{\pm}2.99mm$ for Group 3, a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groups(P=0.0001). 4. The horizontal length from the disto-buccal cusp tip of mandibular second molar to lingula is $30.97{\pm}4.17mm$ for Group 3, $28.29{\pm}2.65mm$ for Group 1, $25.48{\pm}0.77mm$ for Group 2 (p=0.0000), and also vertical length is $7.72{\pm}3.22mm$ for Group 3, $6.38{\pm}1.83mm$ for Group 1, $5.89{\pm}2.30mm$ for Group 2 (P=0.0014). 5. The location of lingular is 0.50 from anterior border of mandibular ramus in all groups, if it assumed the length from anterior border to posterior border is 1. And it is almost 0.33 from the sigmoid notch, if it assumed the length from sigmoid notch to antegonial notch is 1. 6. In Group 1, Antilingular prominence is located on ($1.12{\pm}1.43mm,\;4.01{\pm}2.36mm$) from the midwaist point, and there is no correlation between antilingular prominence and lingular, mandibular forame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