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왕회도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6초

"王會圖"와 "蕃客入朝圖"에 묘사된 三國使臣의 복식 연구 (A Study on the Costumes of the Envoys from the Three Kingdoms painted in Wanghoido(王會圖) and Bungekipjodo(蕃客入朝圖))

  • 이진민;남윤자;조우현
    • 복식
    • /
    • 제51권3호
    • /
    • pp.155-170
    • /
    • 2001
  • This study is about investigation of the historical value of Wanghoido(王會圖) and Bungekipjodo(蕃客入朝圖) and examination of the costumes of the Envoys from the Three Kingdoms drawn in the paintings above. Wanghoido(王會圖) is presumed to be painted around early 7th century. This is a colored picture on silk on which twenty-six Envoys from twenty-four Kingdoms are painted. Bungekipjodo(蕃客入朝圖) is presumed to be painted in the early 10th century. This is drawn on paper with only black brush line, no color. There are thirty-five Envoys from thirty-one Kingdoms in the painting. Wanghoido(王會圖) and Bungekipjodo(蕃客入朝圖) are the important materials which are useful to understand the original Liangjlkgongdo(梁職貢圖). From the records about interchange of the Envoys in the early 6th century, the characters and costumes painted in Wanghoido(王會圖) and Bungekipjodo(蕃客入朝圖), the copy of the original Liangjikgongdo(梁職貢圖), get the reality. The Envoys from Koguryo(高句麗), Paekche(百濟), and Shilla(新羅) painted in the two paintings above are all wearing Jangyu or Yu(장유 or 유; an upper garment), Go(袴:trousers), Kwanmo(冠帽:headdress), Dae(帶뿔:belt), and Hwa(靴:shoes). But they differ in some aspects. For example, the shape of the Kwanmo(冠帽), hair style and patterns on the costumes, etc.

  • PDF

<희경루방회도(喜慶樓榜會圖)> 속 인물들의 복식 고찰 (A Study on the Costumes of the Characters of Higyongru Banghwoedo)

  • 배진희;이은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1권4호
    • /
    • pp.44-65
    • /
    • 2018
  • 본 연구는 2015년 9월, 보물 제1879호로 지정된 동국대학교 박물관 소장 <희경루방회도(喜慶樓榜會圖)> 속 인물들의 복식을 고찰한 것이다. <희경루방회도>는 1567년 6월 광주목(光州牧) 관아의 희경루(喜慶樓)에서 개최된 동방(同榜) 계회(契會)를 그린 것으로, 방회(榜會)의 주인공인 관료 5인과 관아 소속의 향리(鄕吏), 아전(衙前), 나장(羅將), 조례(?隷), 악공(樂工), 여기(女妓), 동기(童妓) 등 다양한 신분의 남녀가 묘사되어 있다. 이들이 착용하고 있는 복식을 밝히기 위해 문헌자료와 복식유물, 회화자료 등을 활용하였으며 연구범위는 겉으로 드러나는 두식(頭飾)과 포류(袍類), 그에 따른 부속품류로 한정하였다. 현직에 있는 시임관료(時任官僚)는 사모(紗帽) 홍단령(紅團領)을 착용하였다. 그 외에 품계에 따른 품대(品帶)와 흑화(黑靴)를 신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직에서 물러난 원임관료(原任官僚)는 말총[마미(馬尾)]이나 사(紗)로 싼 흑립(黑笠)에 홍직령과 도아(?兒) 등을 착용하였다. 향리는 흑죽방립(黑竹方笠)에 흰색 직령(直領)을 입고 도아를 띠었다. 고려시대에는 방립이 왕 이하 지식층에서 썼던 관모였지만 조선전기에는 향리의 관모로 전락하였는데 그 착용 모습이 <희경루방회도>에서 확인되었다. 아전은 흰색 직령에 흑립을 쓰고 도아를 띠었다. 나장은 조건(?巾)을 쓰고 철릭 위에 반비의(半臂衣)를 착용하는 것이 규정이었지만 <희경루방회도> 속 나장은 반비의를 착용하지 않고 조건과 철릭만 착용한 모습이었다. 또한 조례는 포(布)로 싼 흑립에 홍철릭을 착용하고, 악공은 소모자에 홍철릭을 착용하였다. 나장 이하 하속은 허리에 모두 청색 계통의 도아를 둘렀다. 여기(女妓)와 동기(童妓)는 주인공의 시중을 들거나 춤을 추고 연주를 하고 있었는데 여기들은 크게 부풀린 둥근 고계(高?)에 홍색 대요(臺腰)를 두르고 곧은 깃 또는 젖힌 깃의 황장삼(黃長衫)을 입고 허리띠를 둘렀다. 동기는 뒤쪽에 양 갈래로 짧게 땋아 내린 머리에 교임형 홍색 포를 착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