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왕도

Search Result 1,65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wine made from domestic grapes (국내 포도로 제조한 와인의 이화학적 특성)

  • Yang, Mi-Ran;Bae, Eun-Jung;Kim, Young-Mi;Kang, Ji-Eun;Lim, Bora;Kang, Heui-Yun;Her, Youn-Young;Park, Young-Sik;Jeong, Seok-Tae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v.52 no.6
    • /
    • pp.649-654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wine, produced from 11 different grape varieties. Black Sun, CB, Gaeryangmeoru, MW52, MW55, and Narsha with 0.6-0.8% total acids were good for wine. The total acid content of Wangmeoru wine was too high (1.41%). Black Sun, CB, Gaeryangmeoru, MW52, MW55, MBA, WB, and Wangmeoru showed excellent chromaticity (90dE or higher). Total polyphenols, total anthocyanin and tannin,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Gaeryangmeoru, WB, Wangmeoru, and CB and would be advantageous for wine ag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deemed Gaeryangmeoru and CB to be suitable for red wine preparation.

Comparison of Growth Response among 6 Fruit Trees for Garden under Low Management of Light and Irrigation (저관리용 정원수 활용을 위한 광과 수분 조절을 통한 6종의 유실수 생육비교)

  • Nam, Yu Kyeong;Lee, Jin H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loral Art and Design
    • /
    • no.37
    • /
    • pp.157-166
    • /
    • 2017
  • To select fruit trees for urban garden with Elaeagnus umbellata var. coreana, Malus domestica 'Alps Otome', Prunus mume, Ribes nigrum, Rubus fructicosus, and Vaccinium corymbosum 'Reka',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se 6 species were compared and effect of trickle irrigation and shading on the growth of these fruit trees were investigated that these treatments were carried out how much these trees are endurable exposed to improper conditions. After passing the winter, E. umbellata var. coreana, M. domestica 'Alps Otome', P. mume, and V. corymbosum 'Reka' showed the highest survival rate, in contrast to R. nigrum with the lowest of 56.0%. In 9 months after planting, the hight growth rate of 62.3% was shown in P. mume but that of E. umbellata var. coreana was stagnant during experimental period. Flowering rate over 80.0% were shown in E. umbellata var. coreana, M. domestica 'Alps Otome', R. fructicosus, and V. corymbosum 'Reka'. On the other hand, R. nigrum has not ever flowering branches. Other species except E. umbellata var. coreana and R. nigrum have about 10 days in flowering duration. After flowering, fruition rate has shown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6 species. As a result of both treatment of trickle irrigation and shading, leaf area and leaf weight of E. umbellata var. coreana, M. domestica 'Alps Otome' significantly inceased with treatments that have not affected other species. Based on these result, it is possible to deploy suitable fruit trees to specific garden condition after selecting various fruit trees.

'직지' 강원도 고성 왕곡마을 민속체험 행사서 인기 '짱'

  • Korean Printers Association
    • 프린팅코리아
    • /
    • s.51
    • /
    • pp.72-73
    • /
    • 2006
  • 왕곡마을은 동해안에 자리한 전통 한옥마을로, 14세기 경부터 강릉 함씨와 강릉 최씨, 용궁 김씨 등이 모여 사는 집성촌이다. 19세기를 전후하여 지어진 기와집들은 모두 강원도 북부지방에서만 볼 수 있는 양통집이다. 이는 긴겨울의 추위를 견디기 위한 구조로, 특히 부엌 앞 처마에 외양간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집들은 원래의 모습대로 잘 보존되어 오고 있으며, 자연경관 전통주택.농업위주의 생활 등이 오랜 세월 동안 마을 전체에 잘 지켜져 오고 있어 전통 민속마을로 의미가 있다.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오봉1리에 위치한 왕곡마을은 중요민속자료 제 235호로 지정되어 있다.

  • PDF

우리 나라 두부업계의 현황과 전망

  • 최규서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 /
    • v.8 no.4
    • /
    • pp.482-489
    • /
    • 1998
  • 두부는 오래전부터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중국, 일본 등 동양권에서는 물론 이제는 구미지역에 이르기까지 각광을 받는 식품으로 부상하고 있다. 두부가 문헌상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약 2,000년전인 중국 한나라때다. 한고조의 손인 회남왕 유안(B.C178-122)이 저술한 만필술에 두부만드는 법이 기록되어 있어 두부제조의 시조를 회남왕으로 보고 있으며, 우리나라에 전래되어 온 시기는 분명치 않으나 고려말 또는 그 이전이었으리라는 추측이 지배적이다.(중략)

  • PDF

A Study on Storytelling Tourist Attraction Case (스토리텔링 명소 사례 비교분석 -제빵왕 김탁구사례를 중심으로-)

  • Jeon, min-hee;Shin, il-gi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17-218
    • /
    • 2019
  • 오늘날 공간의 활성화 방안으로서 문화 원형 발굴, 테마파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스토리텔링을 결합한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공간에 스토리텔링을 결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성과를 거두면서 명소로 자리 잡은 경우는 극히 드물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빵왕 김탁구"라는 동일한 스토리텔링을 토대로 하여 명소가 되지 못한 '팔봉 제빵점'과 지금까지도 큰 명소로 자리 잡고있는 '성심당'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장소성 형성을 위한 소비자 행동 유도전략을 고찰하고 명소화를 위한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