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왕거미과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산 어리왕거미속의 2미기록종 (Two Orb Weavers of the Genus Neoscona (Araneae: Araneidae) from Korea)

  • 남궁준;김승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13-216
    • /
    • 1999
  • 최근 중국에서 신종기재된 Neoscona속(거미목: 왕거미과)의 2종 Neoscona minoriscylla(아기지이어리왕거미)와 Neoscona pseudonautica(어리집왕거미)를 한국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이로써 한국산 Neoscona속은 기지종 8종과 함께 10종이 된다.

  • PDF

거제도의 거미상 (The Spider Fauna of Geojedo Island, Korea)

  • Joo Pil K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4권3호
    • /
    • pp.279-291
    • /
    • 1998
  • 1997년 8월에 거제도의 거미상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20과 56속 92종을 채집하였으면 꼬마거미과, 왕거미과 그리고 늑대거미과 등이 우점종이고 일반적으로 일본산과 공통적인 종이 82종 (90.1%), 중국산과 공통적인 종이 75종(82.4%)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거제도와 덕적군도, 제주도, 울릉도, 진도, 백령도, 고금도의 거미상과 비교하여 그 유사성을 조사하였다.

  • PDF

한국산 미기록종 황갈새매거미(Haplodrassus mayumiae Kamura, 2007)와 무당귀털거미(Mangora crescopicta Yin et al., 1990) (거미강: 거미목)의 기재 (Description of Haplodrassus mayumiae Kamura, 2007 and Mangora crescopicta Yin et al., 1990 (Arachnida: Araneae) New to Korean Spider Fauna)

  • 이수연;유정선;이준호;정종국;김승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51-54
    • /
    • 2015
  • 황갈새매거미(Haplodrassus mayumiae Kamura, 2007)와 무당귀털거미(Mangora crescopicta Yin et al., 1990)를 한국에서 처음으로 기재 한다.

해송(곰솔)림에 만연된 "솔껍질깍지벌래"의 포식천적에 관한 연구 (Natural Enemies of the Black Pine Bast Scale(Matsucoccus thunhergianae) in the Black Pine Forests)

  • 김규진;이호범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3-80
    • /
    • 1998
  • 솔껍질깍지벌레의 천적으로 곤충류 총 4목과 7과 24종과 거미류 총 11과 29종이 조사되었으며, 곤충류에서는 딱정벌레목 10종, 벌목 7종, 노린재목 6종, 집게벌레목 1종이 조사되었고, 이중 비교적 발생량이 많고 포식량이 많아 천적으로 기대되는 종으로는 딱정벌레목 무당벌레과 홍점박이 무당벌레(Chilocorus rubidus)와 무당벌레(Harmonia axyidis), 벌목 개미와 왕침개미(Brachyponera chinensis), 말벌과 말벌(Vespula crabro flavofaciata), 노린재목 침노린재과 다리무늬침노린재(Sphe-danolestes impressicollis), 껍적침노린재(Velinos nodipes)등이었다. 본 조사에서 딱정벌레목의 달무리 무당벌레(Anatis halonis)와 십구점무당벌레(Anisosticta kobensis), 노린재목의 고추침노린재(Cydno- coris russatus)등 3종이 새로이 조사되었다. 거미류에서는 호랑거미와 8종, 게거미와 5종 늑대거미과 3종, 깡총거미과 3종, 닷거미과 2종, 꼬마거미과 2종, 갈머리과 2종. 스라소니거미과 1종, 염라거미과 2종, 염남거미과 1종, Atypidae과 1종이 조사되었으며, 조사된 종들 중 비교적 발생량이 많고, 집중적으로 공격(포식)하는 종으로는 호랑거미과 긴 호랑거미(Argiope bruennichii), 산왕거미(Araneus ventricosus), 점연두어왕거미(Neoscona melloteei), 연두어리왕거미(Neoscond scylloids), 늑대거미과 땅늑대거미(Lycosa suzurii), Pirata sp., 깡총거미과 살깃깡총거미(Marpissa elongata), 닷거미과 줄거미(Dolomedes stellatus), 스라소니거미과 낯표스라소니거미(Oxyopes sertatus)등이었다. 본 조사에서 호랑거미과의 연두어리왕거미(Neoscona scylloides), 여석혹먼지거미(Cyclosa laticauda), 게거미과의 불짜게거미(Synema globosum), 대륙게거미(Xysticus ephippoatus), 꽃게거미(Micumenops tricu-spidatus), 깡총거미과의 살깃깡총거미(Marpissa elongata), 까치깡총거미(Dedryphantes atratus), 닷거미과의 번개닷거미(Perenethis fascigera), 갈거미과의 백금갈거미(Tetragnatha pinicola), 염라거미과의 아시아염라거미(Zelotes asiaticus)등 10종이 새로이 조사되었다.

  • PDF

가지산의 거미상 (Spider Fauna of Mt. Gajisan in Gyeongsangnam-do, Korea)

  • 이수연;김승태;정종국;유정선;이준호
    • 환경생물
    • /
    • 제28권2호
    • /
    • pp.108-113
    • /
    • 2010
  • 경상남도 밀양 소재 가지산도립공원에서 채집한 317개체의 거미류는 20과 59속 66종으로 동정되었다. 종지수(species richness)는 깡충거미과 12종(20.0%), 꼬마거미과 8종(12.1%), 접시거미과 5종(7.6%), 왕거미과, 코리나거미과, 수리거미과 및 게거미과가 각 4종(6.1%), 갈거미과, 비탈거미과 및 새우게거미과가 각 3종(4.5%)의 순이었다. 동물지리구에 따른 종은 범열대종 1종(1.5%), 구북구종 4종(6.1%) 및 한국고유종은 3종(4.5%)이었으며 향후 산지에서의 생물상 및 생물자원의 분포 및 장기 모니터링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사료된다.

산왕거미 (Araneus ventricosus) 심관과 심근세포의 미세구조 (Fine Structure of the Heart Tube and Its Cardiac Muscle Cells in the Spider, Araneus ventricosus)

  • 최재영;문명진
    • Applied Microscopy
    • /
    • 제33권4호
    • /
    • pp.325-333
    • /
    • 2003
  • 왕거미과 산왕거미(Araneus ventricosus)의 심관과 심근세포의 미세구조적 특성을 주사형 및 투과형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거미의 심관은 복부마디의 등쪽에 분포되어 있고, 심외막과 심근층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심근층의 근섬유들은 종축을 중심으로 나선상의 배열을 이루고 있었고, 내막이 없이 혈림프에 직접 노출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었다. 심관의 외부 표면에서는 3쌍의 심문이 형성되어 있었고, 내강에서는 원형질혈구와 과립혈구, 그리고 편도혈구 등 다양한 유형의 혈구들이 관찰되었다. 특히 심관의 내강을 향해 돌출된 심근돌기 주위에서는 편도혈구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다. 편도혈구의 세포질에는 유리 리보조옴이 산재되어 있었고 핵에는 이질염색질과 인이 발달되어 있었으나, 심근층 조직과의 특이한 연접은 관찰되지 않았다. 심근층에는 횡문이 형성되어 있었고, Z-line을 중심으로 근절의 구조를 이룬 근원섬유의 주위에서는 미토콘드리아와 근소포체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었다. 심관의 배면을 따라 뻗은 신경절의 축삭들이 심근세포와 신경근육간 연접부를 형성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점봉산의 거미상 (Spider Fauna in Mt. Jumbong from Korea)

  • 이준호;강방훈;박홍현;남궁준;김승태
    • 한국토양동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21-32
    • /
    • 2000
  • 강원도 양양군과 인제군에 걸쳐 설악산 국립공원의 남부를 차지하고 있는 점봉산게 서식하는 거미류는 미확정 5종을 포함하여 총 27과 88녹 144종으로 나타났다. 풍부한 종 구성을 갖는 우점과의 순위는 접시거미과가 21종 (14.6%), 왕거미과 20종(13.9%), 꼬마거미과 16종(11.1%), 깡충거미과 12종(8.3%)등의 순이었고, 나머지 과는 미소 하였다. 생활형에 따르면 조망성거미는 89종(62.2%)으로 배회성 거미 55종(37.8%)보다 우세하였다. 거미류의 생태적 분포면에서 보면 구북계(Pal. spp.)가 16종 (11.2%), 전북계(Hol. spp.) 7종(4.9%) 범세계종(Cos. spp.)이 1종(0.7%)이고 한국고유종(Kor. spp.)은 25종(미확정 5종 포함, 17.4%)이었고 동양계(Or. spp.)는 한 종도 채집되지 않았다. 따라서 점봉산은 한국고유종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아 가장 한국적 특성을 잘 반영하는 동시에 북방계(Pal. + Hol., 16.1%)의 거미가 우세한 지역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인접국가와의 공통성을 보면, 한국과 일본, 한국과 중국, 한국과 러시아 (사할린과 시베리아 포함)의 공통종은 각각 115종(80.4%), 98종(68.5%), 48종(33.6%)으로 일본, 중국과 공통성이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한·일·중·러 공통종은 39종 (27.3%)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발치 정도와 방향에 따른 물리적 환경 변화가 생물상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따라서 자연환경을 보전을 위해서는 개발의 정도와 시간의 경과에 따른 생물상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감시 시스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거미류는 종다양성과 발생밀도가 자연상태에서 매우 높고 발견이 용이하기 때문에 조사의 진행정도에 따라 환경오염 등의 환경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지표생물로 활용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