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완효성질소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37초

벼 재배양식에 따른 유효성 비료의 시용량이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low-release Fertilizer Levels of Rice in Different Cultural Methods)

  • 정진일;최원영;최민규;이선용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47-756
    • /
    • 1995
  • 본 시험은 호남영농시험장 수도포장인 미사질토양에서 만금벼를 공시하여 건답직파재배와 어린모기계이앙 재배에서 완효성 비료와 속효성 비료 시용시 재배유형별 적정시비량과 생육특성을 비교 검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완효성 비료시용은 시용 후 토양에 인산과 양이온 함량 및 C.E.O. 함량이 다량 잔존하였다. 2. 재배유형간 간장과 경수는 완효성 비료가 건답직파보다 어린모기계이앙재배에서 초기생육을 더욱 조장시켰고 같은 질소 시비량에 속효성 비료를 기비에 20% 추가 시용한 것이 재배유형 모두 우수하였다. 3. 건물중비율(출수기)은 어린모기계이앙이 건답직파보다 그리고 속효성 시료가 완효성 시료보다 높았으며 속효성 100% 또는 완효성 100% 시용보다는 완효성 80% + 속효성 20% 추가구가 건물 중비율이 높았다. 4. 엽면적지수(출수기)는 속건성 비료에서는 건답직파보다 기계이앙재배가 높았으나 완효성비료에서는 건답직파가 높았으며, 비종별 엽록소함량은 완효성 비료가 속효성 비료보다 높게 함유하였으며 생육시간별로 보면 속효성 비료는 분얼기와 유수형성기에는 큰 차가 없었고 출수기에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며 출수이후에 급격한 감소를 보였으나 완효성 비료는 속효성 비료와는 달리 분얼기에도 높았고 유수형성기에서 보다 많이 함유하였으며 출수이후 황열기까지 완만한 감소를 보였던 바 두 재배유형이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5. 출수기는 건답직파가 기계이앙보다 2일 지연되었고 관행(속효성 100%이앙 어린모기계이앙)대비 완효성 비료는 어린모기계이앙에서는 2∼3일, 건답직파에서는 4∼5일이 지연되었고 간장은 속효성 비료에서는 기계이앙이, 완효성 비료에서는 건답직파가 컸다. 6. m 당 수수는 건답직파에서 많았고, 완효성 비료에서 많았으며 등숙율은 기계이앙재배가 건답직파보다, 속효성 비료가 완효성 비료보다 높았다. 7. 수량은 실행(516kg/10a)대비 속효성 비료의 100%와 80% 수준에서는 건답직파가 101%와 100% 그리고 어린모기계이앙은 80% 시비에서 6% 감수되었으며, 완효성 비료에서는 건답직파에서는 2∼4%, 기계이앙에서는 0∼3%의 증수를 보였다. 각 재배유형별 시비량간의 수량 순위는 기계이앙재배에서는 100% =80% + 20% > 100% + 20% > 80% 순이었고, 건답직파에서는 80% + 20% > 100% > 80% =100% + 20% 순으로 완효성 비료를 20% 감비시 속효성 비료 20% 추가구가 수량이 높았다.

  • PDF

요소수지(尿素樹脂)를 이용(利用)한 전작용(田作用) 완효성(緩效性) 복비(複肥) 개발(開發) I. 제조시험(製造試驗) (Development of Slow-Release Compound Fertilizer Used Urea-Resin for Upland Crop I. Manufacture of Slow-Release Compound Fertilizer)

  • 성기석;김복진;신제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93-198
    • /
    • 1990
  • 완효성(緩效性) 전작물(田作用) 복비(複肥)를 개발(開發)하고자 삼요소원(三要素源)으로 유안(硫安), DAP, 염화가리(鹽化加里)와 증수제(增量劑)로 석고(石膏)를 사용(使用)하고 U/F 반응(反應) mole비(比)가 0.5, 1.0, 1.5인 요소수지(尿素樹脂) 3종(種)을 점결제(粘結劑) 및 완효성(緩效性) 요소원(尿素源)으로 이용(利用)하여 복비(複肥) 제조시험(製造詩驗)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시제품(試製品) 제조시(製造時) 점결제(粘結劑) 및 첨가제(添加劑)로 사용(使用)한 요소수지(尿素樹指)는 U/F반응(反應) mole비(比)가 높을수록 A. I. 값, 전질소(全窒素) 및 미반응요소(未反應尿素) 함량(合量)이 높은 경향(傾向)이었다. 2. 시제품(試製品)은 첨가(添加)된 요소수지(尿素樹指)의 U/F반응(反應) mole 비(比)가 낮을수록 첨가량(添加量)이 많을수록 전질소(全窒素)의 수중용출속도(水中溶出速度)가 늦어지는 경향(傾向)이었으며 특(特)히 U/F반응(反應) mole비(比)는 전질소(全窒素)의 늦출속도(出速度)를, 첨가량(添加量)은 Ammonia 태(態) 질소(窒素)의 용출속도(溶出速度)를 지연(遲延)시키는 효과(效果)가 있었다. 3. 시제품(試製品)의 24 시간후(時間後) 전질소(全窒素) 용출률(溶出率)은 69~83%로 높은 것은 재배기간(栽培期間)이 짧은 작물(作物)에 낮은 것은 재배기간(栽培期間)이 긴 작물(作物)에 전량기비용(全量基肥用)으로 가능(可能)할 것으로 사료(思料)된다.

  • PDF

IR667의 수량(收量) 및 질소흡수(窒素吸收)에 미치는 완효성 질소비종별(窒素肥種別) 효과 (Effects of Slow-release Nitrogen Fertilizers on Yield and Nitrogen Uptake of IR667)

  • 권항광;박훈;박영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13-219
    • /
    • 1973
  • 국산(國産)(진해화학제조(鎭海化學製造)) 유황(硫黃)입힌 요소(尿素)(SCU)를 TVA제(製) SCU와 METAP 및 요소분시(尿素分施)와 비교(比較)하여 IR667 (Suwon 213)의 수량(收量)과 질소영양(窒素營養)에 대(對)한 효과(效果)를 조기(早期) 및 적기재배(適期栽培)의 포장시험(圃場試驗)으로 조사(調査)하였다. 1. 국산(國産) SCU는 초기(初期) 다량(多量)의 질소용출(窒素溶出)로 요소분시(尿素分施)에 비(比)하여 수풍(收豊)이나 질소영양면(窒素營養面)에서 우월(優越)한 점(點)이 별로 없었다. 2. 요소분시(尿素分施)보다 약(約) 10%의 증수(增收)를 보인 TVA제(製) SCU는 생육전기간(生育全期間)을 통(通)해 가장 높은 고중(藁中) 질소농도(窒素濃度)를 보이며 건물생산량(乾物生産量) 또는 질소흡수집적곡선(窒素吸收集積曲線)이 가장 균형적(均衡的)인 것이었다. 3. TVA제(製) SCU는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질소농도(窒素濃度)가 특(特)히 높으며 질소농도(窒素濃度)는 $m^2$ 당립수(當粒數)와 고도(高度)로 정비례(正比例) 하였다. 4. TVA제(製) SCU만이 유수형성기(幼穗形成期)에 질소흡수속도(窒素吸收速度)가 최고(最高)에 오는 일봉식(一峰式) 흡수속도양상(吸收速度樣相)을 보였다(기타(其他)는 이봉식(二峰式)) 5. 적기재배(適期栽培)에서 요소분시(尿素分施)의 질소이용율(窒素利用率)(37.1%)보다 TVA제(製) SCU는 높았으나 (46.0%) 국산(國産) SCU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38.9%) 조기재배(早期栽培)는 완효성(緩效性)의 질소이용율(窒素利用率)이 요소분시(尿素分施)보다 높았다. 6. TVA제(製) SCU는 출수후(出穗後)에 질소부족(窒素不足)현상을 보여주므로 용출양상(溶出樣相)이 다른 여러가지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를 혼합시비(混合施肥)하는 것이 가장 현상적(現想的)일 것으로 보였다.

  • PDF

벼 종이멀칭이앙 시 완효성비료 수준이 벼 생육, 잡초방제 및 질소효율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ontrolled-release Fertilizer Levels on Rice Growth, Weed Control and Nitrogen Efficiency in Paper Mulching Transplanting)

  • 전원태;양원하;노석원;김민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345-350
    • /
    • 2006
  • 본 시험은 벼 종이멀칭이앙 시 적정한 완효성비료의 시용량을 구명하고자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작물과학원 벼 연구 포장 강서통에서 대안벼를 2004년 5월 28일에 중묘를 멀칭기계 이앙하였다. 시험에 사용한 완효성비료는 LCU (Latex Coated Urea, 21-7-9) 복비를 시용하였다. 피복재료는 생분해성 폴리에스터 (PES $10{\mu}m$)+재생지를 이용하여 피복하였다. 처리내용은 관행질소시비량 ($110kg\;ha^{-1}$)을 기준으로 하여 완효성비료호 기준시비량의 60%, 80%구, 100%구와 관행 및 무질소구를 두고 시험을 수행하였다. 벼 멀칭이앙 시 모의 결주율은 무피복의 관행이앙과 차이가 없었다. 잡초발생 및 방제가는 시비량이 적을수록 잡초가 다양해지고 잡초방제가가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벼 이앙 후 일수가 진전됨에 따라서 시비량이 많을수록 초장와 경수가 크거나 많아지는 경향이었고 완효성비료 80%구의 벼 생육이 관행시비구와 차이가 없는 경향이었다. 엽색도와 토양 중 $NH_4{^+}-N$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수량구성요소 중 $m^2$당 이삭수의 증가로 인하여 완효성비료 80%구가 관행과 수량 차이가 없었다. 농업적 질소이용 효율은 시비량이 적을수록 증가하였다. 벼 종이멀칭이앙 시 벼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 잡초발생 및 방제가, 시비효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관행질소 시비량의 80%를 완효성비료로 이앙 전에 밑거름으로 전층시비 하는 것이 알맞을 것으로 생각된다.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배시 완효성비료 효과 (Effect of Latex Coated Urea on Growth and Yield in Rige Direct Dry Seeding for Water-saving Rice Culture)

  • 최원영;최민규;김상수;이재길;이문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221-225
    • /
    • 2002
  • 본 연구는 벼 휴립건답직파 절수재매시 완효성비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질소비료를 표준시비(N-160kg/ha) 대비 완효성비료(LCU: 18-12-13%)를 기비로 100%와 80% 시용구 및 기비로 60% 시용하고 속효성비료인 요소로 분얼비 또는 수비로 20%씩 각각 시용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기간중 지상부 생육은 LCU 100%에서 가장 컸고, LCU 시비량간에는 시비량이 많을수록 컸다. 2. 시비질소의 흡수량은 LCU 100%에서 가장 높았고 질소 시비효율은 LCU 60% + 수비(요소) 20% 시용구에서 가장 높았다. 3. 처리간 수량구성요소를 보면 $m^2$당 수수와 $m^2$당 립수는 LCU 100%에서 가장 많았고, 등숙비율과 현미 천립중은 비슷하였는데, 쌀 수량은 관행인 속효성 시비구 대비 LCU 100%에서 7% 증수되었다. 따라서 벼 휴립건담직파재배에서 관개수 부족시 절수재배가 필요하여 이때에 완효성비료로 시비할 경우 표준시비량(N-160kg/ha) 수준으로 시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폐지섬유를 이용한 완효성 요소비료의 특성 (Chemical Properties of Slow-Released Nitrogen Fertilizer Using Waste Paper Slurry)

  • 김복진;백준호;이병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09-113
    • /
    • 2000
  • 폐지섬유 내로 요소를 침적시켜 폐지섬유 내에 침투된 요소성분이 토양 중에서 서서히 용출됨으로써 작물의 요구에 알맞게 양분을 서서히 공급함과 동시에 이들 폐지섬유도 분해되도록 개발된 완효성 요소비료(시제품)의 화학적 특성, 미세구조 및 수중 질소용출량을 조사한 바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시제품의 화학적 조성은 질소가 26%, 인산, 가리는 각각 0.04. 0.01%였으며, 함유된 유해성분들 중에 크롬, 구리 납 등은 검출되었지만 비료공정규격 이하였으며, 비소와 카드뮴은 검출되지 않았다. 폐지섬유와 시제품의 구조를 주사전자 현미경(SEM)으로 확대해 보면 폐지섬유의 내부에는 빈 공간이 보이지만, 시제품에서는 폐지섬유의 셀룰로오스성 -OH기에 극성의 요소성분이 달라붙어 있었으며, 세포벽에 요소가 침적된 모습이 보인다. 시제품의 수중 질소용출량은 12시간까지는 60.4%로 급격하게 용출량이 많았으나, 그 후 서서히 용출되어 72시간에 75%까지 용출되었다.

  • PDF

벼 건답(乾畓) 직파(直播) 재배(栽培)시 인산(燐酸)입힌 완효성(緩效性) 비료(肥料)의 시용효과(施用效果) (Effect of Phosphate Coated Slow Release Fertilizer on Yield of Directly Seeded Rice)

  • 정영상;이호진;하상건;조병옥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8-113
    • /
    • 1997
  • 건답(乾畓) 직파시(直播時) 인산(燐酸) 입힌 완효성(緩效性) 비료(肥料)와 유기질(有機質) 비료시용(肥料施用) 효과(效果)를 강원도(江原道) 춘천시(春川市) 천전리(泉田里)의 강원대학교(江原大學校) 농업생명과학대학(農業生命科學大學) 부속농장(附屬農場)에서 포장(圃場) 시험(試驗)을 통하여 검토하였다. 직파(直播)된 품종(品種)은 오대벼이었다. 질소(窒素)의 수준은 15kg/10a를 표준으로 보아, 요소(尿素)의 분시(分施) 방법(方法)으로 분시(分施) 비율(比率) 40-0-30-30과 0-40-30-30 처리(處理)를 두고, 인산(燐酸) 입힌 완효성(緩效性) 비료(肥料)와 polymer입힌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 기비처리(基肥處理)를 두었다. 요소(尿素) 시용구(施用區)에서 인산(燐酸)과 칼리는 각각 7kg과 8kg/10a 수준으로 기비(基肥) 처리(處理)하였다.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로 춘천시 신북농협에서 공급되는 계분 톱밥 발효 퇴비를 400kg/10a 시용(施用)구 및 400kg/10a 기비시용구(基肥施用區)와 N5kg/10a 추비구(追肥區), 그리고 600kg/10a시용구(施用區)를 두었다. 구당 면적(面積)은 $75m^2$이었다. 1995년 포장 시험(試驗) 결과 건답(乾畓) 직파(直播) 재배구(栽培區)의 수량(收量)은 요소(尿素) 시용(施用)구에서 이앙재배구(移秧栽培區)의 84.9% 수준이었으며, 분시(分施) 방법(方法)간에 차이가 없었다. 인산(燐酸) 입힌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 시용구(施用區)의 수량(收量)은 이앙재배구(移秧栽培區)의 95.1%로 높았고 polymer 입힌 완효성비료구(緩效性肥料區)의 수량(收量)은 이앙재배구(移秧栽培區)의 90.4%이었다. 요소시유비기구(尿素施有肥機區)에 비해 유기질비료(有機質肥料) 400kg/10a 시용구(施用區)에서는 81.8%에 불과하였고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를 다량 시비(施肥)한 600kg/10a구에서는 이앙(移秧) 재배구(栽培區) 수량(收量)의 94.8%이었다. 1996년 포장 시험(試驗)에서는 인산(燐酸) 입힌 유효성(緩效性) 비료(肥料)의 효과(效果)가 이앙재배구(移秧栽培區)보다 증수(增收)된 결과(結果)를 보여 주었다. 토양(土壤)의 깊이 15cm에서 질산태(窒酸態) 질소(窒素)와 암모니아태 질소(窒素)의 농도(濃度)로 보아 질소(窒素)의 용탈이 요소(尿素)40-0-30-30구(區)에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 시용구(施用區)이며, 인산(燐酸) 입힌 완효성(緩效性) 비료(肥料) 시용구(施用區)에서 가장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 깊이에서의 인의 농도(濃度)로 보아 인(燐)의 용탈(溶脫)이 유기질(有機質) 비료(肥料) 시용(施用)구에서 가장 많고, 인산(燐酸)입힌 완효성비료(緩效性肥料) 시용구(施用區)에서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인산(燐酸) 입힌 완효성(緩效性) 비료(肥料)의 시용(施用) 효과(效果)가 좋은 이유는 비료(肥料) 성분이 서서히 용출(溶出)되어 나와 효과적(效果的)으로 작물에 공급된 한편 비료(肥料) 성분의 손실(損失)을 줄일 수 있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 PDF

호남평야지에서 벼 건답직파 조기파종재배에 알맞은 완효성 질소비료 시비량 (Recommendation Rate of Slow Release Nitrogen Fertilizer Application for Early Dry Seeding Culture of Rice in Honam Plain Area)

  • 김상수;최원영;백남현;최민규;박홍규;남정권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292-297
    • /
    • 2006
  • 호남평야지에서 건답직파 조기파종재배에 알맞은 완효성복합비료 시용량을 구명하고자 '97~'98년에 호남농업시험장 수도포장인 전북통(미사질양토)에서 동진벼를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토양의 암모니아태 질소는 유수형성기까지는 관행시비보다 모든 완효성비료 시비에서 많았고 완효성비료 시용량이 많을수록 많았으나 출수기에는 이삭거름시용으로 관행시비가 완효성비료보다 많았다. 초장은 최고 분얼기까지는 관행시비보다 완효성비료시비에서 길었으나 간장은 완효성비료 100%시용을 제외하고는 관행시비와 같거나 짧았다. 경수와 수수는 모든 생육시기에서 관행시비보다 완효성비료시용에서 많았고 완효성비료 시용량이 많을수록 많았으나 유효경비율은 정수 및 수수와 반대의 경향이었다. 질소 이용율은 관행시비보다 완효성비료시용에서 높았고 완효성비료 시용량이 많을수록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단위면적당 입수는 관행시비보다 완효성비료를 증시할수록 많았으나 현미 천립중은 단위면적당 입수와 반대의 경향이었다. 쌀 수량은 완효성비료 60% 시비는 관행시비와 차이가 없었으나 완효성비료 80%이상에서는 관행시비보다 증수되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질소이용율, 생육, 도복 및 수량을 고려한 벼 건답직파 조기파종 재배에 알맞은 완효성비료 전층시비량은 질소관행 시비량의 80%정도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