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완전미

검색결과 436건 처리시간 0.03초

도정수율(搗精收率)과 성능향상(性能向上)을 위(爲)한 연구(硏究)(II) -벼의 정백과정(精白過程)에 대(對)한 실험적(實驗的) 연구(硏究)- (Study on the Improvement of Milling Recovery and Performance(II) -Experimental Study on Rice Whitening Mechanism-)

  • 박준걸;정창주;노상하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7권1호
    • /
    • pp.62-72
    • /
    • 1982
  • 이 연구(硏究)는 정백과세중(精白過稅中)에 발생(發生)하는 도정산물(搗精産物) 즉, 정백미(精白米), 미당(米糖), 쇠미등(碎米等)의 발생(發生)을 조사(調査)함으로써 현미(玄米)의 정백(精白)이 진행(進行)되는 과정(過程)을 밝히고자 함이다. 본(本) 실험(實驗)에서는 분풍마찰식(噴風摩擦式) 정미기(精米機)를 사용(使用)하였으며, 정미기(精米機)의 롤러 회전속도(回轉速度)를 850rpm으로 고정(固定)하고 출구저항(出口抵抗)은 3가지 수준(水準)으로 변화(變化)시켰다. 한편 이 실험(實驗)에 사용(使用)된 벼는 밀양 23호(號)로써 전형적인 통일계품종(品種)의 일종(一種)이다. 매순환(每循環)마다 생산(生産)되는 정백미(精白米) 및 부산물(副産物)로부터 sample를 채취(採取)하여 미당(米糖), 대소쇄미(大小碎米), 완전미(完全米) 및 도정수율(搗精收率)을 분석(分析)하였다. 실험결과(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체당층(全體糖層)의 75%가 2번째 순환이내(循環以內)에서 제거(除去)되었다. 당층제거율(糖層除去率)은 출구저항(出口抵抗)에 크게 영향(影響)을 받으며, 높은 출구저항(出口抵抗)에서 높은 당층제거율(糖層除去率)을 보였다. 2) 대쇄미(大碎米)의 발생(發生)은 대부분 정백과정(精白過程) 초기단계(初期段階)에서 이루어 졌으며, 완전미(完全米)로 부터의 새로운 쇄미발생(碎米發生)은 순환(循環)이 반복(反復)됨에 따라서 급격(急激)히 감소(減少)하였다. 출구저항(出口抵抗)과의 관계(關係)는 출구저항(出口抵抗)이 증가(增加)할수록 대쇄미(大碎米)의 발생(發生)도 증가(增加)하였다. 3) 미당집적기(米糖集積器)로부터 채취(採取)한 sample에서 측정(測定)한 소쇄미(小碎米)는 양적(量的)으로 다른 도정산물(搗精産物)에 비(比)해 적은 편이었다. 8%의 미당(米糖)이 제거(除去)된 후(後) 소쇄미(小碎米)는 현미중량(玄米重量)의 0.6% 이하(以下)로 나타났다. 4) 도정수율(搗精收率)과 완전미수율(完全未收率)은 어느 정도 출구저항(出口抵抗)의 영향(影響)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구저항(出口抵抗)이 증가(增加)함에 따라서 특히 완전미수율(完全未收率)은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냈기 때문에 백미(白米)의 질적저하(質的低下)를 막기 위해 높은 출구저항(出口抵抗)(본(本) 실험결과(實驗結果)에 의(依)하면 85g/$cm^2$)을 사용(使用)하는 것은 부적당(不適當)한 것으로 사려(思慮)된다. 5) 백도계(百度計)의 측정치(測定値)와 미당제거정도(米糖除去程度)(정백도(精白度)) 사이에는 고도(高度)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있었다. 그러므로 "KETT"제(製) 백도계(百度計)는 정백미(精白米)의 정백도(精白度)를 판명(判明)하는데 사리(使利)하게 사용(使用)될 수 있다.

  • PDF

돈분 액비의 연용이 벼의 수량과 토양에 미치는 영향 (Changes in Soil Properties and Rice Production as Influenced by the Consecutive Application of Liquid Swine Manure in Paddy Field)

  • 류종원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21-234
    • /
    • 2016
  • 본 연구는 벼에 돈분액비와 화학비료를 연용하여 살포하였을 때 돈분액비가 벼의 수량과 미질 및 토양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2012년부터 3년간 수행하였다. 시험은 강원도 철원군 농가 포장에서 오대벼를 공시하여 실시하였다. 시비는 돈분액비를 질소 검정시비량을 기준으로 하여 100%에 해당하는 양을 처리하였으며, 화학비료 처리구와 비교하였다. 돈분액비의 시용년수에 따른 벼의 분얼수 및 초장은 돈분액비 1년 시용구와 화학비료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돈분액비 3년 시용구의 분얼수는 화학비료 시용구보다 많았다. 쌀의 수량은 돈분액비 1년 시용구가 화학비료 대비 7% 감소하였다. 그러나 돈분액비 3년 연속 시용구에서 $495kg\;10a^{-1}$의 수량을 얻어 화학비료 대비 8% 증수하였다. 돈분액비로 벼를 3년 재배하였을 때 쌀의 단백질 함량은 7.01%로 대조구인 화학비료 시용구 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아밀로스 함량은 15.5~17.0%로 처리구별 유의성은 없었다. 식미치를 Toyo 식미계를 이용하여 조사한 결과 돈분액비 100% 처리구의 식미치가 65.3%로 화학비료 시용구보다 낮은 수준이었다. 쌀의 품위 특성에서 돈분액비 100% 처리구의 완전미 비율은 78.7%로 낮았으며, 불완전미의 비율을 높인 주 원인은 분상질립, 피해립의 비율이 높았기 때문이었다. 3년간 돈분 액비를 계속 사용한 결과, 화학비료 처리에 비해 토양 중 칼륨과 아연의 함량이 높았으나 다른 중금속 함량도 관행 화학비료 처리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돈분액비의 3년 시용시 돈분 액비의 연용이 쌀의 수량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되지만 쌀의 단백질 함량이 증가하고 Toyo 식미치와 완전미 비율은 감소하는 결과를 얻었다. 돈분액비 3년 시용 후 토양의 칼륨 축적이 되므로 토양검정에 의한 액비 적량시용이 요구된다.

벼 이삭마름병 발병시기와 정도가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velopment Time and Severity of Rice Ear Blight on Rice Yield and Quality)

  • 심홍식;홍성준;홍성기;김용기;예완해;성재모
    • 식물병연구
    • /
    • 제12권1호
    • /
    • pp.5-9
    • /
    • 2006
  • 일미벼는 착색정도가 심할수록 완전미 비율이 낮아지고, 변색미, 사미, 청미, 쇄미의 비율이 높아지며, 착색정도가 심할수록 현미의 진균 오염정도가 높았으며, 진균종류도 다양하였으며, 출수 직전과 출수시 병원균을 접종한 결과 주당 수량은 무처리 대비 큰 차이는 없었으며, A. alternata, A. padwickii, N. oryzae는 출수 직전에, B. oryzae와 C. lunata는 출수시 접종할 경우 발병이 높았다. 출수 직전 병원균 접종시 N. oryzae가 현미의 완전미 형성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었으며, 출수시 병원균 접종시에는 A. alternata가 현미 품질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었으며, 발병정도가 수량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편이나, 병원균 접종량이 많아질수록 발병율은 매우 높아지고 품질도 저하되었다.

영남평야지에서 벼 이앙시기에 따른 도정특성 변화와 도정특성 유망 유전자원 탐색 (Changes of Milling Quality of Rice Varieties According to the Transplanting Time and Good Resources with High Milling Quality in Yeongnam Plain Paddy)

  • 김춘송;이종희;곽도연;전명기;강종래;여운상;신문식;오병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3권spc호
    • /
    • pp.1-8
    • /
    • 2008
  • 본 연구는 30개의 고품질 벼 품종을 공시하여 영남 남부 평야지에서 이앙시기의 차이가 도정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우리나라에서 재배되는 고품질 벼 품종 중에서 도정특성이 우수한 유전자원을 탐색하고자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만기(6월 20일) 이앙시 보통기 이앙에 비하여(6월 5일) 출수가 6일 늦어지면서 등숙율과 백미 완전립비율, 완전미 도정수율이 증가하여 수당립수의 감소에 따른 쌀수량의 차이가 컸음에도 불구하고 완전미 쌀수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2. 현미 선별체를 이용한 현미립의 두께에 따른 분포특성은 보통기 이앙에 비하여 만기 이앙에서 $1.6{\sim}1.9\;mm$ 두께의 현미립이 줄고, 1.9 mm 이상 두께의 현미립이 증가하여 균일도가 향상되었다. 3. 보통기와 만기 이앙간에 도정 손실율의 차이는 없었으나, 도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만기 이앙에서 증가하였다. 4. 도정특성이 우수한 유망유전자원으로 남평벼, 일미벼, 추청벼, 동진벼, 호평, 말그미, 칠보, 히노히까리, 청무 등 9품종을 선정하였다. 5. 등숙율은 추청벼, 동진벼, 밀양 205호가 90% 이상으로 가장 양호 하였으며, 백미 완전립비율은 남평벼가 95%로서 가장 좋았고, 완전미 쌀수량은 남평벼와 일미벼가 500 kg/10a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쌀 탈기포장을 위한 자동비닐포장기의 탈기장치 개발 (The Development of Air Removing Device of Automatic Vinyl Packing Machine for Rice Package Removed Air)

  • 정종훈;엄천일;이갑현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21-225
    • /
    • 2002
  • 최근 중국 WTO가입과 농산물의 시장의 개방에 따라 국내에서 경쟁력이 높은 고품질의 농산물을 생산하려고 있다. 특히 쌀 시장도 2004년에는 완전 개방되므로 이에 대비해서 쌀의 고품질화 및 특수미 개발로 우리 쌀의 국제적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현재 일본 등의 선진국에서는 영양강화미, 발아현미, 향미, 기능성 쌀 등 다양한 특수 미를 생산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인삼 쌀, 잡곡성형 쌀, 혼합곡, 버섯 쌀, 무세미 등을 비롯한 특수 미를 생산하여 판매하고 있으나, 고가, 낮은 저장성, 떨어지는 밥맛, 인공적인 처리로 인한 거부감 등 때문에 일반인에게 기호도가 매우 낮은 편이다. (중략)

  • PDF

서남부 간척지에서 벼 담수표면산파재배시 토양 염농도별 적정 파종량 (Optimum Seeding Rate in Different to Soil Salinity for Broadcasting on the Rice Flooded Paddy Surface at South-western Reclaimed Saline Land of Korea)

  • 백남현;최원영;고종철;박홍규;남정권;박광근;김상수;김보경;김정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spc1호
    • /
    • pp.47-51
    • /
    • 2006
  • 서남부 간척지에서 벼 담수표면산파재배시 토양 염분농도별 적정 파종량을 구명하고자 $2003{\sim}2004$년에 걸쳐 호남 농업 연구소 계화도출장소 시험포장인 문포통(세사양토)의 저영답(토양 염농도 0.1%)과 중염답(토양 염농도 0.3%)에서 서간벼를 공시하여 파종량별 입모수, 생육, 수량 및 백미 외관 품위 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입모수는 중염답보다 저염답에서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많았다. 2. 간장과 수장은 중염답이 저염답보다 파종량이 증가할 수록 짧았으며, 도복은 토양염농도에 상관없이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심했다. 3. 완전미 수량은 저염답에서는 파종량 5 kg/10a까지, 중염답에서는 파종량 7 kg/10a까지는 증가되었으나 그 이상의 파종량에 서는 수량이 증가하지 않았다. 4. 백미의 외관상 품위는 파종량이 증가할수록 저염답보다 중염답에서 완전미율이 낮았다. 5. 따라서 서남부 간척지에서 벼 담수표면산파재배시 입모, 벼 생육, 완전미 수량 및 백미의 외관상 품위 등을 고려할 때 적정 파종량은 저염답은 $5{\sim}7kg/10a$, 중염답은 $7{\sim}9kg/10a$이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등숙기 도복 시기 및 정도에 따른 쌀 품질 특성 (Characterization of Grain Quality under Lodging Time and Grade at Ripening)

  • 정응기;김기종;천아름;이춘기;김선림;;손종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440-444
    • /
    • 2006
  • 1. 도복정고에 따른 주요 작물학적 특성은 도복시기가 빠르고, 도복정도가 심할수록 수당립수는 많았고, 등숙비율은 낮았으며, 현미천립중은 가벼웠다. 2. 완전미도정수율은 출수후 20일 완전도복(9), 출수후 20일 반도복(5), 출수후 25일 완전도복(9), 출수후 25일 반도복(5), 출수후 30일 완전도복(9), 출수후 30일의 반도복(5), 무도복 순으로 높게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따라서 도복에 따른 완전미도정수율은 도복시기가 빠르고 도복정도가 심할수록 낮아지고 분상질미, 쇄미 및 사미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3. 밥의 찰기와 질감에 나쁜 영향을 주는 단백질함량이나 밥맛을 간접적으로 비교하는 토요식미치와 실제적인 페널에 의한 밥맛은 무도복에 비해 도복시기가 빠르고 도복정도가 심할수록 식미가 나빠지는 쪽으로 영향을 미쳤고, 도복 시기보다는 도복정도가 더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서남부 간척지에서의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적정 질소시비량 (Proper Nitrogen Fertilizer Level for Improving the Rice Quality at Reclaimed Saline Land in the Southwestern Area)

  • 백남현;최원영;고종철;남정권;박홍규;정진일;김상수;박광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46-50
    • /
    • 2005
  • 서남부 간척지에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생태형별 적정 질소시비량을 구명하고자 2003년과 2004년에 호남농업연구소 계화도출장소 시험포장 문포통(세사양토, 토양 염농도 $0.1\%$)에서 삼천벼, 화성벼, 남평벼를 공시하여 질소시비량에 따른 벼 생육, 수량구성요소, 수량 및 품질 관련형질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수수와 영화수는 질소시비량이 증가할수록 많았으나 등숙비율이 낮았으며 현미천립중도 가벼웠다. 2. 백미의 완전립비율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낮아졌고, 단백질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증가됨에 따라 다소 높아지는 경향이었으나 아밀로스함량은 질소시비량간에 별 차이가 없었다. 3. 완전미 수량은 삼천벼가 질소 12/10a수준까지, 화성벼와 남평벼는 11/10a 수준까지는 증수되었으나 그 이상의 질소시비량에서는 수량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4. 따라서 서남부간척지에서 벼 기계이앙재배시 완전미 수량, 등숙비율 및 미질 등을 고려한 10a당 적정 질소시비량은 $11\~12$으로 판단된다.

호남평야지에서 쌀 품질 향상을 위한 적정 질소시비량 (Proper Nitrogen Application Level for Improving the Rice Quality in Honam Plain Area)

  • 남정권;김상수;이준희;최원영;백남현;박홍규;최민규;권태오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0권spc1호
    • /
    • pp.56-61
    • /
    • 2005
  • 호남평야지에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질소시비량을 구명하고자 $2002\~2004$년에 호남평야지인 익산에서 삼천벼, 화성벼, 남평벼를 공시하여, 질소시비량에 따른 생육, 수량구성요소, 수량 및 품질 관련형질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단위면적당 수수와 입수는 다비할수록 많았으나, 등숙비율과 현미천립중은 다비할수록 저하되었다. 2. 백미 외관상 품위에서 완전립 비율은 질소시비량이 많을수록 낮았고, 아밀로스 함량은 질소시비량 간에 별 차이가 없었으나, 단백질 함량은 질소시비량이 증가됨에 따라 다소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3. 쌀 수량은 삼천벼와 화성벼는 질소 9kg/10a, 남평벼는 질소 11kg/10a까지, 완전미 수량은 삼천벼와 화성벼는 질소 7kg/10a, 남평벼는 질소 9kg/10a 수준까지는 증수 되었으나 그 이상의 질소시비량에서는 수량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4. 따라서 호남평야지에서 완전미 수량, 등숙비율, 미질 등을 고려한 10g당 적정 질소시비량은 9kg 내외로 판단된다.

N, P, K 및 유기물의 23년간 연용이 수도의 수량생산성과 미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23-years Successive Application of N, P, K and Organic Matter on Rice Yield and Quality)

  • 이종훈;오윤진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32-339
    • /
    • 1991
  • 본 시험은 1968-1990년까지 23년간을 동일시험구에서 무비구를 비롯하여 무질소구, 무인산구, 무가리구, 3요소구, 3요소+유기물구(퇴비 또는 생고), 3요소十석회구를 설치하고, 1990년수도품종 ‘진흥’을 공시하여 그 수량생산성과 미질의 외관 및 이화학적특성을 조사하므로써 장기간에 걸친 시비법이 수량과 양질미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량생산성은 3요소구에 비해 3요소+유기물구에서 3-7%의 증수효과가 있었으며, 1 증수요인은 수수와 1수당입수의 증가였다. 2. 무가리구의 수량은 85%로 등숙률의 저하가 감수요인이며, 무인산구는 74%로 수수의 감소가 감수요인이며, 무질소구와 무비구는 59-33%로 수수와 1수립수의 현저한 감소가 감소요인이었다. 3. 미질의 외관적 특성은 무비, 무질소, 무인산구에서 수량은 크게 낮은 반면에 완전미율이 높고 동할미, 심복백미율이 현저히 적으며 3미립의 투명도도 높아 양질의 외관을 보였다. 이에 대해 고수량을 보인 3요소+유기물구(퇴비, 생고)에서 완전미율이 낮고 동할미, 심복백미율이 높고 투명도가 낮아 외관적 미질이 저하하는 경향이었다. 4 미질검정으로 이용되고 있는 물리적 특성인 알칼리붕괴성과 gel consistency는 처리간 차이를 인정할 수 없었다. 5. 식미의 량부로 평가하고 있는 미립의 화학적 특성은 처리간 차이를 인정할 수 있었다. 즉 단백질함량은 3요소+유기물구에서 높고 무비구에서 낮았으며 Mg, Mg/K, Mg/KㆍN, Mg/KㆍN\ulcornerAmylose는 무비, 무질소, 무가리구에서 높고, 3요소+유기물. 3요소+석회구에서 낮았다 6. 이상과 같은 결과로 미루어 본 실험에 시용된 절대질소량은 많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3요소+유기물구는 유기물 분해에 따른 질소의 추비적 효과가 나타나서 무비, 무질소구에 비해 동할미, 심복백미 등 미립의 외관적 특성을 저하시키고, 단백질함량은 높이고 Mg/K\ulcornerNㆍAmylose를 낮추어 식미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해석된다 7. 취급특성으로서의 흡수율, 취급액요드정색도, 취급용액출고형물은 처리간 명백한 경향을 발견할 수 없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