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열

Search Result 573,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sign of Multi-channel Temperature/Humidity Measurement System for Thermal Comfort Evaluatoion (온열쾌적성 평가를 위한 다채널 온습도 분포측정 시스템의 설계)

  • 한화택;김성환;김묘향;박명규;지용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244-24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온열환경 평가를 위한 다채널 온습도 분포측정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하여 인체의 쾌적성에 영향을 미치는 온열환경요소를 분석, 이를 적용하기 위한 측정시스템의 설계개념과 요구사양에 고나하여 고찰하였다. 정밀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센서의 응답성과 회로의 선형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사용자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분석 소프트웨어를 설계하였다. 소프트웨어는 의복내의 온열환경과 실내공간의 온열환경을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나누어져 있고 각각의 소프트웨어는 전처리와 후처리 프로그램 그리고 측정시스템과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설계 개념을 반영하여 다채널 온습도 분포측정 시스템이 개발될 경우, 각종 온열환경에 관한 연구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nalysis of Physiological Signals for Thermal Comfort (온열쾌적감 평가를 위한 생리신호의 분석)

  • 최현배;김동규;임재중;금종수;이구형;최호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7.11a
    • /
    • pp.118-122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온열환경에 따른 쾌적감을 조사하기 위하여 온열환경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서 생리신호를 분석하였다. 생리신호로는 인체의 자율신경계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는 HRV변수 및 대뇌의 각성수준을 나타내는 CNA파형의 변이도를 이용하였다. HRV스펙트럼분석을 통해 얻어진 HF/LF변수를 이용하여 주어진 환경하에서 교감 및 부교감 신경의 활동성을 조사하였고, CNA 파형에서는 경고신호가 주어진 뒤 0.5-1초 구간의 면적값을 이용하여 온열쾌적감과의 상관성이 높게 나타나지 않은 반면, HRV스펙트럼분석에서는 휴지기에 비해 발과 얼굴부위에 대한 HF/LF값이 높은 사실을 통해 교감신경에 비해 부교감신경이 지배적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바과 얼굴이 주위온도에 따른 인체의 쾌적감을 변화시키는데에 있어서 주된 부위임을 나타내며 HRV스펙트럼분석 및 CNV파형의 관찰이 온열환경에 대한 쾌적감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음을 말해준다.

  • PDF

Evaluation of Thermal Comfort for the Vertical Room Air Temperature Difference and for the Control of Air Stream based on Physiological Signal Analysis (실내 상하온도차와 기류방식 제어에 따른 온열쾌적성 평가를 위한 생리신호분석)

  • 이낙법;임재중;배동석;금종수;최호선;이구형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1
    • /
    • pp.147-155
    • /
    • 1999
  • 온열쾌적감에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들로는 온도, 습도, 기류 등의 물리적 요인과 성별이나 체질 등 뿐만 아니라 온열환경에서 느끼는 인간의 감성적인 측면도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온열 환경 중에서 실내의 상하온도차와 기류방식의 제어에 따른 생체반응의 변화, 및 감성의 변화를 관찰하여 온열환경에 따른 인간의 온열쾌적감을 평가하기 위해 생리신호를 측정, 분석하였다. 인간에게 가장 쾌적함을 주는 최적의 실내 상하온도차와 기류제어방식을 구현하기 위한 평가방법으로 MST(mean skin temperature)분석 및 HRV(heart rate variability) 분석과 EEG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실내의 상하온도차는 23$^{\circ}C$의 머리부위 온도에서 발 부위와의 온도차가 -3$^{\circ}C$일 때 가장 쾌적한 조건으로 나타났고, 기류제어방식은 감성기류조건에서 가장 쾌적함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실내의 상하온도차와 기류방식에 대한 온열환경의 쾌적조건을 설정하였고, HRV 분석과 EEG의 주파수 분석이 주판신소설문평가와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어 이러한 생리신호의 분석이 인간의 감성적 측면을 고려한 온열쾌적성을 펑가하는데 보다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평가지표로 이용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Combined Effects of Gamma-irradiation and Hyperthermia on the Human Cell Lines for Various Temperatures and Time Sequences (감마선과 온열치료 병용시 세포 치사 능력 증강에 관한 실험적 연구)

  • Koh Kyung Hwan;Cho Chul Koo;Park Woo Yoon;Yoo Seong Yul;Yun Hyong Geun;Shim Jae Won;Lee Mi Jung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11 no.1
    • /
    • pp.51-58
    • /
    • 1993
  • We tried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basis of clinical use of combined modality of hyperthermia and radiation therapy. For this purpose, we made an in vitro experiment in order to get the synergistic and/or additive effects on the cell killing of hyperthermia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by using the microwave-hyperthermia machine already installed at our department. In our experiment, we use two human cell lines: MKN-45 (adenocarcinoma of stomach) and K-562 (leukemia cell lines). In cases of combined treatments of hyperthermia and gamma-irradiation, the therapeutic effect was the highest in the simultaneous trial. Hyperthermia after gamma irradiation showed slightly higher therapeutic effect than that before irradiation without significant difference, but its effect was the same in the interval of 6 hours between hyperthermia and irradiation. The higher temperature and the longer treatment time were applied, the higher therapeutic effects were observed. We could observe the thermoresistance by time elapse at $43^{\circ}C$. When hyperthermia was done for 30 minutes at the same temperature, thermal enhancement ratio (TER) at DO. 01 (dose required surviving fraction of 0.01) were $2.5{\pm}0.08,\;3.75{\pm}0.18$, and $5.0{\pm}0.15\;at\;436{\circ}C,\;44^{\circ}C,\;and\;45^{\circ}C$ respectively in K-562 leukemia cell lines. Our experimental data showed that more cell killing effect can be obtained in the leukemia cell lines, although they usually are known to be radiosensitive, when treated with combined hyperthermia and radiation therapy. Furthermore, our data show that leukemia cell lines may have various intrinsic radiosensitivity, especially in vitro experiments. The magnitude of cell killing effect, however, will be less than that of MKN-45.

  • PDF

Change of isometric contractile force and muscle activity applying ice and hot according to the time on biceps brachii muscle (온열 및 한랭의 적용시간에 따른 상완이두근의 등척성 수축력과 근활성도 변화)

  • Lee, Joon-Hee;Jeon, Jae-Ke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11
    • /
    • pp.459-465
    • /
    • 2012
  • This study h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isometric contractile force and muscle activity applying ice and hot according to the time from the biceps brachii muscle. In this study, 20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nts without musculoskeletal and neurological disorders. By applying a hot pack 5 min, 10 min, 20 min and 30 min respectively and ice pack for 5 min, 10 min, and 20 min respectively. After that measurement are skin temperature, contractile force and muscle activity. Skin temperature of the hot and cold 5 min applied that rapidly changing. Increasing the time it takes to apply a variance has been reduced(p<.001). Isometric contractile for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highest when applying the hot pack 5 minutes and lowest when applying the hot pack 30 minutes(p<.001). Muscle activity and median frequency was highest when applying the hot pack 5 minutes. To analyze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isometric contractile force and muscle activity changed according to the applying time. These result lead us to the conclusion that this study will be more evidence for changes in muscle contraction to apply hot pack and ice pack on clinic.

A New Temperature Control System by PWM Control Method for Thermal Massage System (PWM 제어방식에 의한 온열치료기의 새로운 온도제어 시스템)

  • Song, Myoung-Gyu;Lee, Jae-Heung
    • Journal of IKEEE
    • /
    • v.18 no.3
    • /
    • pp.409-419
    • /
    • 2014
  • This paper proposes a new temperature control algorithm and system configuration of the pTMS(personal Thermal Massage System). By controlling the pulse width of the PWM(Pulse Width Modulation), the temparature of the heating lamp can be controlled stably, which is indispensable to the massage function. This technology is also adapted to the 'thermal massage', 'thermal acupressure', 'thermal moxibustion' functions of medical equipments. The temperature could be set at between $40^{\circ}C{\sim}70^{\circ}C$ by increments of $5^{\circ}C$, the control could be made in real time by increments of $1^{\circ}C$, and the temperature is displayed on the monitor by triggering every 2 seconds. when the present temperature is equal to the preset temperature, the PWM signal is minimized, and when the present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preset temperature, overheating is prevented by interrupting the PWM output signal. When the difference of temperature exceeds $4^{\circ}C$, the PWM control is maximized in order for the system to reach the target temperature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Biologic rationale of cancer treatment with hyperthermia (고온온열치료장치를 사용한 종양치료의 생물학적 원리)

  • 김명세
    • Proceedings of the Korea Electromagnetic Engineering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47-55
    • /
    • 1999
  • 고온온열치료는 radiofrequency, ultrasound , microwave, 원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신체의 부분 혹은 전신을 4$0^{\circ}C$ 이상으로 가열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우리나라에 도 입된 15기의 기계중 현재까지 사용되고 있는 것은 대부분이 radiofrequency를 사용하는 기 계이며 현재 고신의대, 동아의대, 부산메리놀병원, 여의도 성모병원, 영남의대, 전주예수병원 등에서 환자치료에 사용하고 있다. 고온 온열치료제(hyperthermia)는 직접 암세포를 죽이는 작용, 방사선치료나 항암제치료와 병행하여 그 효과를 증강시키는 작용으로 크게 나눌수 있 다. 직접 암세포를 죽이기 위하여는 43$^{\circ}C$이상의 고온을 사용하여야 하나 인체에서는 42.5$^{\circ}C$ 이상으로 가온하기가 쉽지않아 4$0^{\circ}C$~42$^{\circ}C$ 정도의 온도에서 방사선 치료나 항암제 치료효과 를 증진시키는 작용을 임상에서 주로 사용하고 있다. 특히 방사선 치료와 병합 사용시 그 효과가 뛰어나 간암, 난소암, 대장 직장암, 식도암, 위암, 자궁암, 전립선안, 췌장암, 폐암등, 거의 모든 암에서 부작용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그 효율을 1.1-6.14배나 증가시킨다고 보 고되고 있어 지난 10여 년간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암의 치료에 희망을 주고 있다. 방사 선 치료와 병합시 효과를 증대시키는 기전은 1)세포의 핵 합성기 (S-phase)는 방사선 치료 에는 매우 저항력이 강하여 잘 죽지 않으나 고온온열치료에는 예민함으로 암세포는 정상조 직에 비해 산소가 부족하여 염기성대사(anaerobic metabolism)를 많이 함으로 그 부산물인 유산 (lactic acid)이 많이 생성됨으로 정상조직보다 pH가 낮아 암 조직이 정상조직에 비해 고온온열치료에 더 잘 듣는 원인이 된다. 3) 영양이 부족한 상태의 세포는 고온온열치료에 훨씬 예민하다. 4) 암조직은 혈관상태가 정상조직에 비해 좋지 않음으로 정상조직보다 쉽게 가온이 되며, 일단 가온된 온도는 잘 식지 않음으로 정상조직에 비해 훨씬 효율적이다. 5)고 온온열치료는 4$0^{\circ}C$~43.5 $^{\circ}C$정도에서만 이 작용이 일어남으로 정상인체에서 43$^{\circ}C$이상의 가온 은 쉽지 않음으로 이 효과는 암조직에서 주고 일어나게 된다. 6)고온온열치료는 방사선치료 후에 생기는 손상의 재생을 억제함으로 방사선의 치료효과를 높인다. 7)38.5$^{\circ}C$~41.5$^{\circ}C$의 낮 은 온도에서도 암조직의 산소 상태를 호전시켜 방사선 치료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 PDF

Development of Thermal Comfort Sensation in the Variation of Air-velocity and Temperature in Air-conditioner (에어컨의 기류 및 온도 변동에 따른 인체 순응에 관한 연구)

  • 장문간;금종수;조관식;이기섭;최광환;정용현;김동규;김형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41-146
    • /
    • 2001
  • 실내 공기조화를 하는 거주역에 대한 온열환경요소의 자극 변화를 통해 실내 에너지를 절약할 수도 있으며 쾌적감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거주자의 온열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온열요소 중 비교적 영향이 크고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는 온도 및 기류의 변동으로 한국인의 온열감각(온냉감, 쾌적감,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온도 및 기류별 실험을 통하여 22$^{\circ}C$, 24$^{\circ}C$, 26$^{\circ}C$의 각 온도에 대한 패케지 에어컨의 강, 중, 약 기류에 대한 인체순응 시간과 인체 변화를 파악하였다. 또한 인체순응시간을 고려한 온도 상승 실험을 통하여 24$^{\circ}C$, 26$^{\circ}C$에서 1$^{\circ}C$온도 상승시 인체의 온열쾌적감의 변화를 파악하였으며 온도 상승을 통한 인체 순응시간을 도출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초기공조 조건을 24C$^{\circ}C$ 로 한 경우 인체순응을 통한 온도 상승으로 30분 후의 공조중기와 공조후기에 온도 및 기류의 지속적인 변동 자극으로 온냉감은 "약간 서늘하다"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온도상승으로 인한 쾌적존의 높은 온도에서도 기류의 영향으로 쾌적감은 30분 이후부터 "쾌적"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인체순응을 고려한 온도 및 기류의 자극을 통하여 공조초기부터 공조말기의 장시간에도 인체가 지속적인 쾌적성을 유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성을 유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A Investigation of On-board Thermal Factor (함정 선내의 온열요소에 대한 조사 연구)

  • Jang M.S.;Koh C. D.;Moon I. S.;Lee C. J.;Kim S. 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8 no.1
    • /
    • pp.31-38
    • /
    • 2005
  •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research of environmental and human factors for a design of PMVbased air conditioning system in the ship. In the results from environmental factor research, it is possible to dissatisfy thermally in the wheel house and communication room of 25 ton and engine room of 100 ton. The clothing and activity in the ship is modified using inland indoor characteristics. Thermal resistance of clothing may be more sensitive to PMV(predicted mean vote) than metabolic rate because of large deviation among maritime polices. The distribution of human factor is right long-tailed than standard normal distribution.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s of X-ray Irradiation and Hyperthermia on the Rat Testis (X-선 조사와 온열요법이 백서고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ee, Kyung-Ja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v.8 no.1
    • /
    • pp.17-27
    • /
    • 1990
  • The effects of both hyperthermia alone and X-ray irradiation combined with hyperthermia on rat testis have been investigated. The hist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on 15 and 30 days after treatment. There was no histological change of rat testis by hyperthermia alone. The earliest change by X-ray irradiation was the degeneration of the spermatogonia of the seminiferous tubule, which was appeared in 2 Gy group. Necrosis of the spermatogonia was severe in 6 Gy group and complete atrophy was developed in 8 Gy group. With increased dose of radiation, the degree of changes of tubules was increased. In combined group of X-ray irradiation and hyperthermia, the histological change of the seminiferous tubule was more severe than X-ray alone group. Necrosis and atrophy of the spermatogonia were appeared in 2 Gy and complete atrophy of spermatogonia was seen in 6 Gy group. Thermal enhancement ratio (calculated at the complete atrophy of the spermatogonia) was 1.3 in this experiment. There was no difference in observation time inverval between 15 and 30 days after each treatment in all group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