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온라인 의복구매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온라인 의복구매를 위한 소비자 정보탐색의 경로분석적 탐구 (A Path Analytic Exploration of Consumer Information Search in Online Clothing Purchases)

  • 김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721-1732
    • /
    • 2007
  • 본 연구는 온라인 의사결정과정에서 온라인 쇼핑속성, 정보원 및 구매의도와 관련된 소비자 정보탐색의 경로모델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미국 남서부지역의 대학교에 재학중인 대학생으로 표본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총 219명의 이용 가능한 자료가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요인분석과 LISREL8.53을 이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소비자의 온라인 의복구매를 위한 정보원은 온라인 정보원, 소매점 정보원, 대중매체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특히, 온라인 의복구매를 위해 소매점 정보원(점포내 디스플레이, 제조업체의 팜플렛 또는 카달로그)을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된 경로모델을 살펴보면, 온라인 쇼핑속성의 중요도가 정보탐색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특히 온라인 의복 구매시, 소비자의 온라인 정보원 이용은 거래관련속성 즉 구매유인서비스(incentive service)에 의해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반면, 소매점 정보원 이용은 심미성, 가격 등의 제품 및 시장관련속성의 중요도에 의해 더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세가지 탐색유형 모두 구매의도에 정적인 효과를 보이고 있었으며, 다른 정보원에 비해, 소매점 정보원 이용이 온라인 의복구매의도에 가장 큰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온라인 쇼핑속성별 소비자의 차별화된 정보탐색 패턴이 온라인 구매의도를 증가시키고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의류제품의 멀티채널 소매전략(Multi-channel retailing) 방향이 논의되었다.

위험지각 측면에서의 의복관여와 온라인 충동구매행동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Dimensions of Apparel Involvement and Online Impulse Buying Behavior)

  • 이영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12호
    • /
    • pp.1733-1741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위험지각 측면에서의 의복관여도와 의류판매 웹사이트 상에서의 충동구매행동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인터넷 설문지를 사용한 데이터 수집을 통해 339부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가설검증 전에 의복관여 요인을 분류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위험지각 측면에서의 의복관여가 두 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첫번째 요인은 risk importance이고 두 번째는 risk probability로 분류되었다. MANOVA를 통한 통계분석 결과 충동구매집단이 비충동구매집단보다 의복관여의 risk importance와 risk probability의 측면 모두에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고 충동구매집단의 충동구매성향과 의복관여도의 두 가지 측면이 모두 부적인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가설 1,2 모두가 검증되었다.

아바타 패션마케팅에 따른 의복 구매행동 연구

  • 장승희;이선재
    • 한국복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복식학회 2004년도 제29회 정기총회 및 춘계학술대회
    • /
    • pp.69-69
    • /
    • 2004
  • 최근 인터넷 이용자의 증가와 인터넷 활성화에 따라 새로운 인터넷 컨텐츠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로 새롭게 제시된 온라인 수익모델로 아바타 서비스가 활발히 제공되면서, 인터넷 이용자와 닷컴 기업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중략)

  • PDF

한국과 미국 소비자의 온라인 의복구매시 추구혜택비교 (A Comparison of the Benefits for Online Clothing Purchase between Korean and U.S. Consumers)

  • 김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7호
    • /
    • pp.1074-1085
    • /
    • 2009
  • This study compares the benefits for online clothing purchases between Korean and U.S. consumers. A total of 464 usable questionnaires were obtained from respondents who resided in Korea (n=253) and the United States (n=21l).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MANOVA. For online clothing purchases, the benefit consisted of five factors: product attribute, transaction services, security, country of origin, and brand symbolism.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effect of nationality and gender on the benefit factors were significant; there was an effect of nationality on product attributes, transaction services, and country of origin. Compared with Korean consumer, U.S. consumers were more likely to consider the benefits of product attributes, transaction services, and country of origin for clothing in online purchases. In addition, there was a gender difference in benefit factors of product attributes, transaction services, country of origin, and brand symbolism. Females were more likely than males to consider the benefits for clothing in online purchases. An interaction effect of nationality and gender was not significant in online purchases for clothing. The manageri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for global fashion marketing across the countries.

소비자들의 온라인 플랫폼 의류제품 구매실태 조사 - 10대~50대 남녀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 (A survey on consumers' purchase status of clothing products via online platforms - Focusing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en and women in their 10s to 50s -)

  • 박영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31권5호
    • /
    • pp.669-691
    • /
    • 2023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variations in online clothing purchasing patterns based on demographic attributes and purchasing behavior. The survey subjects comprised individuals in their 10s to 50s who had prior experience with online shopping. The survey was conducted in Gyungnam from May to June 2022. A total of 397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the χ2-test statistical method. The analysis of clothing purchase type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revealed differences in terms of gender, marital status, age, monthly income, and occupation. Notably, when analyz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lothing purchase types, monthly online purchase frequency display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ital status, age, and occupation. Similarly, monthly purchase amounts through online platforms exhibited significant variations based on marital status, age, monthly income, and occupation. The online fashion platforms, when examined in relation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urchase typ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ross all variables. Clothing purchases by consumers seeking individuality and differentiation exhibi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occupation, and purchase types. Furthermore, the reasons for choosing online platforms for clothing purchases varied significantly based on age and occupation. These findings indicate diverse purchasing behaviors on online platforms influenc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se findings can be valuable for effectively segmenting the online fashion market.

중국여성의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한국산 의복 구매행동과 만족도 (Chinese Women's Purchasing Behavior and Satisfaction for Korean-Made Clothing Purchased Online)

  • 반홍우;최종명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10호
    • /
    • pp.39-4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inese women’s clothing purchase behavior and satisfaction for clothing made in Korea. Data was collected from Chinese women who had made purchases of Koreanmanufactured clothing using the Chinese online shopping mall named ‘TaoBao’. In total, the responses of 439 questionnaires were tabulat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program 12.0. Results were as follows: 1) Shopping motivation was classified based on two factors: transformation motivation and information motivation. Most Chinese women who purchased clothing made in Korea did so because of information motiv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place of manufacturing origin(i..e Korea) did not negatively impact Korean clothing products at this online shopping mall. 2) Purchase satisfaction was influenced by three factors: quality satisfaction, wearing/management satisfaction, and design satisfaction. Most Chinese women were satisfied with clothing made in Korea in terms of the design factor. 3) There were correlations among Chinese women’s shopping motivation and purchase satisfaction for clothing made in Korea.

외국인의 한국 의류 착의실태 (Korean Apparel Wearing Behavior of Foreigners)

  • 시르저나 머허러전;허창범;윤경서;김예선;유향기;차수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3년도 제68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1권2호
    • /
    • pp.345-346
    • /
    • 2023
  • 본 연구는 한국 거주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국 의류의 착용실태 및 착용 시 불편사항, 선호도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소비자를 흡수할 수 있는 의류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설문지법으로 진행되었으며, 분석에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의류 구매장소는 온라인 쇼핑이 가장 많았고, 구매 아이템은 티셔츠, 재킷이 많았다. 가격대는 3만원에서 5만원 사이가 가장 많았다. 구매 이유는 심미적 요인이 높았다. 한국 의류는 어깨부위, 다리길이가 가장 불편하였고, 바지가 가장 맞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호스타일은 캐주얼과 모던 스타일이 많았고, 심플하고 편안한 이미지의 의복을 선호하며, 천연소재를 선호하였다. 조금 여유있는 실루엣의 의복을 선호하고 재킷, 티셔츠 등의 아이템을 선호하였다. 향후 국적, 체형 등에 따른 착의실태 및 선호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스마트 등산복에 대한 구매의도와 영향요인 분석 : 확장된 기술수용모형(TAM)을 바탕으로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Purchase Intention for Smart Mountaineering Garments : A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박재민;이정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10호
    • /
    • pp.261-275
    • /
    • 2012
  • 최근 등산객이 급속히 늘어나면서 등산복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도 다양화되고 있다. 또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기능의 스마트 등산복이 출시되고 있다. 스마트 등산복은 기존 등산복이 제공하는 착용감이나 소재적 특성을 넘어서 다양한 기능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미래 등산복 시장에서 주요 제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기술수용모형(TAM)을 바탕으로 스마트 등산복의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61세의 등산 경험이 있는 남녀 641명을 온라인 설문조사하였다. 또 기존 TAM 연구에서 제시된 선행변인 외에 유행관여를 추가하고, 기술혁신성에 보건성이나 기계적 기능을 고려하여 확장된 TAM모형을 도입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효능감은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용이성, 지각된 즐거움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의복관여는 지각된 사용용이성에, 유행관여는 지각된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사용용이성은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 모두에 영향을 주었고,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즐거움은 구매의도에 직접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 등산복이 첨단제품으로서 고객의 자기효능감과 유행관여에 결합되어야 하고, 동시에 의복의 일종이라는 전통적인 이미지를 탈피할 때 스마트 등산복의 기능성과 유용성이 소비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는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2D 실사 기반 가상 착의 시스템 : 직물 텍스쳐 매핑 (2D Image-based Virtual Wearing System : Textile Texture Mapping)

  • 오영걸;곽노윤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6년도 학술대회
    • /
    • pp.21-26
    • /
    • 2006
  • 본 논문은 가상 착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2D의류 모델 영상에서 의류 형상을 분할한 후, 분할된 의류 형상 영역의 음영 및 조명 특성을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선택한 새로운 직물 패턴을 가상적으로 착용시킬 수 있는 2D 실사 기반 가상 착의 시스템의 직물 텍스쳐 매핑에 관한 것이다. 제안된 방법은 다양한 디지털 환경에서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고 자연스럽고 사실적인 착용감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수작업을 최대한 제거한 반자동화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높은 실용성과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제안된 방법에 따르면 실제 의복을 제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직물 원단의 디자인이 의복의 외관에 미치는 영향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음에 따라 직물 디자이너의 창작활동을 도와줄 수 있고, 온라인상에서 직물 원단이나 의류를 거래할 시에 구매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해 B2B 또는 B2C 전자상거래 행위를 촉진할 수 있다. 더불어 기성복이나 맞춤복 모두에 대해 소비자가 자신의 취향에 어울리는 직물 패턴을 용이하게 선택하고 디자인하여 주문제작을 수행하는 거래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 PDF

남성소비자의 의복소비가치가 온라인 패션 편집매장의 특성 지각과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le Consumer Clothing Consumption Values on the Perceived Attributes of Online Fashion Multi-brand Store and Use Intention)

  • 정혜린;김한나
    • 패션비즈니스
    • /
    • 제25권2호
    • /
    • pp.18-33
    • /
    • 2021
  •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the clothing consumption values of male consumers and analyze the attributes of online fashion multi-brand stores.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s of male consumers on the perceived attributes of online fashion multi-brand stores and use intention. The study also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online information search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attributes of online fashion multi-brand stores and use intention. An online survey of male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338 responses were analyzed. The SPSS 24.0 program was used to perform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shionableness out of the four attributes of online fashion multi-brand stores (fashionableness, entertainment, variety, and scarcity) influenced the practical and conspicuous values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s. Entertain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ll clothing consumption values. Varie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ractical and conspicuous values and the scarcity factor influenced epistemic and conspicuous values. Second, while entertainment, variety, and scarcity influenced sharing intention, fashion, entertainment, and variety influenced purchase intention. Third, online information search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ived attributes of online fashion multi-brand stores and sharing intention but not purchase int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