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라인 쇼핑중독

Search Result 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Effect of COVID-19 Stress on Online Shopping Addiction: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on Moderated by Gender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온라인 쇼핑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의해 조절된 우울의 매개효과)

  • Shin, Sun-Hw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7
    • /
    • pp.420-431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COVID-19 stress, depression, and online shopping addiction in adults,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on moderated by gender.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y requesting a survey organization that has panels across the country. The collected 336 data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for SPSS. As a result of the study, online shopping addiction increased as COVID-19 stress increas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COVID-19 stress on online shopping addiction. Furthermore, in the effect of COVID-19 stress on online shopping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moderated by gender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s the COVID-19 infectious disease prolong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gender in interventions for behavioral addiction prevention, such as online shopping, and mental health management.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on Internet Addiction (사회 심리적 요인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Jung-Yul;Lee, Sung-Ji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4 no.12
    • /
    • pp.245-254
    • /
    • 2009
  • New research on internet addiction identifies online users who became hooked on internet online games, chatting, and even internet shopping only to see their lives become increasingly unmanageable because of the Intern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of college students. This study model used four themes(self-esteem, self-efficacy, family relationships, stress)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 of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on internet addic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identified that self-esteem, self-efficacy, stres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nternet addiction. Future areas for studying internet addiction are continuously discussed.

Investigating Korean College Students' Internet Use Patterns and Motivations, and Exploring Vulnerability of Internet Dependency (대학생들의 인터넷 이용 형태와 이용동기 그리고 인터넷 중독 가능성에 관한 연구)

  • Song, Jong-Gil;Choi, Yong-Jun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 /
    • v.16
    • /
    • pp.71-107
    • /
    • 2001
  • 미국에서 이루어진 인터넷 중독 현상에 대한 초기 연구는 인터넷 중독을 알코올중독과 같은 개인의 정신적 질병으로 간주하는 의사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그러나 사회현상으로서 인터넷 중독에 대한 사회과학자들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인터넷 중독의 원인을 밝히는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진다. 인터넷 이용과 초고속 인터넷 망 보급속도에서 세계최고 수준을 자랑하는 우리의 경우에도 인터넷 이용에 따른 많은 부정적인 현상들이 나타남으로써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 중독에 대한 일부 연구가 수행되었는데 이들 연구들은 인터넷 이용패턴과 이용동기를 개별적으로 분석하고 인터넷 중독정도를 측정하는 차원에 머물고 있다. 즉, 인터넷 중독의 원인을 분석하는 차원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또한 대부분의 연구들이 10대 청소년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연령층의 인터넷 이용특성을 파악하는 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 같은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2000년에 발표된 한국전산원 통계수치에서 인터넷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집단으로 조사된 대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1) 이들의 인터넷 이용패턴과 이용동기를 밝히고 (2) 이들 변인들과 인터넷 중독과의 상호관련성을 분석하며 (3) 인터넷 중독의 정도와 중독요인을 조사하고 (4) 마지막으로 인터넷 이용이 다른 미디어 이용과 면대면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있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00년 5월 8일부터 19일까지 2주간에 걸쳐 서울시내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의시간에 설문지를 배포하고 응답자가 설문지에 답하는 방법을 통해 수집되었다. 수집된 556명의 설문지 가운데 유효한 512명의 설문지가 통계적인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설문지는 (1) 인터넷 이용패턴 (2) 인터넷 이용 동기 (3) 인터넷 의존도 (4) 인터넷 이용 이후 다른 미디어 이용정도 (5) 인터넷 이용 이후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정도 (6) 인구통계학적 변인을 측정하는 질문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통계 분석 후 나타난 몇 가지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이용동기와 인터넷 이용과의 상호관련성 이용동기를 요인 분석한 결과, 6개의 이용동기가 나타났는데 오락이 가장 주요한 동기였으며 다음으로 교육/정보, 현실도피, 외로움, 쇼핑, 그리고 성적 만족 순으로 나타났다. 이용 동기들을 인터넷 이용시간과의 상호관련성을 통계 분석한 결과 기존 연구결과와 달리 성적 만족이 6가지 요인 가운데 가장 낮은 상호관련성을 보였다. 또한 이용동기 분석에서 두 번째 높게 나타난 교육/정보 역시 성적 만족 다음으로 낮은 상호관련성을 보여주었다. 이는 대학생들의 인터넷 이용이 10대들의 인터넷 이용형태와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수행하지 못한 이 같은 결과가 나오게 된 이유를 밝히는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 인터넷 이용동기와 인터넷 서비스와의 상호관련성 '오락은 게임, 토론그룹, 전자메일, 채팅과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정보는 검색과 쇼핑, 현실도피는 게임과 토론그룹, 외로움은 토론그룹, 전자메일과 채팅, 쇼핑은 온라인 쇼핑과 상호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흥미로운 사실은 성적 만족과 관련해서 게임과 채팅은 긍정적인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전자메일 서비스 이용은 성적 만족과 부정적인 상호관련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학생들이 지루하게 느끼거나 외로움을 느낄 때 전자메일을 주로 이용하지만 성적 만족을 위해 전자메일을 이용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다. (3) 인터넷 이용 이후 다른 미디어와 면대면 커뮤니케이션과의 관계 인터넷을 이용한 후 응답자들의 전통적인 미디어(텔레비전, 라디오, 신문, 잡지, 편지, 전화) 이용이 감소되었으며 친구, 가족, 이성친구와의 면대면 커뮤니케이션 역시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 같은 감소가 인터넷 이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인터넷 중독 정도와 중독 요인 10대들을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에서 나타난 인터넷 중독 현상이 대학생 집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응답자의 28.5%가 중독집단으로 발전될 가능성을 가진 잠재적인 인터넷 의존자(Moderate Internet Dependent)로 조사되었다. 인터넷 중독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이용동기 가운데 오락, 외로움과 현실도피가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인터넷 이용시간 역시 주요변인으로 분석되었다. 흥미 있는 결과는 선행연구에서 인터넷 중독과 밀접한 관련 있는 인터넷 서비스로 조사된 게임과 채팅이 주요변인으로 나타나지 않았다는 것이다. 또한 인터넷 이용동기와 이용시간과의 상호관련 조사 결과에서처럼 전자메일서비스는 인터넷 중독과 부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Live Commerce Influencer's attributes on Consumer Satisfaction, Repurchase Intention and Flow - Focus on Taobao Service (라이브 커머스 인플루언서의 속성이 구매 후 만족, 재구매 의도 및 플로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타오바오를 중심으로)

  • Guo, Xiao-Yue;Bae, Seung-Ju;Lee, Sang-Ho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3 no.1
    • /
    • pp.201-213
    • /
    • 2022
  •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f Taobao Online Live Commerce influencer's attributes on Taobao Live Platform users' post-purchase satisfaction, repurchase intention and flow, and addiction. Through previous studies, researchers set the live commerce influencer attributes into four categories: expertise, attractiveness, interactivity, and aesthetics, and examined the effects of these attributes on consumers' repurchase intentions, flow and addiction.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mong the attributes of Live Commerce influencer, professionalism, interactivity, and aesthetic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utilitarian shopping value in consumer satisfaction, and four attributes, including attractive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hedonic shopping value. In consumer satisfaction, hedonic shopping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utilitarian shopping value satisfac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consumers' satisfaction after purchase affects repurchase intention and immersion. The effect of flow on repurchase intention and addiction was also confirme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help revitalize influencer marketing in the growing live commerce market and provide basic data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A Study on the Effect of Cosmetic Advertising Model Attributes on OTT Audience-Focused on Chinese Consumer (화장품 광고 모델의 속성이 OTT 시청자에 미치는 영향 연구-중국 소비자를 중심으로)

  • Wen, Xing;Seung-Ju, Bae;Sang-Ho, Lee
    • Journal of Advanced Technology Convergence
    • /
    • v.1 no.2
    • /
    • pp.37-48
    • /
    • 2022
  • This research is an empirical research of Chinese OTT Audiences on the effects of advertising model attributes on consumers' advertising perception, purchase intention, Flow and addiction. Recently, as the cosmetics market in China has grown, the role of advertising models has been highlighted, and shopping addiction caused by excessive Flow is becoming a social problem. Researchers set up a research model and tried to test which characteristics of the advertising model lead consumers to purchase, Flow and ultimately lead to addiction. Results are as follows. It was confirmed that advertisement model attributes such as recognition and attractive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viewers' advertising perception and attitude, and viewers' perceived useful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and Flow. In addition, the purchase intention of the view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ddiction to cosmetics.

The Effect of Addictive Shopping Orientation on Post-purchase Emotions and Behaviors (패션제품 중독구매성향이 구매 후 감정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 Lee, Jin-Hwa;Lee, Jeong-O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0 no.4
    • /
    • pp.195-227
    • /
    • 2011
  • There is no doubt that distribution channels and services greatly satisfy consumers' desires. Lots of products and services, stimulate consumers to purchase products to relieve their depressed feeling/stress temporarily, leading them gradually to a shopping addiction. Shopping addiction generates lots of problems, damaging not only consumers themselves but also other consumers and the entire society.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1) to examine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ed addictive shopping orientation of consumers, 2) to explore the effects addictive shopping orientation on the post-purchase emotions(positive emotion/negative emotion), 3) to examine the effect of post-purchase emotions on post-purchase behaviors (repurchasing/refund and exchange/negative word of mouth). 4) the study explored the differences in terms of effects of addictive shopping orientations on post-purchase emotions and behaviors, depending on the retailing channel (online and off line). The study perform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female adults older than 18 years old, living Seoul and Pusan areas. By using 404 copies for questionnaire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Amos 7.0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It was found that psychological variables, self-esteem, compensatory buying and impulsiven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addictive shopping orientations. Addictive shopping orientations affect both positive and negative post-purchase emotions in case of off-line shopping. Negative post-purchase emotions have higher impact on the postpurchase behaviors than positive post-purchase emotion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