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라인 설문관리

Search Result 242,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nline Web-based Survey System (온라인 웹기반 설문 분석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Hong, Ki-Che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6 no.3
    • /
    • pp.256-265
    • /
    • 2002
  • The online Web-based survey systems have much more merits than offline ones in terms of time and efficiency. In this reasons I design and implement online web-based survey system with functions of information retrieval, statistical operation, SPSS code generation, and survey administration. There are two main purposes in design. One is to automate most steps of surveying. This can provide efficiency to researchers. Another is to be able to automatically generate code for SPSS or SAS. This system has not been fully implemented yet. But we can expect the reduction of research time and manpower.

  • PDF

Amounts of Responding Times and Unreliable Responses at Online Surveys (온라인 조사의 응답오차에 대한 연구 : 설문 응답 시간과 응답 성실성의 관계)

  • Lee, Yun-Suk;Lee, Ji-Young;Lee, Kyoung-Taeg
    • Survey Research
    • /
    • v.9 no.2
    • /
    • pp.51-83
    • /
    • 2008
  • While online surveys are considered to be the viable alternative to face-to-face and telephone surveys, many clients express a strong concern about the possibility of unreliable responses. Given this concern, survey experts hypothesize that amounts of time on responding can represent the extent to which respondents fill out the questions with sincerity. This study examines this hypothesis using data from an online survey sample of 1.052. Results strongly suggest that while "long time" informants are reliable, "short time" informants are not. Those in the short time group spend only 2.4 seconds per question and show very different patterns of responses to 49 Likert -typed questions. Logistic regression results imply that these unreliable respondents are interested in monetary gifts and maybe as a result, participate in surveys much more frequently. In conclusion, we provide som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to the quality of online surveys.

  • PDF

A Study on the Use of Digital Library (디지털도서관의 이용에 관한 연구)

  • 곽승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1998.08a
    • /
    • pp.159-162
    • /
    • 1998
  • 본 연구는 디지털도서관 이용자들의 정보 이용형태를 LG상남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WWW 홈페이지를 이용한 온라인 설문조사와 이용 통계를 참조하여 도서관 가입과 회원제 운영, 디지털도서관 인지도 및 이용 현황, 이용 목적, 정보 서비스 개선, 정보 이용과 저작권료 문제 등과 학술잡지 이용률과 JCR의 Impact Factor 및 구독 금액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Limesurvey in the Form of Open Source Online Survey System for Curriculum Organizing (학교 교육과정 편성을 위한 오픈 소스 온라인 설문조사 시스템 Limesurvey 활용 방안)

  • Han, Ki-Sun;Chun, Seok-Ju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1a
    • /
    • pp.91-10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quickly identify school parents, teachers, students, community needs and opinions for curriculum organizing and the implementation of an online survey system for operating educational activities. Online survey system should be implemented based on Limesurvey to reduce costs and administrative costs. Limesurvery is available without the development of the separate program and offers the form of web-based template system, complete design, layout. Also, Limesurvey offers basic statistical analysis of survey data. Limesurvey can be executed by installing the program on a web hosting, typing database information. Limesurvey can be made a graph of the statistical results. Besides, Limesurvery can be stored in the form of HTML, Word, Excel, CSV Files and can be stured as basic datas for SPSS or PASW, R data, other statistical processing programs. If we could be operate Limesurvey in the form of open source-based survey program in elementary school, we could be reduced teacher's unnecessary work for statistics and overcame the problem of offline survey system.

  • PDF

A Study on Reputation Analysis System for Customer Feedback (고객피드백을 위한 평판분석 관리시스템에 관한 연구)

  • Kang, Min-Sik;Song, Eun-J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2.10a
    • /
    • pp.715-717
    • /
    • 2012
  • 최근 SNS나 소셜미디어등 온라인을 통해 고객들의 서비스에 대한 정성적인 평가 및 요구사항이 실시간으로 표현되고 있으므로 병원, 은행,회사 등 각 기업에서는 서비스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확산되기 전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기존의 정형화된 설문을 통한 고객 니즈 분석으로는 다양한 온라인 플렛품 상의 소비자 경험, 의견 및 감성을 분석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다양한 온라인 플렛폼의 등장 소비자 Life-Style의 변화 등으로 기업이 시장과 고객들의 행동패턴을 파악 및 예측하여 분석, 관리하고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마케팅, 홍보, 기획 등 B2C 서비스 기업 활동에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고객 평판분석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특히, 제안한 시스템의 효율성 검증을 위해 실제 테스트베드 프로토타입을 개발한다.

  • PDF

Measuring library online service quality: An application of e-LibnQual (도서관의 온라인 서비스 품질 평가: e-LibQual의 적용)

  • 강회일;정용길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19 no.3
    • /
    • pp.237-26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library online service quality based on the expectation and the service performance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The onlin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SERVQUAL, however information quality dimension was added on it, and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in a research library. The factor analysis for effecting library online services showed that 5 service dimensions were loaded discretely, and information quality was put in the other dimension. The IPA (Important Performance Analysis) result confirmed that information quality, service reliability, and service assurance wer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angibility and information quality were the most significant dimension for the library online service.

Usability Testing of the CLINS Web Site (대학 도서관 웹사이트 사용성 평가- 충남대학교 도서관 웹사이트(CLINS)를 중심으로 -)

  • 이주현;이응봉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1.08a
    • /
    • pp.207-212
    • /
    • 2001
  • 대학도서관 웹사이트는 도서관의 이용을 원활하게 하고 정보자료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구성된다. 따라서, 웹사이트를 통해 도서관 서비스에 대한 안내, 이용자의 편의를 위한 온라인 참고봉사 서비스, 과거 수동적인 자세가 아닌 능동적인 정보제공서비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이용자의 사용행태를 파악하여 이를 통해서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이용자의 요구사항을 파악하여 도서관 서비스를 개선해나가는 것이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충남대학교 도서관 웹사이트를 대상으로 설문조사(Questionnaire)와 발견적 평가(Heuristic Evaluation)를 통해서 대학도서관 웹사이트의 사용성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점을 제시한다.

  • PDF

Effect of COVID-19 Stress on Online Shopping Addiction: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on Moderated by Gender (코로나19 스트레스가 온라인 쇼핑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의해 조절된 우울의 매개효과)

  • Shin, Sun-Hw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2 no.7
    • /
    • pp.420-431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COVID-19 stress, depression, and online shopping addiction in adults, and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s of depression on moderated by gender.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by requesting a survey organization that has panels across the country. The collected 336 data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for SPSS. As a result of the study, online shopping addiction increased as COVID-19 stress increased.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the effect of COVID-19 stress on online shopping addiction. Furthermore, in the effect of COVID-19 stress on online shopping addicti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moderated by gender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s the COVID-19 infectious disease prolong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gender in interventions for behavioral addiction prevention, such as online shopping, and mental health management.

A Study of Online Research Guides for User Support to Find and Understand Archival Records in National Archives (기록의 발견과 이해를 위한 온라인 검색가이드 연구 - 국립보존기록관을 중심으로 -)

  • Seol, Moon-W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5 no.1
    • /
    • pp.53-87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e of online research guides of the national archives of four countries including the UK, the USA, Australia, and Korea. It also analyzes the name and accessibility, subject coverage and categorization, number of guides completed, and structure and types of resources linked with each guide. The examined online research guides are evaluated based on accessibility, variety, systematization, consistency, and hyperlinks. Based on the analyses, it suggests the directions of designing research guides for the National Archives of Korea.

Awareness of Patient-Centeredness and Transitional Care Services for Older Patients Among Primary Care Physicians in Korea (일차진료 의사들의 환자중심성 및 노인환자 대상 전환기 돌봄서비스 인식)

  • Dronina, Yuliya;Kim, Su Kyoung;Jo, Heui Sug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
    • v.47 no.3
    • /
    • pp.143-153
    • /
    • 2022
  • 목적: 병원에서 재가 및 시설로 퇴원한 환자가 지역사회에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환기 돌봄서비스(Transitional care services)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 내 의료서비스와 자원을 연계하는 주치의의 역할이 중요시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일차진료 의사들의 환자중심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여 환자중심 기반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필요한 정책을 제시하였다. 또한 Transitional Care Service에 대한 일차진료 의사들의 인식을 확인하고 인구사회학적 요인과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서비스 우선순위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전국의 가정의학과, 내과, 신경과 등 노인 질환과 관련 있는 과의 전문의 자격증이 있으며 자발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에 참여할 의사를 표현한 일차진료 의사 259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환자중심성 및 전환기 돌봄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조사전문업체를 통해 2019년 10월 28일부터 2019년 11월 22일까지 온라인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차진료 의사들을 대상으로 9가지 전환기 돌봄서비스 인식에 대해 살펴본 결과 "입원 시 진단, 건강상태, 치료계획 및 결과 에 대한 설명(4.4)"과 "퇴원 후 자가 건강관리를 위한 정보 및 훈련 (4.2)"에 대한 필요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35세 이상 일차진료 의사가 34세 이하 일차진료 의사보다 전환기 돌봄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F=7.3, p<0.01). 또한, 환자중심성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서울 외 지역에서 근무할수록 전환기 돌봄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일차의료를 제공하는 의료진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과 지역사회에서 일차의료 의사들을 중심으로 하는 지역 연계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