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라인 브라우징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18초

웹 서비스 기반의 클라이언트 OLAP API와 큐브 브라우징에의 응용 사례 (A Web Services-based Client OLAP API and Its Application to Cube Browsing)

  • 배은주;김명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0D권1호
    • /
    • pp.143-152
    • /
    • 2003
  • 이기종 플랫폼간의 데이터 교환과 통합을 위한 표준 기술로 XML과 웹 서비스 기술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기술을 지원하는 XML/A는 클라이언트 응용과 데이터 분석 엔진이 인터넷 상에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는 SOAP 기반의 XML 통신 API이다. 데이터가 XML 문서 형태로 교환된다는 점에서 XML/A는 플랫폼 독립적이지만, 클라이언트 응용 개발자들은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할 때마다 XML 문서를 생성해야 하고, 서버가 보내는 XML 데이터 검색을 위해 별도의 XML 쿼리 언어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윈도우즈 환경의 클라이언트 응용 개발자들이 XML/A의 OLAP 관련 서비스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상위 수준의 클라이너트 OLAP API인 XMLMD를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XML/A와 XML/A의 관계는 OLEDB for OLAP과 ADOMD의 응용 사례로써 데이터의 다차원적 분석결과를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웹 OLAP 큐브 브라우저도 개발하였다. 이 브라우저는 전송된 데이터를 XML, HTML, 엑셀, 그래프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공한다.

그래프 구조를 갖는 서지 빅데이터의 효율적인 온라인 탐색 및 분석을 지원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 개발 (Developing Graphic Interface for Efficient Online Searching and Analysis of Graph-Structured Bibliographic Big Data)

  • 유영석;박범준;조선화;이수안;김진호
    • 한국빅데이터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7-88
    • /
    • 2020
  • 최근 다양한 실세계의 복잡한 관계를 그래프의 형태로 구성하고 분석하는 다양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DBLP와 같은 컴퓨터 분야 문헌 데이터 시스템은 논문의 저자, 그리고 논문과 논문들이 서로 인용 관계로 표현되는 대표적인 그래프 데이터이다. 그래프 데이터는 저장 구조 및 표현이 매우 복잡하므로, 문헌 빅데이터의 검색과 분석, 그리고 시각화는 매우 어려운 작업이다. 본 논문에서는 문헌 빅데이터를 그래프의 형태로 시각화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도구, 즉 EEUM을 개발하였다. EEUM은 그래프 데이터를 시각적으로 표시하여 연결된 그래프 구조에 따라 문헌 데이터를 브라우징 하는 기능을 제공하며, 문헌 빅데이터에 대한 검색 및 관리, 분석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EEUM을 DBLP가 제공하는 문헌 그래프 빅데이터에 적용하여 편리하게 검색, 탐색 및 분석하는 할 수 있음을 시연한다. EEUM을 이용하여 모든 연구 분야에서 영향력 있는 저자나 논문을 쉽게 찾을 수 있으며, 여러 저자와 논문 사이의 모든 관계를 한 눈에 볼 수 있는 등 복잡한 문헌 그래프 빅데이터의 검색 및 분석 도구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주요국 국가서지 현황조사를 통한 국가서지의 최신 경향 분석 (Current Trends for National Bibliography through Analyzing the Status of Representative National Bibliographies)

  • 이미화;이지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35-57
    • /
    • 2021
  • 본 연구는 국가서지의 최신 경향을 분석하고자 문헌연구, 홈페이지분석, 사서 대상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 국가 출판물의 기록이라는 국가서지의 정의에 부합하기 위해서 국가서지에 인쇄에서 전자자원까지 다양한 자료가 수록되도록 하였으나 현실적으로 모든 자료가 포함될 수 없으므로 제외사항이 있었다. 보편적인 국가서지 선정기준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국가의 특성을 반영하고, 분석을 바탕으로 한 타당하고 포괄적인 수록범위를 마련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국가서지를 효율적으로 생성하기 위해 출판사 및 도서관 등과 협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가서지 생성의 효율성을 위해 표준화 및 일관성, 디지털 자원에 대한 컬렉션 단위 메타데이터 기술, 링크드데이터를 활용한 국가서지 생성 등과 같이 국가서지 발행 및 생성에서 변화가 모색되어야 한다. 셋째, 국가서지는 국가서지 온라인 검색 시스템, 링크드데이터 검색, PDF, OAI-PMH, SRU, Z39.50을 이용한 MARC 다운로드, RDF/XML 형식의 대량 다운로드 형태 등으로 발행되고 있고, 온라인목록과 통합되거나 별도로 구축되기도 한다. 다만, 국가서지와 온라인목록은 통합 도서관 시스템을 이용해 데이터 재사용 방식으로 구축될 필요가 있다. 넷째, 국가서지를 위한 차별화된 기능으로 다양한 브라우징 기능과 함께 이용자 태깅, 국가서지 통계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추가적으로 국가서지 빅데이터 분석, 전자 출판물과의 링크, 링크드데이터의 대량 다운로드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하며, 차별화된 서비스 개발을 위해서는 이용자의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한 개방 서비스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국가서지의 최신 경향 및 고려사항을 통해 국내 및 국외 국가서지의 발전적 변화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