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라인 기반

Search Result 2,55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 Conceptual Design Of The Motioncode (모션코드의 개념적 설계)

  • Park, Hyung-Kun;Lee, Yill-B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505-508
    • /
    • 2011
  •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객체들과의 데이터 통신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서버와의 교신 없이 객체들로부터 직접 충분한 정보를 확보해야 할 때에 이는 더욱 중요하다. 온라인 기반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경우, 대량의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해당 통신을 지원할 수 있는 모듈이 각각의 객체에 설치되어 있어야 하고 온라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는 부담이 있다. 태그 인터페이스와 카메라 비전 기술을 주로 사용하는 오프라인 기반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경우, 특별한 통신모듈 없이도 물리적 객체와 디지털 객체 사이에서 효과적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온라인 기반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극히 소량의 데이터만을 전송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 경우 전송하는 데이터 량을 늘리기 위해 우회적으로, 온라인 기반 네트워크로의 링크 정보를 전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결국 온라인 기반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한계를 지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온라인 기반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없는 제한된 오프라인 환경에서, 디스플레이와 카메라만을 이용하여 기존의 오프라인 태그 인터페이스 특히 이미지 코드에서보다 자체적으로 서버와의 교신 없이 좀 더 많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으로 모션 코드를 제시한다.

Exploring Ways to Learn Online Judge Problems in Block Programming Language (온라인 저지 문항을 블록 프로그래밍 언어로 학습하기 위한 방안 탐구)

  • HakNeung Go;Youngjun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719-72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저지 문항을 블록 프로그래밍 언어로 학습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서 탐구하였다. 온라인 저지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은 알고리즘을 설계하는 추상화 과정과 이를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하는 자동화 과정이 포함되며 이는 컴퓨팅 사고력 발달에 영향을 준다. 온라인 저지는 대부분 텍스트 프로그래밍 언어(이하, TPL)에서 지원되어 초보 학습자가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블록 프로그래밍 언어(이하, BPL)를 기반으로 한 온라인 저지는 BPL로 작성한 것을 TPL로 변환하는 방법과 그래픽 기반 문제상황을 해결하는 방법이 있으며 TPL로 변환하는 것은 텍스트 기반 온라인 저지 문항을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하는 방법이 어렵다. 반면 그래픽 기반 문제 상황은 사용하는 방법이 쉽지만 문항이 제한적이고 순차적 사고가 강조된다. 이에 엔트리 '스터디'와 '나의 학급-과제'를 이용하면 자동 평가 기능은 없지만 학습자가 익숙한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고 교사는 문항을 직접 개발할 수 있으며 문제 제시, 예시 작품 제시, 블록 제한, 과제제출 등을 사용하여 BPL에서 온라인 저지 문항을 학습할 수 있다.

  • PDF

Modeling and Implementation of Intelligent Pen-based Online Editing System (지능형 펜기반 온라인 교정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김재경;손원성;정한상;임순범;최윤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d
    • /
    • pp.178-180
    • /
    • 2002
  • 최근 종이 문서의 전자화가 이루어지면서 기존의 전통적인 펜기반 교정 시스템 또한 온라인 상의 전자 문서 환경에 맞게 구축되고 있다. 이러한 펜기반 입력 기법을 사용하는 교정 시스템에서는 교정 부호와 텍스트 간의 정확한 영역 인식이 중요하며 이를 위해 교정 부호의 특성과 텍스트 영역의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교정 시스템 모델링을 통하여 온라인 환경에 적합한 교정 부호를 정의하고, 교정 대상 텍스트 영역을 편집 가능한 단위로 구분하여 효율적인 편집 연산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웹 기반의 구조문서(HTML/XML) 편집 환경을 고려하여 편집으로 인한 문서의 구조 정보 변경을 지원하기 위하여 텍스트를 비구조 및 구조정보 텍스트로 분류하여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모델에 기반하여 교정 부호의 특성에 따른 가변적인 편집 텍스트 영역 인식 규칙 모델을 정의하여 교정부호와 편집 텍스트 영역간의 모호성을 최소화 하고, 편집으로 인한 문서의 구조 정보 변경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결과적으로 온라인 웹 문서 환경에서 펜기반의 모호한 교정 부호의 입력을 인지적인 관점에서 해석하여 보다 정확한 교정 작업 수행을 지원하도록 하였다.

  • PDF

Implementation of Pen-based Editing System using Rule-based Text Selection Technique (규칙기반 텍스트 영역 선택 기법을 이용한 펜기반 교정 시스템의 구현)

  • 정한상;김재경;손원성;임순범;최윤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203-206
    • /
    • 2002
  • 최근 웹을 기반으로 한 문서의 전자화가 이루어지면서 기존의 전통적인 펜기반 교정 시스템 또한 온라인 상의 전자 문서 환경에 맞게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펜기반 입력 기법을 사용하는 교정 시스템에서는 일반 문서와 달리 웹 문서의 구조정보를 고려한 편집이 지원되어야 하며 또한 교정 부호와 텍스트 간의 정확한 영역 인식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교정 시스템 모델링을 통하여 온라인 환경에 적합한 교정 부호를 정의하고, 교정 대상 텍스트 영역을 편집 가능한 단위로 구분하여 효율적인 편집 연산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웹 기반의 구조문서(HTML/XML) 편집 환경을 고려하여 편집으로 인한 문서의 구조 정보 변경을 지원하기 위하여 텍스트를 비구조 및 구조정보 텍스트로 분류하여 정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모델에 기반하여 교정 부호의 특성에 따른 가변적인 편집 텍스트 영역 인식 규칙 모델을 정의하여 교정 부호와 편집 텍스트 영역간의 모호성을 최소화 하고, 편집으로 인한 문서의 구조 정보 변경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결과적으로 온라인 웹 문서 환경에서 펜기반의 모호한 교정 부호의 입력을 인지적인 관점에서 해석하여 보다 정확한 교정 작업 수행을 지원하도록 하였다.

  • PDF

Management Strategy for Bidding Intention on Web-based Auction -Empirical Study of Argentina (웹 기반경매 사이트에서 입찰경매 활성화를 위한 경영전략 연구 -아르헨티나 사례연구)

  • 김관영;박명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79-99
    • /
    • 2001
  • 웹기반 경매사이트는 전자상거래시장을 대표할 만한 높은 수익성을 올리고있는 인터넷비지니스 수익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온라인경매를 사용하는 소비자는 경매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풍부한 정보의 양에 의존하여 전자상거래를 접하고 있다. 기존연구는 온라인 경매사이트의 제공자는 소비자의 입찰에 대한 태도와 참여 의도을 유인하기 위하여 온라인 경매 모델의 형태와 정보의 질에 집중하였던 것을 언급하고 있다. 온라인경매는 웹 인터페이스(Web Interface)를 활용하는 특징을 보유하고 있다. 그러므로, 웹기반 경매사이트의 디자인요인은 온라인경매에서 매출액 신장과 입찰에 대한 태도와 입찰 참여 의도를 유인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경매사이트의 매출액 증진을 위하여, 온라인경매에서 입찰 참여 의도와 웹기반 경매사이트의 디자인 요인간의 관계 연구는 수행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웹기반 경매사이트의 디자인 요인과 소비자의 입찰 참여 의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특히, 아르헨티나를 사례연구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웹기반 경매사이트의 디자인 요인은 (1)사이트 구조측면과 (2)정보의 디자인 측면 그리고, (3)정보의 내용측면을 추출하였다. 웹기반 경매사이트의 디자인요인과 소비자의 선호도 변수들과의 비교분석이 이루어진다. 소비자 선호도 변수는 (1)웹디자인의 유용성 인지도와 (2)정보의 유용성 인지도 그리고, (3)웹사이트의 용이성 인지도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하면, 웹기반 경매사이트의 3가지 디자인요인에 해당하는 사이트의 구조측면과 정보의 디자인측면 그리고, 정보의 내용 측면은 모두 소비자의 입찰에 대한 태도와 입찰 참여 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소비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점이 입찰 참여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결과로 제공하고 있다.

  • PDF

The Influence of Self-discrepancy on One's Contributive Behaviors in Customer-based Online Communities (고객기반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개인의 자아 차이 (Self-discrepancy)가 기여 행위에 미치는 영향)

  • Suh, A-Young
    • CRM연구
    • /
    • v.4 no.1
    • /
    • pp.35-54
    • /
    • 2011
  • Organizing and maintaining customer-based online communities are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in current business environment. Companies can utilize the member generated contents in developing their products and services and they can establish close relationships with their customers. This paper investigates how customer-based online communities increase individual members' contributive behaviors. Drawing on the social psychology literature, this study adopts the concept of self-discrepancy rooted in self-identity and derive an index for self-discrepancy by using the differences between actual and virtual self-identities.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discrepancy and the anonymity-related psychological factors (autonomy, recovery, and catharsis), which in turn influence quality and quantity of contribution. Analysis of 114 respondents showed that self-discrepancy between actual and virtual selves has two different sub-dimensions (personal self-discrepancy and social sel f-discrepancy) and each dimension has different effect on the quality and quantity of contribu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autonomy and recovery. Notably, catharsis negatively influenced quality of contribu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major findings.

  • PDF

A Case Study on Teach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via Web-Based Online Discussion (웹 기반 온라인 토론을 통한 수학적 의사소통 지도에 관한 사례연구)

  • 권오남;김인숙
    • School Mathematics
    • /
    • v.5 no.1
    • /
    • pp.77-95
    • /
    • 2003
  • We have web-based online discussion to implement active interaction and a variety of communicative activities. I have gathered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to study about the meaning of web-based online discussion as a mathematical communication teaching method. First, what changes are there in students mathematical communication ability in web-based online discussion\ulcorner Second, how do students evaluate the web-based online discussion experience\ulcorner In this web-based online discussion, groups of middle school first grade 34 students and each group had chatting at 8 times for 10 weeks. I analyzed what they had discussed by the prints that they had sent me by e-mail. I also surveyed what they had experienced and analyzed them. In this research, the online web based discussion has given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competence of speaking, writing, reading and listening which are crucial to mathematical communication. Students' mathematic thinking power improved and attitudes to mathematics have become more positive.

  • PDF

An Introduction for Development of Cloud-based Intelligent Video Security Incubating Platform (클라우드 기반 지능형 영상보안 인큐베이팅 플랫폼 기술 개발 소개)

  • Lim, Kyung-Soo;Kim, Geon-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7.04a
    • /
    • pp.330-331
    • /
    • 2017
  • 최근 클라우드 및 신경망 기반의 지능형 CCTV기술이 사회 안전 분야의 핵심 기술로 부상하면서 신학계에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동향을 반영하여 공공/사회 안전을 위한 실 환경 기반 지능형 영상 인식 기술의 지속적인 성능 업데이트 및 관리를 위한 온라인 학습 기반 인식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기반 지능형 영상보안 온라인 인큐베이팅 플랫폼 기술 과제를 소개한다. 온라인 인식신경망 인큐베이팅이란, 원격 클라우드 환경을 이용하여 사용 중인 영상인식 신경망을 온라인 학습으로 실시간 업데이트하여 딥러닝 성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클라우드 기반 지능형 영상보안 인큐베이팅 플랫폼 기술 과제를 소개한다.

Design of Programming Course based on Flipped Learning in a Non-Face-To-Face Environment (비대면 환경에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 설계)

  • Kim, Kyong Ah;Kim, Ji Sim;Ahn, You 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301-302
    • /
    • 2021
  • 코로나로 인해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운영된 수업환경에서 컴퓨터공학 분야의 대표적인 실습기반 교과목인 프로그래밍 수업은 학습자들에게 온라인 수업이지만 대면 수업의 실재감을 제공하는 질적 개선 방법을 모색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는 플립러닝에 기반 한 실시간 수업을 활용하여 실습 기반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자의 능동적 수업 참여를 유도하고,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이 원활한 수업을 통해 대면 수업 수준의 실재감을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학습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적용결과, 온라인 수업에서 플립러닝 기반 수업 설계가 실습 기반 수업에 대면수업 수준의 학습 효과 및 만족도가 있었음을 조사·분석하였다.

  • PDF

Online Auction Monitoring System Based on Middleware (온라인 경매의 모니터링을 위한 미들웨어 기반의 시스템 개발)

  • Seo, Yang-Jin;Han, Sang-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969-972
    • /
    • 2001
  • 온라인 경매는 최근 전자상거래에서 가장 관심을 받고 있는 분야 중 하나이다. 전통적인 오프라인 경매가 가지던 문제점들이 온라인 경매를 통해 크게 개선되었다. 그런데, 사용자들의 보다 적극적인 온라인 경매 참가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등록된 경매 상품에 대한 정보나 입찰상황과 같은 경매 진행 상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한 기술이 경매 상황 모니터링인 데, 기존 온라인 경매 사이트들에서 사용자들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은 매우 제한적이다. 온라인 경매 상황의 변화를 즉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고, 온라인 경매 시스템들간의 정보 공유 및 공동 작업이 용이하며, 다른 기술들과의 연동이 용이한 모니터링 도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온라인 경매 시스템들이 가지는 제약점들에 대한 해결책으로 미들웨어 기반의 경매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시하고 있다. Microsoft의 COM과 W3C의 DOM을 기반으로 시스템을 설계하였으며, 제안된 시스템 구조를 통해 보다 강력한 정보 제공과 시스템간의 연동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