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라인 개인정보보호

Search Result 137,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alysis of Loss Expectancy on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using Quantitative Invest Decision Model (투자결정 모델을 활용한 개인정보유출의 기대손실 분석)

  • Kim, Jeong Yeon
    • The Journal of Society for e-Business Studies
    • /
    • v.20 no.2
    • /
    • pp.93-106
    • /
    • 2015
  • Providing trading partners with personal information to establish an e-commerce financial transaction is inevitable. Most e-commerce companies keep personal information and transaction data for user's convenience and develop additional services as their applications. However, keeping personal information increases the likelihood of identity theft causing direct or indirect damage while it may simplify repetitive financial transactions. This study introduces risk management methods based o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including demand-supply curve model and Gordon & Loeb model to analyze the risks for security management. The empirical analysis with survey results from KISA (Korea Information Security Agency) shows that the root cause of different statistics of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incidents according to core business of internet companies is the difference in their Loss Expectancy caused by them. Also we suggest disciplinary compensation and higher standard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s a solution to prevent the variation of investment on it between individual companies.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SLA Indicators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f Public IT Maintenance Business (공공정보화분야 유지관리사업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SLA 지표 개발에 대한 연구)

  • Lee, Kyung-Hwan;Ryu, Gab-Sa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6
    • /
    • pp.37-42
    • /
    • 2020
  • In the field of public informatization maintenance business, the attacks of external illegal users such as unauthorized leakage, destruction, and alteration due to intentional or inadequate management of personal information are increasing. In order to prevent such security incidents in adva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quantitatively manage SLA indicators. This study presents the privacy SLA indicators and suggests specific methods such as information collection method and timing of the privacy SLA indicators. In order to confirm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proposed SLA indicator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group of experts. As a result, it was evaluated that compliance rate of personal information destruction and compliance rat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would be effective when applied to new and revised SLA indicators in terms of importance and validity. In the future, using SLA indicators for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s a standard for public information maintenance will contribute to improving SW quality and securing safety.

빅데이터 개인정보 위험 분석 기술

  • Choi, Daeseon;Kim, Seok Hyun;Cho, Jin-Man;Jin, Seung-Hun
    • Review of KIISC
    • /
    • v.23 no.3
    • /
    • pp.56-60
    • /
    • 2013
  • 본 논문은 온라인에 공개된 다양한 개인정보의 위험도를 분석하는 기술을 제안한다. 인터넷, SNS에 공개된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개인성향을 파악하고 타겟팅하는 가운데, 분산된 정보를 조합하고 추론하면 공개자의 의도와는 달리 신상이나 민감정보가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직접 수행하여 개인정보의 위험도를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 기술이 개발되면, 개인정보 위험도에 따른 클라이언트, 웹사이트, 인터넷 전체 규모의 프라이버시 필터링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E-DRM-based Privacy Protection Technology for Overcoming Technical Limitations of DLP-based Solutions (DLP방식의 문제점 극복을 위한 E-DRM 방식의 개인정보 보호 기술)

  • Choi, Jong-Uk;Lee, Yong-Jin;Park, Ju-Mi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Security & Cryptology
    • /
    • v.22 no.5
    • /
    • pp.1103-1113
    • /
    • 2012
  • DLP technology has been effectively enforcing privacy protection policy in on-line computing environment. However, with wide spread use of smart devices and promotion of smart-works, it has been pointed out that DLP technology cannot effectively prevent privacy leakage at smart devices and is comparatively weak at APT attack. In this paper, we suggests a hybrid approach, PPS, which integrates E-DRM system with DLP technology, taking advantages of both technologies. The technology basically uses encryption function and access control of E-DRM system, and thus it can effectively prevent leakage of privacy information of customers, even if the documents are in the hands of malicious third parties.

A Study on the EU Internet Privacy Protection Rules (EU의 인터넷 개인정보보호법에 관한 입구)

  • Kim, Eun-Mi
    •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Review
    • /
    • v.3 no.2
    • /
    • pp.131-142
    • /
    • 2001
  • IT 산업은 인터넷을 발달시킴으로써 새로운 경제 시대 (New Economic Era)를 열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제도의 발전가능성을 한층 더 앞당기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그러나 개인들은 그들의 개인정보가 국가기관이나 민간기관에 자신도 모르는 사이 누출되어 국가기관의 감시체제를 구축하거나 불공정한 상업적 목적으로 쓰일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온라인상의 구매활동이나 정치활동을 주저하고 있다. 특히 유럽민족은 과거의 역사적인 사건들로 인해 개인정보 유출문제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 이러한 이유로 EU는 EU국가들 내에서의 인터넷관련 개인정보처리문제와 EU와 제3국간의 개인정보 이전 문제를 규정하는 지침을 1995년 재정하고 1998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동 지침은 또한 미국과의 정보이전협상인 safe harbor를 탄생시켰다. 본 고에서는 왜 개인정보 보호법이 필요한지 그 이유와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국제적인 논의 그리고 EU의 개인정보지침 내용을 연구한다.

  • PDF

A Study on IAM-Based Personal Data Protection Techniques in BaaS (BaaS에서 IAM을 이용한 개인정보 보호 기법에 관한 연구)

  • Mi-Hui Kim;Myung-Joe Kang
    • Journal of IKEEE
    • /
    • v.27 no.4
    • /
    • pp.548-555
    • /
    • 2023
  • With the advancement of the internet, the use of personal information in online interactions has increased, underscoring the significance of data protection. Breaches of personal data due to unauthorized access can result in psychological and financial damage to individuals, and may even enable wide-ranging societal attacks aimed at those associated with the victims. In response to such threats, there is active research into security measures using blockchain to safeguard personal information. This study proposes a system that uses middleware and IAM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service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in a BaaS (Blockchain as a Service) environment where blockchain is provided via the Internet. The middleware operates on servers where IAM roles and policies are applied, authenticates users, and performs access control to allow only legitimate users to access blockchain data existing in the cloud. Additionally,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propose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method on the system, we measure the response time according to the time taken and the number of users under three assumed scenarios, and compare the proposed method and research related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using blockchain in terms of security characteristics such as idea, type of blockchain, authentication, and confidentiality.

A Study on System of OCSP server for Services (OCSP서버의 지속적인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연구)

  • Shin, Jaehoon;Choi, Haelahng;Shin, Donghwi;Won, Dongho;Kim, Seungj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7.11a
    • /
    • pp.1270-1273
    • /
    • 2007
  • 최근 인터넷의 급속한 발달은 온라인 뱅킹, 인터넷 쇼핑몰 등에서의 실물 경제행위를 온라인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지만 온라인상의 업무처리는 개인정보유출, 개인정보의 위조 및 변조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다. 사용자가 CA에게서 받은 인증서의 공개키로 전자서명 함으로써 개인정보유출, 정보의 위조 및 변조 등의 문제를 해결한 PKI(Public Key Infrastructure)기반의 인증서 검증시스템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인증서 상태검증 방법에는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기반의 검증방식, OCSP(Online Certificate Status Protocol)기반의 검증방식 등이 있다. CRL기반의 인증서 검증방식은 인증서 취소목록을 검색해서 인증서의 유효성 여부를 응답하는 방식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크기 증가와 오프라인 방식으로 인해서 목록을 다운받는 시간의 부담으로 인해서 OCSP방식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OCSP 방식 역시 서비스의 요청이 집중될 경우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그래서 분산된 OCSP를 구축하고 각 서버의 부하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로드밸런싱 기법을 사용하고 있지만 그 방법 역시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이 불가한 문제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서비스 요청의 집중으로 인한 시스템 마비나 각 응답서버의 부하가 불균형적임으로써 생길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Data Protection and Privacy over the Internet: Towards Development of an International Standard (온라인 정보보호 및 프라이버시에 관한 국제 표준 개발)

  • Zoo, Hanah;Lee, Heejin;Kwak, Jooyoung;Kim, Yong-Yo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4
    • /
    • pp.57-69
    • /
    • 2013
  • Progresses in ICT make the processing and exchange of personal data across international borders often necessary and relatively easy. The challenge lies in protecting fundamental rights and freedoms of individuals, notably the right to privacy and the right to personal information, while encouraging the free and secure flow of information across borders for the continued expansion of online transactions. The key to establishing a functioning international solution for personal data protection is to strike a right balance between the two camps which currently dominate the debate - the advocates of individual privacy rights on one side exemplified by the EU, and the proponents of self-regulation and economic efficiency on the other, represented by the U.S. In the face of a growing tension between the two sides each equipped with their own ideals, a practical solution may lie in utilizing established institutions of standardization such as ISO and IEC as a ground upon which an agreement can take its root.

A Study on a Protection of Personal Data for Personalized Services in Ubiquitous Environment (u-IT 환경에서의 개인화서비스를 위한 개인정보 보호방안 연구)

  • Kim, Y.S.;Park, J.Y.;Jin, S.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5 no.2
    • /
    • pp.132-141
    • /
    • 2010
  • 인터넷 이용이 활성화되면서 온라인서비스의 종류와 양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 서비스제공자들은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들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개인화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하였고, 이에 따라 개인정보의 중요성은 더욱 증대되고 있다. 하지만 개인정보의 수집은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를 유발할 수 있어 개인화서비스는 쉽게 적용되지 못하고 있다. 또한 다가오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는 수집 가능한 개인정보의 증가가 예상되며, 따라서 프라이버시 침해 문제는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고에서는 개인화서비스 모델에 대해 소개하고,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기존 기술들에 대해 분석하여,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개인화서비스를 위한 개인정보 보호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금융보안 OTP를 이용한 온라인 본인확인 방안에 대한 연구

  • Chung, Chan-Joo;Kim, Seung-Joo;Won, Dong-Ho
    • Review of KIISC
    • /
    • v.18 no.5
    • /
    • pp.73-8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금융보안 OTP를 이용한 온라인 본인확인 방안을 제안한다. 현재 국내에서 신원확인 방식으로는 공인인 증서론 이용한 전자서명, 휴대폰SMS 발송번호, 신용카드정보 및 금융계좌정보 인증방식을 활용한 본인확인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공인인증서를 이용한 전자서명 방식이외의 방식은 명의도용된 휴대폰을 통한 본인확인과 신용카드 비밀번호 앞2자리 및 금융계좌의 비밀번호 4자리 입력 등 민감한 정보의 노출 위협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금융보안 OTP를 이용하여 안전하게 본인확인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웹사이트 회원가입, 게시판 글쓰기 등 온라인 본인확인이 필요한 경우에 언제든지 이용될 수 있고 아이핀(i-PIN)에서 본인확인 수단으로 도입된다면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어 활용 가치가 높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