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라인구매

Search Result 740,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review in online (다차원적인 온라인 사용후기의 영향)

  • Suh, Moon-Shik;Ahn, Jin-Woo;Lee, Ji-Eun;Park, Sun-K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62-367
    • /
    • 2009
  • 온라인상의 쇼핑에서 사용후기에 관한 많은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사용후기를 보는 원인에 관한 분석에 대해서는 아직 부족함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온라인상이기 때문에 가지는 위험 중에서도 사용후기를 통해서 어떤 위험을 가장 많이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우선 알아볼 필요성이 있을 것 같다. 이의 연구결과 기능적 위험을 가장 크게 지각하고 있었기 때문에 사용후기를 보는 이유로서의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의류에 관련된 논문들을 보면 온라인상에서 구매를 꺼려하는 이유가 직접 눈으로 보고 만질 수 없다는 기능적 위험을 가장 크게 가지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대리 시용구매를 할 수 있는 사용후기를 이용하여 의류제품을 온라인상에서 구매하는 것이 영향을 미치는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 결과, 긍정적인 후기를 보고 구매하려는 의도가 나타났었고 부정적인 후기를 보고 구매하지 않으려하므로 사용후기가 구매함에 있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사용후기를 중심으로 메시지를 보고 메시지에 대한 태도와 제품에 대한 태도, 그리고 구매의도 뿐만 아니라 메시지의 유형에 따라서 구전 의도나 사이트 재방문 의도라는 구매 행동에도 차이가 날 것이라고 추측했다. 연구 결과를 보면 유형별로 각각 다르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부정적인 메시지로 인해 제품에 대한 좋지 않은 태도를 가지게 됨으로써 제품을 구입하려는 사이트 재방문 의도는 나타나지 않았다.

  • PDF

Digital Customer Experience of Home Appliance Purchase: Analysis of Online Purchase Journey Process (가전제품 구매의 디지털 고객 경험: 온라인 구매 여정 프로세스 분석)

  • Sung Kwon Kang;Eun Yu;Jaemin Jung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21 no.1
    • /
    • pp.61-90
    • /
    • 2019
  • From the digital perspective, customer journey and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are emerging as important issues for companies. While digital customer experience has become more important due to the recent surge in online sales of the home appliance products, customers' experience in online is not differentiated as offline-focused traditional methods are maintain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mutual influences of customer experiences at each stage of online purchase journey, and to explore the effects on the product re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online purchasers of home appliance which are high-involvement products. As a result, both cognitive and affective experiences of the research phase directly affect satisfaction, whereas affective experience at the purchasing stage indicated indirect effects through cognitive experience. The experience of the research phase positively affects the next phase, the purchasing experience, and the experience of the purchasing phase leads to the intention to repurchase the product. However, it is also found that, depending on the choice of online channels, the experience of research phase may affect the product repurchase intention than the purchase experience.

The Effect of Review Attributes on Brand Attitude, Purchase Decision and e-WOM Intention in Online Shopping Mall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리뷰 속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결정 및 온라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Zhang, Han;Kim, Joon-Sung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7
    • /
    • pp.113-127
    • /
    • 2021
  • This study classifies review attributes into ratings, number of comments and image information in online shopping mall to verify their impact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decision and e-WOM intention. Use SPSS 23.0 for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review attributes have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s, purchase decision and e-WOM intention, but the number of comments has not affect on purchase decision. Brand attitude has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decision and e-WOM intention. Brand attitude has media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atings, image information and purchase decision,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view attributes and e-WOM intention. As these results, consumers don't always like to have a lot of comments. and should allow to focus on high ratings and photo reviews as much as possible when writing reviews.

Factors Influencing on Trust toward E-Commerce by Consumer Experience of Online Buying (소비자의 온라인 구매경험에 따른 전자상거래 신뢰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 Park, Cheol;Kang, Byung-Ku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5 no.1
    • /
    • pp.81-95
    • /
    • 2003
  • This paper tri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consumer trust of Internet shopping mall. There found five factors; validation & contact, security & protection, publicity & image, convenience & pleasure, and refund & delivery. There were differences of mean factor scores among consumer groups classified by frequency of online buying. Implications of the study and further research issue are discussed.

The Effect of Trust and Distrust on the Purchase Intention at Internet Shopping Malls - Focusing on the Chinese Users - (인터넷 쇼핑몰에서 신뢰와 불신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인터넷 쇼핑몰 사용자를 중심으로 -)

  • Park, Hye-Ryeong;Lee, Jin-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DIstribution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103-115
    • /
    • 2006
  • 중국은 세계 무역기구에 가입하면서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치가 강화되고 디지털 경제체제에 편입되면서 산업구조를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개편하고 있다. 동안 상대적으로 외국기업에 대해 폐쇄적이었던 중국의 유통시장은 2006년부터 전면개방이 시작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정보 기초화와 물류배송 금융체계의 문제는 나날이 안정화되어 온라인 구매환경은 나아지고 있으나, 오히려 해마다 인터넷쇼핑물 구매율의 하락은 온라인 쇼핑몰 상거래에 대한 불신 문제가 그대로 남아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소비자수준에서의 온라인 구매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주요 장애요인으로써 불신(distrust)을 제기하고자 하며 신뢰를 신뢰와 불신의 2차원으로 파악하여 각각의 차원(신뢰와 불신)이 마케팅 성과에 차별적으로 공헌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선행변수로 상호작용, 지각된 평판, 정보유용성, 지각된 보안위험, 지각된 거래위험을 설정했으며 매개변수로는 신뢰와 불신을, 결과 변수로는 관계몰입과 구매의도로 구성하였다. 결과에서는 온라인 맥락에서는 신뢰와 불신의 선행요인이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관계몰입과 구매의도에 서로 차별적으로 공헌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는 기존의 신뢰를 2차원으로 구분하여 신뢰와 불신으로 분리하여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 PDF

식자재 이커머스 플랫폼 비지니스의 서비스품질 영향요인이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충성도의 매개효과를 고려하여

  • 이미경;하규수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04a
    • /
    • pp.7-10
    • /
    • 2023
  • IT기술의 발전과 스마트기기의 대중화로 인한 정보통신기술의 눈부신 발전으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식품구매 비중이 급격히 증가하여 온·오프라인의 경계를 없어지고 있다. 더군다나 COVID-19 팬데믹은 반조리식품, 밀키트 등 홈쿡(Home-cook) 온라인시장을 급격히 확산시키며 소비자 구매추세를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완전히 바꿔놓는 전환점이 되었다. 이런 트랜드를 반영하듯 다양한 온라인 식자재 이커머스 플랫폼의 출현하면서 브랜드마다 각각의 차별점을 내세우고 있으나 경쟁은 치열해지고 차별화는 더욱 어려운 게 현실이다. 이는 기업이 소비자에게 일방향으로 정보 또는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 하는 수직적 관계가 아닌, 수평적 쌍방향 관계로의 발전으로 이어져 브랜드가 가지고 있는 가치에 대해 보다 정직하게 보여주어야 소비자의 신뢰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Kotler, 2017). 또한, 과거에 소비자들의 만족도가 높았던 서비스도 현재 환경에서는 소비자의 니즈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조윤오, 2018). 이는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기대와 니즈가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에 따라 기업은 소비자들의 새로운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개발 및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김광재 등, 2011). 이미 높은 인지도를 가진 플랫폼일지라도 지속가능한 우위를 선점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소비자의 긍정적인 태도와 재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제품 본질 뿐 아니라 서비스 차별화를 꾀하고 있고 차별화된 포지션을 차지하기 위해 온라인 플랫폼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서비스 품질 요인을 측정하여 고객이 중시하는 요인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식자재를 구매하는 소비자의 꾸준한 방문과 구매를 유인하기 위해 어떤 변수의 영향력을 높여야 소비자 재구매의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지 방법을 모색하고 온라인 플랫폼 기업 및 스타트업의 경영전략 마련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식자재 구매 플랫폼 품질속성, 서비스품질 정도,, 충성도의 전반적인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연구 과제를 설정하고, 식자재 이커머스 온라인 플랫폼 이용 전반에 대한 평가를 실시할 예정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식자재 이커머스 플랫폼 운영 전략을 세우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하며, 기존의 온라인 식품구매 플랫폼의 서비스품질 요인과 소비자 행동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과는 다른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 있는 연구가 될 것이다. 또한, 다양한 산업에서의 플랫폼 비지니스 모델 적용을 위한 전략 수립을 하는 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PDF

The Analysis of Woman User Behavior Pattern in Online Games (여성 유저의 온라인게임 이용 행태에 관한 연구 - 온라인게임에서의 젠더 정체성을 중심으로-)

  • Seok, Sung-Hye;Lee, Ji-Yo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b
    • /
    • pp.693-704
    • /
    • 2007
  • 지금까지 사이버문화에 대한 연구는 해당 문화의 가장 큰 특성 중인 익명성과 그것이 개별 이용자들의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관심이 있어왔다. 최근 주목을 받고 있는 싸이월드나 블로그 등 CMC환경에서 매체가 일반적으로 여성의 라이프스타일 및 여성성과 연관되어 정체성의 구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러한 이용 형태를 마케팅과 접목하여 높은 여성 참여와 구매력을 이끌어내고 있다. 반면 온라인게임은 남성 중심의 매체로써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여성의 온라인게임 이용 행태 분석 및 마케팅 전략 연구가 미흡하였다. 온라인게임에서 여성 이용자의 참여나 구매력을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남성 중심적 매체에서 여성 온라인게임 유저의 이용 행태 분석 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여성의 온라인게임 소비 패턴과 특성을 파악하고, 나아가 고객 충성도, 구매력과의 관련성 속에서 마케팅적 시사점을 도출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온라인게임 여성 유저의 심층 인터뷰를 통하여 우선적으로 연령별 게임 이용 패턴 - 게임이용 장소, 초기 진입 방식, 커뮤니티 활동, 아이템 구매 형태 등 - 에 대해 알아보고, 다음으로 여성 유저의 게임 플레이 방식으로 게임 내 캐릭터의 전유 방식(몰입)과 게임 플레이 스타일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때 여성의 온라인게임 이용 방식이 남성적 매체라는 구조적 공간 내에서 여성의 성적 특성이 온라인게임 소비 행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또한 여성 유저의 이용 방식에 따라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도록 한다.

  • PDF

Effects of Consumers' Shopping Motivation on the Consumer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Comparison of Chinese and Vietnamese Consumers (소비자의 쇼핑 동기가 온라인 쇼핑에 대한 신뢰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중국과 베트남 소비자를 중심으로)

  • Won, Sung Bin;Sun, Zeng-J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8
    • /
    • pp.71-80
    • /
    • 2016
  •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which proved that "seeking convenience", "seeking low-cost" and "pleasures of shopping" are the major shopping motivation of online shopping. Research is conducted by using the trust as mediator, purchase intention as dependent variable. Also, differences between Chinese and Vietnamese consumers are applied in analysis of the mode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eeking low-cost" and "pleasures of shopping" have positive effects on trust. Second, all shopping motivation have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ird, the trust has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Fourth, consumers' shopping motivation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trust and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Chinese and Vietnamese consu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esented the strategic implications for operators at online shopping area.

A Study on Consumer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ocial Media Use Clusters When Purchasing Agri-food Online (온라인 농식품 구매시 소셜미디어 이용 군집에 따른 소비자특성에 대한 연구)

  • Lee, Myoung-Kwan;Park, Sang-Hyeok;Kim, Yeon-Jong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6 no.4
    • /
    • pp.195-209
    • /
    • 2021
  • According to the 2019-2020 social media usage survey conducted by the Seoul e-commerce center, 5 out of 10 consumers have experienced shopping through social media. The cost of traditional advertising media has been reduced and advertising spending on social media has risen by 74%, indicating that social media is becoming a more important marketing element. While the number of users of social media has increased and corporate marketing activities have increased accordingl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aspects of marketing such as user motivation for social media,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There was no subdivided study on the differences in the social media usage frequency of consumers in actual purchasing behavior.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differences in consumer characteristics by cluster in the agrifood purchase situation by grouping them by type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use of social media for consumers who purchase agri-food online. Product involvement, product need, and online purchase channel Consumer characteristics such as demographic distribution, perceived risk, and eating and lifestyle in each cluster were checked for the three agrifood purchase situations including choice, and types for each cluster were presented. To this end, questionnaire data on the frequency of social media use and online agrifood purchase behavior were collected from 245 consumers, and the validity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was secur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social media use, it was divided into three clusters. The first cluster was a group that mainly used open social media, and the second cluster was a group that used both open and closed social media and online shopping malls; The third cluster was a group with low online media usage overall,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uster appear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effect on product involvement, product need, and purchase channel selection when purchasing agri-food online through each of the three clusters was confirm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e regression analysis, the characteristic of cluster 1 in the situation of purchasing agri-food online is a male in his 30s living in a rural area who has no reluctance to purchase agri-food on social media or online shopping malls. The characteristics of cluster 2 are mainly consumers who are interested in purchasing health food, and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are represented. In the case of cluster 3, when purchasing products online, they purchase after considering quality and price a lot, and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are represented as people who are more confident in purchasing offline than online. Through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by identifying the differences in consumer characteristics that appear in the agri-food purchase situation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social media use, it can be helpful in strategic judgments in marketing practice on social media customer targeting and customer segmentation.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of Online Community and Intention of Joint Purchasing in Korea and China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도와 공동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 Park, Cheol;Wang, Can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15 no.1
    • /
    • pp.69-89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participation of online community and intention of joint purchase in Korea and China. The online community member actively participate the social activities that can cause the effective communication characters and the great support of the society. In these two factors, the sense of worth related with compensation, norm, interaction, shared values will be taken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se variables as a parameter are related with the intention of joint purchase. To be aware of their behavior norm, interaction, compensation, shared value, these factors will be taken as predicting their behaviors in the online community and their further participating, commitment and co-shopping intention. As the results, compensation, norms, interaction, shared valu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articipation of online community, and this affected the intention of joint purchase in online community. Compensation and norm were significant in Korean sample. Implications and further direction are suggested on the base of the resul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