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온도통각역치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측두하악장애환자에서 다양한 종류의 정량적 통각검사들의 연관성에 관한 연구 (Associations Among Different Types of Quantitative Pain Measures in TMD Patients)

  • 박지운;김용우;정진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4호
    • /
    • pp.413-419
    • /
    • 2007
  • 다양한 종류의 정량적 통각검사들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56 명의 측두하악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측두근, 교근, 측두하악관절 부위, 그리고 경골근의 냉통각역치 (Cold Pain Threshold, CPT), 열통각역치 (Heat Pain Threshold, HPT), 열통증인내역치 (Heat Pain Tolerance Threshold, PTT), 압력통각역치 (Pressure Pain Threshold, PPT)를 측정하였으며, 각기 다른 통각 역치 간의 상관관계와 측정 부위 별 통각 역치 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다. CPT, HPT, PTT를 포함한 온도통각역치의 성별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PPT는 여성이 남성에 비하여 모든 부위에서 유의하게 낮은 역치를 나타내었다. CPT, HPT, PTT를 포함한 세 가지의 온도통각역치들은 모든 측정 부위에서 약정도에서 강정도 (mild to high)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r= 0.324-0.754, p<0.05). PPT 값은 각각의 온도통각역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모든 측정 부위의 통각역치값들은 서로간에 약정도에서 강정도 (mild to high)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r= 0.284-0.878, p<0.05).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온도통각역치와 열통각인내역치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나 온도통각역치와 압력통각역치 간에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각기 다른 부위에서 측정된 통각역치 간에는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삼차신경손상의 온도역치검사에 대한 예비연구 (A Pilot Study for Thermal Threshold Test of Trigeminal Nerve Injuries)

  • 김미은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4호
    • /
    • pp.243-250
    • /
    • 2012
  • 임플란트 수술이나 발치 같은 침습적인 치과치료로 인한 삼차신경 손상의 증가는 최근 치과계의 가장 민감한 문제의 하나로서 향후 법적인 문제로 까지 이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신경손상에 대한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평가 즉, 정량적 감각신경 검사(quantitative sensory testing)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온도역치 검사는 QST의 필수 항목으로 구강영역에서도 신뢰성이 입증되어 있다. 국내에서는 삼차신경손상과 관련한 온도역치 검사에 대한 보고가 아직 없기에, 본원에서 시행한 일부 증례의 온도역치 검사의 결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2011년 5월부터 2012년 10월까지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부속 치과병원 구강내과에 내원한 삼차신경손상이 의심되는 환자중 온도역치 검사를 시행한 18명의 환자 자료를 분석하였다. 환자들의 냉인지역치(cold detection threshold, CDT)는 이환측이 비이환측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나 온인지역치(warm detection threshold, WDT), 냉통각역치(cold pain threshold, CPT), 열통각역치(heat pain threshold, HPT)는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향후 더 많은 피검자를 대상으로 온도 자극과 관련하여 감각저하나 감각과민, 통각저하나 통각과민 같은 유형별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진동공구 사용근로자의 피부온도 변화 (Change of Skin Temperature of Workers Using Vibrating Tools in Anthracite Mines)

  • 노재훈;문영한;신동천;차봉석;조수남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21권2호
    • /
    • pp.357-364
    • /
    • 1988
  • 충청북도 단양지역 착암 근로자 79명과 착암기를 사용하지 않는 광산 근로자 39명을 대상으로 1987년 6월 10일부터 1987년 6월 19일까지 면접 조사 및 집단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창백지(white finger)는 오른쪽 손에 더 많이 나타났다. 2. 창백지 발현에 진동 노출량, 연령, 음주 및 흡연 여부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3. 진동 증후군 증상자의 수지부 통각역치가 대조군에 비해 증가되었다. 4. 냉수 침적후 진동 증후군의 피부온도가 대조군에 비해 낮았으며 회복은 대조군에 비해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