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온도조건

Search Result 10,022,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Design of Temperature Regulation for DNA Kernel to Satisfy Positive Definiteness (DNA 커널이 양한정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온도 조절 디자인)

  • Noh, Yung-Kyun;Kim, Cheong-Tak;Zhang, Byo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7.06b
    • /
    • pp.15-20
    • /
    • 2007
  • 기존의 연구는 DNA 커널을 통한 기계 학습이 DNA 분자들을 통한 in vitro 실험을 통해 가능함을 보였다. 이 때, DNA 커널을 통한 분류 분제는 온도 조절을 통해 양한정(positive definite) 조건을 만족시킬 때 분류 문제를 잘 풀며, 양한정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한 조건으로 높은 온도에서 시작하여 온도를 내리며 hybridization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보다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서 이 hybridization 방법이 양한정 조건을 만족시키기에 적합한 방법임을 보이고, 간단한 hybridization 모델을 통해 양한정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는 hybridization 온도 계획의 충분 조건을 유도한다. 또한 시작 온도와 끝 온도의 경계 조건으로 제시되는 이 충분 조건을 통해 현실적인 온도 조절 계획을 위한 시퀀스의 코딩 방법을 알게 된다.

  • PDF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eeds by Temperature Conditions in Artemisa annua L. (온도 조건에 따른 개똥쑥(Artemisa annua L.) 종자의 발아특성)

  • JunHyeok Kim;Chae Sun Na;Chung Youl Park;Un Seop Shin;Young Ho Jung;Cho Hee Park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53-53
    • /
    • 2020
  • 본 실험은 다양한 생리활성이 보고되어 약용으로 널리 쓰이는 개똥쑥(Artemisia annua L.) 종자의 온도에 따른 발아 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미세온도구배 발아기를 이용하여 낮과 밤의 온도를 각각 5 ~ 35℃ 범위에서 낮과 밤의 시간을 12시간으로 고정하고, 낮 온도가 밤 온도보다 크거나 같은 조건을 설정하여 총 27개의 온도조건으로 개똥쑥 종자의 최종 발아율 및 발아율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개똥쑥 종자는 실험에 사용한 모든 온도조건에서 발아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5/10℃(낮/밤) 조건에서 90%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또한, 발아율 조사결과를 통해 일평균온도뿐만 아니라 일교차온도도 발아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어 일평균온도와 일교차온도로 나누어 발아율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온도조건과 발아율과의 연속적인 발아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비선형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온도 조건과 상대적 발아율의 관계를 수식으로 표현하였다. 일평균온도를 기준으로 발아율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5 ~ 35℃의 모든 일평균 온도범위에서 유의성이 나타났으며 5, 7.5, 32.5, 35℃는 상대적인 음의 영향력을, 나머지 조건에서는 상대적인 양의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교차온도를 기준으로 발아율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0 ~ 25℃의 모든 일교차 온도범위에서 양의 영향력을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평균온도는 19.3℃에 가까울수록, 일교차온도는 14.9℃에 가까울수록 발아에 대한 영향력이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각 수식을 통해 도출된 수치화된 온도에 따른 개똥쑥 종자의 일일누적 온도 영향력을 temperature score(TS)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수식을 통해 누적 TS를 계산한 결과, 14.9 TS가 누적되었을 때 발아율이 85% 이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었다.

  • PDF

염소투입후 방치조건에 따른 유기할로겐 화합물의 발생특성

  • 윤도현;이용두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87-89
    • /
    • 2001
  • 온도조건에 따른 염소투입량과 염소투입 후 방치조건에 따른 유기할로겐화합물의 발생특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원수의 수질특성에 있어서 암모니아성 질소와 TOC의 농도가 높을수록 TOXs의 발생량은 높았고, 온도조건에 따른 TOXs의 발생량은 그다지 큰 차이는 없는 반면 염소투입량에 따른 실험에서는 큰 차이를 보였다. 방치조건에 따른 TOXs의 발생량은 실외에서 방치했을 경우 조금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10~$30^{\circ}C$의 온도조건보다는 유기물의 농도와 염소투입량과 TOXs의 발생량과의 관계가 밀접하고, 실외방치시 시료수의 잔류염소와 외부로부터의 유기물등의 유입으로 인한 반응으로 인해 TOXs 발생량이 높아졌다고 추정되나 추후 면밀한 검토가 요구된다.

  • PDF

A Study on Temperature Distributions of Tool Insert Using FEM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공구 인서트의 온도분포에 관한 연구)

  • 정성찬;김국원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3.06a
    • /
    • pp.110-11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상용 CAD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구 및 인서트를 모델링하고, 절삭이론 및 유한요소법을 사용하여 인서트의 온도분포를 계산하였다. 절삭이론을 이용하여 절삭실험 없이 인서트 끝단의 온도를 계산하고, 이를 하중 조건으로 사용하여 공구의 온도분포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공구 홀더 끝 부분의 여러 가지 온도 경계조건에 대하여, 공구 및 인서트의 온도분포가 계산되었다. 다양한 경계조건에 따른 인서트의 온도분포에 대한 지식은 공구설계 및 가공조건 설정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어떠한 절삭실험 얼이 계산이 가능하므로 가공공정설계시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 PDF

The study on the physiological response and comfort in wearing sportswear in Raniy environments (강우환경 하에서의 스포츠웨어 착용시 인체생리반응 및 쾌적감)

  • 권오경;김진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05a
    • /
    • pp.194-199
    • /
    • 2001
  • 쾌적한 스포츠웨어는 기능성에 있어서 자연환경의 변화조건과 인체의 운동 및 활동에 맞추어 열절달 및 수분전달 등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환경조건 및 강우환경조건하에서의 형상기억 투습방수직물 소재의 스포츠웨어 착용에 따른 인체생리반응 및 쾌적감을 규명하기 위하여 스포츠웨어를 제작하여, 인공기후실에서 환경조건변화에 따른 온열생리학적 특성 및 주관적 감각을 측정, 그 특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평균피부온은 강우환경조건에서 온도가 낮게, 변동폭이 많게 나타났다. 변화경향을 운동부하를 기점으로 온도의 상승이 나타났고, 운동 2단계에 가장 높은 온도를 나타냈으며, 이후 감소하였다. 직장온은 일반환경조건에 비해 강우환경조건에서 온도의 미세한 상승을 보였다. 의복내 기후는 두 조건 모두에서 가슴부위보다 등부위의 온·습도의 변동폭이 크게 나타났고, 강우환경조건에서의 의복내 온도를 제외하고는 모두 등부위의 온·습도가 높게 나타났다. 최고 혈압은 운동의 강도에 따라 비례하여 상승하고, 최저 혈압에는 큰 영향없이 나타났으며, 변화경향은 의복내 온도의 경향과 역으로 나타났다. 평균혈압은 일반환경조건에서 6.9mmHg 높게 나타났다. 심박수는 일반환경조건에서 4.4beats/min 높게 나타났다. 강우환경조건의 주관적 감각의 평가에서, 신체에 직접 가해지는 빗물 등으로 인해 불쾌감이 증가하였고, 운동 후에는 일반환경조건과 달리 냉감이 증가하였으며, 습윤감은 최고치에 달하였다.

  • PDF

Numerical Experiment on Environmental Conditions of Mass Concrete (매스콘크리트의 주변환경조건에 대한 수치실험)

  • 이장화;변근주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9 no.5
    • /
    • pp.217-224
    • /
    • 1997
  • 매스콘크리트의 타설시 온도이력을 정확히 예측하기 위해서는 재령별로 민감하게 변하는 시공 및 주변 환경요인을 엄밀히 반영하여 온도이력을 합리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시공시에 발생되는 주변환경조건을 고려한 상태에서 온도이력을 해석할 수 있도록 개발된 해석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주변환경조건에 대한 수치실험을 수행하고자 한다. 수치실험의 목적은 매스콘크리트 타설시 각종 인자가 매스콘크리트의 온도이력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정량적으로 파악하여 실제 매스콘크리트의 설계 및 시공시 사전에 콘크리트의 온도이력을 예측하여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있다. 수치실험을 수행한 결과주어진 구조물의 설계조건에 부가하여 타설시기, 타설온도,거푸집조건 및 제거시기, 양생 및 개기온도 등의 시공시 주변환경조건의 영향이 대단히 민감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 of Fluctuating Temperature on Development of th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 bner) (변온조건이 파밤나방 [Spodoptera exigua (H bner)] 발육에 미치는 영향)

  • 김용균;권도형;김찬영
    • The Korean Journal of Soil Zoology
    • /
    • v.5 no.2
    • /
    • pp.119-123
    • /
    • 2000
  • Effect of fluctuating temperatures on the development of the immature beet armyworm, Spodoptera exigua (H bner), was analyzed. At constant rearing temperature regimes, the estimated developmental threshold temperatures were varied among stages and instars, but had an average 13$^{\circ}C$ from egg hatch to adult emergence. Based on the 13$^{\circ}C$ threshold temperature, we set up three different rearing temperature regimes having the same day-degrees. Two fluctuating temperature regimes changed significantly the developmenta1 period expected by the constant rearing temperature regime. Under the same thermophase temperature (25$^{\circ}C$), the thermocycling regime with the higher cryophase temperature (10$^{\circ}C$) decelerated the developmental rate probably by lowering temperature limit thor development, but that with the lower cryophase temperature (5$^{\circ}C$) gave a negative developmental effect.

  • PD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Indoor Temperature of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Color of the Learning Materials (학습 환경의 실내 온도와 학습재료의 색채에 따른 학습수행의 특성)

  • Kim, Bose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4 no.2
    • /
    • pp.681-687
    • /
    • 2013
  •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 combination of the indoor temperature on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colors of the learning materials affect the learning performance. To do this, the condition of indoor temperature was divided into three conditions: the neutral condition which is the appropriate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learning activities ($22.5{\sim}24^{\circ}C$), the high-temperature condition (> $24^{\circ}C$), and the low-temperature condition (< $22.5^{\circ}C$). In addition, colors of red, blue, black, and green were used as the warm, cold, and neutral colors, and the verbal-working memory task was used as the learning task. As a result, it was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ponse time of the learning task, whereas, in the accuracy rate of the learning task, the performance was more accurate in red- and black-color conditions. These results could be interpreted as the saliency and color-temperature of the red color, and the familiarity and specificity of the black color.

Temperature Measurement of the Contact Surface by Using the Hot Spot (Hotspa을 이용한 접촉표면의 온도측정)

  • 정동윤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2.11a
    • /
    • pp.50-56
    • /
    • 1992
  • 공업재료의 표면은 수많은 돌기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돌기들의 접촉으로 진실접촉이 이루어진다. 그러므로 마찰은 겉보기 접촉면적과는 무관하며 진실접촉면에서 일어난다. 표면의 한 돌기가 접촉면과 상대운동을 함으로 인하여 마찰열이 발생된다. 이러한 마찰에너지 발산의 결과로서 진실접촉면적 주위의 국부적인 표면 온도가 상승되며 따라서 표면의 평균온도가 상승된다. 이러한 표면온도를 결정하기 위한 이론적 및 실험적인 방법이 많이 제시되어왔다. 정적상태에서의 표면온도는 Block(1937)과 Jaeger(1942)에 의해 이론적으로 소개하였다. Jaeger는 열원의 위치와 상대적인 접촉운동 그리고 크기 및 경계조건 등의 특정한 조건 하에서 진실접촉점의 온도를 계산하였다. 이에 Bany와 Baber(1984)는 그들의 경계조건이 잘목 정의되었음을 지적하고 더욱 세분화된 경계조건으로 온도분포를 유도한 바 있다. Ling(1969)은 접촉점에서의 온도가 주변의 겉보기 접촉면적의 온도보다 훨씬 높다는 것을 수치해석으로 밝혀냈다. 본 연구는 고속정밀촬영기를 이용하여 진실접촉점에서 발생하는 Hot spot의 온도분포를 실험을 통하여 규명하고 그 결과를 Geoim과 Winer의 이론식에 적용하므로 식의 유용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PDF

Analysis of Temperature Rise History Considering Construction Environments in Mass Concrete Structural Element (매스콘크리트 구조체의 주변환경을 고려한 온도이력 해석)

  • 이장화;변근주
    •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 /
    • v.8 no.4
    • /
    • pp.191-199
    • /
    • 1996
  • Cracks occur in mass concrete structures during construction if temperature of the concrete due to heat of hydration is suddenly changed. The temperature is also changed after placement of mass concrete by construction environments on structures. However, methods which can analyze the temperature history of mass concrete considering the construction environments have not been developed yet. In this research, an algorithm and finite element analysis program is developed for the analysis of temperature rise history of mass concrete considering quantitatively heat transfer coefficient and construction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climate conditions, curing conditions, forms and form removal, and additive curing. By comparing analysis results of the program with experimental data, other research data, and analysis results by a finite element program ADINAT, validity and accuracy of the program is verifi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