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옥트리 모델

Search Result 2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Modeling Improvement Algorithm for 3D Volume Refinement Using Octree (옥트리를 이용한 3차원 물체 추출에서의 모델링 향상 기법)

  • Lim, Suk-Hyun;Han, Cha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a
    • /
    • pp.231-234
    • /
    • 2000
  • 옥트리(octree)는 3차원 물체를 복원함에 있어서 간편함으로 팥이 이용되어지는 방법이다. 하지만 물체의 형태가 복잡해지고 물체 내부에 구멍이 뚫어져 있는 경우 옥트리로 표현된 결과만으로는 형태를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본 논문은 옥트리를 이용하여 3차원 물체의 형태를 복원하는데 있어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옥트리의 계층적 구조를 증가시키지 않고 현실감이 떨어지는 부분에 대해서 CSG모델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옥트리로 만들어진 결과물과 3차원 물체와의 차이가 나는 부분에 대하여 좀 더 현실감을 주기 위하여 CSG모델을 이용하여 기본도형을 만들고, 만들어진 도형을 다시 CSG모델을 이용하여 옥트리로 만들어진 물체에 결합시키는 형태로 문제를 해결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을 위하여 3차원 물체를 만들고, 이를 옥트리를 이용하여 문제점을 확인하고, 이를 본 논문에서 주장한 방법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 PDF

Embedding Complete Ternary Trees in Recursive Circulants (완전삼진트리의 재귀원형군에 대한 임베딩)

  • Lee, Hyeong-Ok;Im, Hyeong-Seok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26 no.3
    • /
    • pp.380-388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완전삼트리를 재귀원형군에 임베딩하는 문제를 고려한다. 재귀원형군 G(N,d)는 N개의 노드와 N보다 작은 d의 거듭제곱에 의한 점프에지를 가지는 원형군그래프이다. 임베딩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논문에서는 노드수가 3k인 삼항트리 Tk새롭게 도입한다. 먼저 N개 이하의 정점을 가지는 삼항트리가 G(N, 2)와 G(N,3)의 부그래프임을 보인다. 또한 완전 삼진트리가 삼항트리에 연장률 2, 확장률2, 밀집률 2로 임베딩됨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들을 결합하면서 N개 이하의 정점을 가지는 완전삼진 트리가 재귀원형군G(2N, 2)과 G(2N, 3)에 연장률 2, 밀집률 2로 임베딩 가능하게 한다. 임베딩 과정에서 이용된 삼항트리는 2 -포트 방송모델에서 최소방송트리임을 보이고, 이를 이용하여 재귀원형군 G(2m, 2)가 2-포트 방송모델에서 최소방송시간을 가짐을 보인다.

Visualization of Structural Shape Information based on Octree using Terrestrial Laser Scanning (3D레이저스캐닝을 이용한 옥트리기반 구조물 형상정보 가시화)

  • Cha, Gichun;Lee, Donghwan;Park, Seunghee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8
    • /
    • pp.8-16
    • /
    • 2016
  • This study presents the visualization of shape information based on Octree using 3D laser scanning. The process of visualization was established to construct the Octree structure from the 3D scan data. The scan data was converted to a 2D surface through the mesh technique and the surface was then converted to a 3D object through the Raster/Vector transformation. The 3D object was transmitted to the Octree Root Node and The shape information was constructed by the recursive partitioning of the Octree Root Node. The test-bed was selected as the steel bridge structure in Sungkyunkwan University. The shape information based on Octree was condensed into 89.3%. In addition, the Octree compressibility was confirmed to compare the shape information of the office building, a computer science campus in Germany and a New College in USA. The basis is created by the visualization of shape information for double-deck tunnel and it will be expecte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structural health monitoring and maintenance.

Octree-based Local Shape Analysis of the Hippocampus (옥트리 기반의 해마의 국부적 형상 분석)

  • 김정식;최수미;최유주;김명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4.05a
    • /
    • pp.688-691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메쉬, 복셀, 골격 데이터를 포함하는 복합적인 옥트리 기반의 형상 표현을 이용하여 해마의 형상을 분석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자기공명영상으로부터 분할된 해마 영역에 마칭큐브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다단계 메쉬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렇게 생성된 메쉬 모델을 하드웨어 깊이맵을 이용한 복셀화 과정을 통하여, 중간 단계의 이진 복셀 표현으로 변환한다. 마지막으로 광선 추적 방법에 의해 추출된 샘플 메쉬들에 대하여 L2 Norm을 계산함으로써 형상 특징을 생성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은 사용자 피킹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국부적 부위에서의 계층적 형상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계층적 Level-of-Detail 접근방법은 정확도를 유지하며 형상분석의 소요 시간을 절약하도록 한다.

  • PDF

Local Transformation for Performance Improvement on Overlay Multicast Tree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트리의 성능향상을 위한 로컬 변환)

  • Lee, Hyung-Ok;Son, Seung-Chul;Nam, Ji-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923-926
    • /
    • 2008
  • 오버레이 멀티캐스트는 하드웨어적인 인프라 구축 없이도 시스템의 자원과 네트워크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법이며 중간 노드의 이탈이 발생하게 될 경우 멀티캐스트 트리를 재구성 한다. 그러나 빈번한 멀티캐스트 트리의 재구성은 심각한 성능 저하를 가져오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성능저하를 보완하기 위해 각 자식 노드들로부터 소스 노드에게 주기적으로 피드백 되어오는 정보를 기반으로 트리 성능 최적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은 서비스 하는 부모노드가 트리의 성능을 저하 시키는 원인으로 판단되어질 때 수행하는 메커니즘이고, 이 메커니즘을 수행하여 성능 최적화 트리를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인 서비스 트리의 성능을 향상시켰다.

Performance Optimization Technique for Overlay Multicast Trees by Local Transformation (로컬 변환에 의한 오버레이 멀티캐스트 트리의 성능 최적화 기법)

  • Kang, Mi-Young;Kwag, Young-Wan;Nam, Ji-Seung;Lee, Hyun-O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7 no.8
    • /
    • pp.59-65
    • /
    • 2007
  • Overlay Multicast is an effective method for efficient utilization of system resources and network bandwidth without a need for hardware customization. Multicast tree reconstruction is required when a non-leaf node leaves or fails. However frequent multicast tree reconstruction introduces serious degradation in perform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 tree performance optimization algorithm to solve this defect by using information(RTCP-probing) that becomes a periodic feedback to a source node from each child node. The proposed model is a mechanism performed when a parent node seems to cause deterioration in the tree performance. We have improved the performance of the whole service tree using the mechanism and hence composing an optimization tree.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proposal stands to be an effective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not only the proposed model but also to existing techniques.

A Mesh Partitioning Using Adaptive Vertex Clustering (적응형 정점 군집화를 이용한 메쉬 분할)

  • Kim, Dae-Young;Kim, Jong-Won;Lee, Hae-Young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5 no.3
    • /
    • pp.19-26
    • /
    • 2009
  • In this paper, a new adaptive vertex clustering using a KD-tree is presented for 3D mesh partitioning. A vertex clustering is used to divide a huge 3D mesh into several partitions for various mesh processing. An octree-based clustering and K-means clustering are currently leading techniques. However, the octree-based methods practice uniform space divisions and so each partitioned mesh has non-uniformly distributed number of vertices and the difference in its size. The K-means clustering produces uniformly partitioned meshes but takes much time due to many repetitions and optimizations. Therefore, we propose to use a KD-tree to efficiently partition meshes with uniform number of vertices. The bounding box region of the given mesh is adaptively subdiv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vertices included and dynamically determined axis. As a result, the partitioned meshes have a property of compactness with uniformly distributed vertices.

  • PDF

Constructing Algorithm for Optimal Edge-Disjoint Spanning Trees in Odd Interconnection Network $O_d$ (오드 연결망 $O_d$에서 에지 중복 없는 최적 스패닝 트리를 구성하는 알고리즘)

  • Kim, Jong-Seok;Lee, Hyeong-Ok;Kim, Sung-Won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6 no.5
    • /
    • pp.429-436
    • /
    • 2009
  • Odd network was introduced as one model of graph theory. In [1], it was introduced as a class of fault-tolerant multiprocessor networks and analyzed so many useful properties such as simple routing algorithms, maximal fault tolerance, node axsjoint path, etc. In this paper, we sauw a construction algorithm of edge-axsjoint spanning trees in Odd network $O_d$. Also, we prove that edge-disjoint spanning tree generated by our algorithm is optimal edge-disjoint spanning tree.

Development of a Work Information Model and a Work Path Simulator for an Intelligent Excavation (지능형 굴삭을 위한 작업정보모델 및 작업경로 시뮬레이터 개발)

  • Kim, Sung-Keun;Min, Sung-Gyu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2 no.3D
    • /
    • pp.259-267
    • /
    • 2012
  • The development of construction automation systems is proposed as a potent solution to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by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preparation for the rapidly changing construction environment. A research concerning an intelligent excavation system has taken place since 2006. The intelligent excavation system has several functions for environment sensing, 3D site modeling, work planning, work path generation, unmaned control, and information management. This paper presents a space information model and a work path simulator for work planning and work path generation which is one of key technologies required to apply the earthwork system to the real world. A data structure for an earthwork site is suggested. I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previous data structures such as Quadtree and Octree. The work path simulator can generate an effective work path with considering information on work environment, equipment and operator's heuristic. The work path generated by the simulator is compared with that suggested by human operators.

A Hierachical/Derivative Method for Animating High-Reynolds Fluids (사실적인 유동 재현을 위한 계층적 미분 모델)

  • Song, Oh-Young;Kim, Do-Yub;Ko, Hyeong-Seok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2 no.3
    • /
    • pp.1-5
    • /
    • 2006
  • 이 논문은 비물리적인 속도 감쇄현상을 감소시키는 새로운 유체시뮬레이션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방법은 물리량뿐만 아니라 물리량의 미분정보도 함께 이용하기 때문에 보다 정확한 물리현상을 반영할 수 있다. 나비어-스톡스 방정식을 푸는 일반적인 시뮬레이터는 수치 소산의 대부분은 대류항을 풀 때 발생한다. 따라서, 우리는 소산현상을 효과적으로 막는 CIP 대류방법을 이용하여, 옥트리 기반의 유체 시뮬레이터를 개발하였다. 우리는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이 높은 레이놀즈 수를 갖는 유체의 상세한 움직임(예를 들어, 작은 물방울/공기방울, 얇은 수막, 작은 소용돌이 등)을 효과적으로 모사함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