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옥돌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5초

음이온과 음향 발생 기능이 있는 옥돌을 이용한 조명기구 연구 (A study on lighting equipment using jade stone with negative ions and sound generation function)

  • 김진명;임상호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2호
    • /
    • pp.1-7
    • /
    • 2020
  • 본 연구는 실내 또는 실외를 조명으로 밝게 비추는 조명등에 관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에 사방으로 투시창을 만들고, 사방 투시창에 얇은 패널(panel) 형태로 가공된 옥돌을 부착하여 조명등을 구성함으로써, 옥돌을 통해 은은한 불빛이 실내 또는 실외로 조사(照射)되므로, 사용자에게 아늑함과 따스함을 제공하고, 실내 또는 실외의 인테리어 효과를 높이는 한편 원적외선과 음이온을 발산하며, 은은한 꽃향기를 방출하는 옥돌을 이용한 조명등에 관한 기술이다. 본 연구개발의 제품의 특징은 외관을 구성하는 케이스에 사방으로 투시창이 형성되고, 사방 투시창에 얇은 패널(panel) 형태로 가공된 옥돌을 부착하여 조명등이 구성되며,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유익한 음악, 불경, 성경, 시조 등의 음향을 발생시키는 옥돌을 이용한 조명등을 연구했다는데 의미가 있다.

거정석, 옥돌 및 포도박 추출물 첨가 급여가 돈육의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egmatite, Precious Stone and Grape Pomace Extracts on the Meat Quality of Pigs)

  • 김동엽;한기동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52-260
    • /
    • 2010
  • 90일령의 육성돈에게 거정석, 옥돌, 포도박 추출물박 추출물, 거정석과 포도박 추출물, 옥돌과 포도박 추출물 사료첨가제를 90일 동안 급여하여 육질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일반성분에서는 각 처리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화학적 특성 중 pH와 가열감량에서는 처리구 간 전항목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p>0.05), 보수력에서 거정석 처리군이 다른 처리군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기계적인 연도측정지표인 전단력($kg/cm^2$)에서는 거정석, 포도박 추출물 처리군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거정석과 포도박 추출물을 혼합 첨가한 경우 유의적인 연도 개선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p<0.05). 유리아미노산 함량에서는 전체적인 함량과 각각의 아미노산 함량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지방산조성에도 처리구 간에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p>0.05). 등심에 대한 관능평가에서 거정석과 포도박 추출물 처리군이 다른 처리군 보다 높은 평가결과를 얻었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거정석과 옥돌, 포도박 추출물을 사료첨가제로써 단독으로 사용하였을 때 거정석 첨가군은 다른 첨가군에 비해 높은 보수력을 유지하고, 거정석과 포도박 추출물을 동시에 사료에 첨가 사용하였을 때에는 연도 개선을 통한 육질의 개선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악 타악기 편경의 음색연구 (A Study on the Timbre of Pyeon-gyoung)

  • 윤지원;김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1728-1738
    • /
    • 2010
  • 국악 타악기 편경은 중국의 흑경(chines stone chimes=Bianqing) 등과 함께 '돌로 만든 타악기군 (Lithophone)'에 속한다. 주재료인 경석(옥돌)의 특성상 온도와 습도의 영향을 받지 않음으로, 편경은 아악의 조율을 담당하는 악기로도 잘 알려져 있어 음악사적 가치 또한 크다 할 수 있다. 이렇듯 고정된 음고를 가진 악기라는 점에서 국악의 기준음고 및 음계체계 연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악기로서 편경 음향의 특성 및 가치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편경이라는 타악기의 물리적 모델링 합성(physical modeling synthesis)을 위한 분석 논문으로, 국악 타악기 편경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음색특성을 밝히고, 과학적 분석에 의한 음향학적 근거를 제시하여 이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 같은 편경의 음색연구는 편경의 물리적 모델링 합성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것은 물론, 악기로서의 편경 음색에 관한 이해를 높여 다양한 예술창작분야로의 접목을 활성화함으로써, 문화적 활용도를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