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옥관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3초

"풍공유보도략(豊公遺寶圖略)"의 복식사적 의미 (Historical Meaning of PungGongYuBoDoRyak)

  • 장인우
    • 복식
    • /
    • 제59권10호
    • /
    • pp.124-136
    • /
    • 2009
  • This Study is on the Punggongyubodoryake. Punggongyubodoryak was the records and pictures written by Ohgyeongmun(吳景文, Painter) and Gangbonpungeon(岡本豊彦, a Japanese painter, 1773~1745). in 1832. Those records and pictures were about the gifts which Korea's King(宣祖, 1567-1608) sent to Doyotomi Hideyosi(豊臣秀吉, Pungsinsugil) in 1590. Most of the gifts were of the Korean costume, which meant that Korea recognized Doyotomi Hideyosi as the new general of Japan, Tokugawa Shogunate(幕府將軍). The pictures of every Clothing in punggongyubodoryake described forms of every cloth and delineated ornamental patterns and sizes of clothing as closely as actual, they were clothes of the Middle period of Chosun. the author of the study inferred that it would be one of the impotent materials in the history of the Korean traditional costume. Among the clothes, there were several danryeongs(단령, ceremonial coat), okgwan (玉冠 woman headdress with) and paeok(佩玉, pendents with jade stings) and choongdan(中單 ceremonial undercoat) and Sang(裳, ceremonial Skirts for man), gyeontongsuseulran (肩通袖膝襕, chinese coat) was recorded in punggongyubodoryake. they were not a set of clothes for ceremonial costume but a mixture of men's and women's costume, of korean and abroad styles. the author inferred that this phenomenon was actually a good proof that the gifts were sent to Hideyosi only as courtesy, which meant for downgrading the receiver.

남녕위(南寧尉) 윤의선(尹宜善)의 1837년 「혼수발기」 속 부마 편복(便服) 고찰 (Namnyeong-wie, Yun Eui-Seon's Everyday Clothes included in Wedding Gift List in 1837)

  • 이은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4권3호
    • /
    • pp.68-89
    • /
    • 2021
  • 헌종 3년(1837) 순원왕후(純元王后, 1789~1857)는 막내딸 덕온공주(德溫公主, 1822~1844)의 8월 가례를 맞아 부마 남녕위(南寧尉) 윤의선(尹宜善, 1823~1887)에게 혼수품을 내렸다. 그 물목을 적은 「혼수발기」가 국립한글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데 「혼수발기」를 통해 19세기 전기의 부마 편복에 관해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기」 속 편복 품목을 대략 36종으로 정리하고 용도별로 ① 상의류 9종, ② 하의류 8종, ③ 관모와 수식 10종, ④ 허리띠와 주머니 4종, ⑤ 부채 3종과 신발 2종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남녕위의 편복 중 가장 중요한 의복은 남광사 도포와 남광초 창의(대창의)로 구성된 통상예복이었다. 그 외에 창의 2점(남광수사·청저포), 중치막 1점(남생경광주), 쟁친 상침긴옷 1점(옥색 쌍문초), 모시 홑창옷 1점(소창의), 겹저고리 2점(보라색 설사, 저포), 당포적삼에 생경광주한삼과 저포한삼이 있었고 하의류로는 겹바지와 고의(홑바지), 당포 행전과 버선 2켤레, 초록사 요대, 옥색사 대님이 있었다. 셋째, 관모와 부속품으로 밀화영과 사영을 갖춘 흑립, 정자관·동파관, 받침모 탕건과 복건이 있었으며 수발(修髮)에 필요한 상투관과 세 종류의 동곳(산호·밀화·순금), 옥관자를 갖춘 망건이 있었다. 특히 정자관과 동파관은 18세기 이후 신분별 구분이 있던 관모인데 남녕위에게는 정자관과 동파관을 함께 보냈다. 넷째, 홍색 계통의 세조대와 부싯돌을 담을 쌈지와 사낭, 그리고 옥선추를 장식한 선자, 사직물로 만든 모선, 소접(小摺) 등의 부채류, 운혜와 당혜 신발도 포함되어 있었다. 마지막으로, 『덕온공주가례등록』의 복식 기록과는 달리 「혼수발기」의 복식 기록이 당시의 실제적인 복식 명칭임을 확인하였으며 19세기 전기 부마 편복의 구체적인 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