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오피스 공간구성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8초

지능형오피스의 서비스시나리오 구성을 위한 기초연구 (Development of Service Scenario for the Smart Office)

  • 조윤정;김성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2부
    • /
    • pp.436-441
    • /
    • 2008
  • 오늘날의 오피스 공간은 오피스 초창기에 보여지 듯 거대한 공간 안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났던 공간 구조와는 달리 개인의 업무, 공동의 업무와 상호 독립적인 업무, 그룹의 업무방법과 그룹문화, 그룹과 사람에 따라서 다르게 구성하고 있다. 이는 산업과 기술의 발달로 하여금 사용자의 오피스 공간 의식변화 및 공간 형태에서 큰 변화가 이루어짐을 의미한다. 하지만 유비쿼터스 기술의 빠른 성장은 건물 전체의 기능이나 성능, 효율과 더불어 사용자 중심의 공간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능형오피스의 기술적 공간변화로 진화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능형오피스의 개념을 구체화와 사용자요구 중심의 오피스환경 연구의 일환으로 지능형오피스 서비스시나리오 구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동적패널모형을 활용한 서울시 중소형 오피스 빌딩 임대료 결정 요인 연구: CBD(도심권)와 GBD(강남권)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f Rent Determinants of Small and Medium-Sized Office Buildings in Seoul Using a Dynamic Panel Model: Focusing on CBD and GBD Comparison)

  • 김나라;유진석;김종진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4호
    • /
    • pp.47-62
    • /
    • 2023
  • 본 연구는 오피스의 소비재 및 투자재 특성을 고려하여 거시경제변수와 미시특성변수를 포함한 모형을 구성하고, 유효 임대료 자료를 기반으로 국내 주요 업무지구인 도심권과 강남권 중소형 오피스 빌딩 임대료 결정요인을 비교 분석하여 투자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은 시계열자료와 횡단면자료를 함께 포함하여 분석이 가능하며, 추정량 편의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알려진 동적패널모형을 사용하였다. 두 모형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도심권·강남권 중소형 오피스 빌딩 임대료 영향 요인 분석결과 변수와 계수값 부호 측면에서 도심권 분석 결과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도심권과 강남권 중소형 오피스 빌딩의 임대료는 건물 및 입지특성과 함께 거시경제환경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 공간 소비재와 투자재의 특성을 모두 가지는 시장으로 해석된다. 위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투자적 측면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제시된다. 첫째, 도심권에 위치한 입지는 양호하지만 노후화된 중소형 오피스 빌딩의 재건축은 현실적으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중소형 오피스 빌딩의 가치는 지속적으로 낮아질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어 투자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둘째, 도심권의 경우 주차여건이 가격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도심권 중소형 오피스 빌딩 투자시 대상 빌딩의 주차환경과 개선 가능성에 대한 고려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강남권 중소형 오피스 시장은 거시경제환경의 변화에 보다 민감한 시장으로 향후 이자율과 경제성장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통화정책 등의 변화를 주요한 투자기준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공유오피스의 커뮤니티 중심 공간 구성 특성 (Space Composi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the Community-Centered Shared Office)

  • 이혜수;남경숙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3-11
    • /
    • 2018
  • The number of shared offices has increased and changed within the flow of the era into various forms in recent days. Co-working spaces and related shared space businesses are growing fast, keeping pace with the trend recently. It is confirmed that the need of spaces grew 180% since 2015 to 2017. Most of the shared offices in Seoul are placed in Gangnam circle, it is verified that shared office is providing work, space, and community by visiting cases of foreign companies, domestic companies, local companies. Meanwhile, shared space can be categorized into serviced office, co-working space, virtual office, and daily office. It is to consider various target levels by leasing service or the difference of costs. It is divided into forms of dispersion, circulation, and concentration and is planne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communities' traffic according to the allocation of shared office. The business is conducted network-centered. During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members can get chances to exchange and build communities. They are making business ecosystem which they can coexist and grow together. Shared offices have a view of a solution to empty rooms and will last for a while, and it is expected that co-working system be settled as office space and giving people sense of belonging on their workspace.

작은 공간에 적합한 폴링기반의 센서 네트워킹 (Polling Based Sensor Networking for Small-Space)

  • 정종성;권오영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중)
    • /
    • pp.845-848
    • /
    • 2003
  • 주위 환경에서 사물과 컴퓨터간이나 사물과 사물간의 통신은 고급화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절대적으로 필요한 요소가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작은 공간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센서노드들을 제작하고, 이들이 제공하는 정보를 수집하고 센서노드들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제어용 단말기를 Strong-Arm을 이용하여 제작하였다. 이 단말기를 주축으로 작은 센서노드들을 연결하는 성형 네트워크를 구성하였다. 단말기와 센서노드들간의 통신은 RF무선을 사용하였으며, 폴링기반의 통신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통신 방법은 8초이내에 256개의 센서 노드들과 정보를 주고 받을 수 있으므로, 거실이나 오피스 규모의 작은 공간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적합할 것이다.

  • PDF

한국형 2차원 인체모형(마네킨) 개발

  • 김진호;황민철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34-141
    • /
    • 1995
  • 최근 워크스테이션이나 오피스 설계에서 인간공학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작업대 높이, 다리 여유공간, 시트 조절범위 등에 대한 인간공학 지침서가 있다. 그러나 이런 지침서가 일부 제 품의 디자인에는 적합하더라도, 많은 제품에서는 설계가 복잡하여 마네킨의 사용이 요구된다. 특히 초기 디자인의 개념과 설계의 개략적인 평가를 위해서는 마네킨의 사용이 필수적이며 특히 작업공간이 제한되거나 특수한 작업이 요구될 때는 더욱 사용성이 증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신체크기를 대표할 수 있는 마네킨을 구성하는 방법과 cad 마네킨을 모델링하였다. 우선 마네킨의 기본 구조와 형상을 결정하는데 필요한 25개 기본인체부위를 선정하고 인자분석을 통하여 이들부위의 크기를 대표할 수 있는 마네킨 그룹을 결정하였다. 또 각 마네킨 그룹별로 25개 기본 인체부위의 마네킨 설계치수를 도출하였으며 이들 값을 바탕으로 2차원 인체모형을 ANSYS로 모델링하였다.

  • PDF

자연채광을 이용한 인공조명의 제어방법에 관한 실험적 연구 (A experimental study on artificial illumination control)

  • 차광석;김회서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1993년도 추계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38-43
    • /
    • 1993
  • 현재의 오피스는 공간이 좁고, 바닥위의 배선이 장애물이며, 형광전구가 노출된 조명으로 실내 작업환경에 대한 고려가 매우 미약한 점에 의심할 여지가 없다고 생각된다. 특히 OA기기의 도입에 따른 집무 공간의 감소, 프린터 소음, 기기의 발생열, 배선, VDT(Visual Display Terminal:화면이 있는 OA기기) 작업과 관련된 환경 관리, 작업관리, 건강관리의 필요성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쾌적한 분위기를 구성요소로 조명은 실의 LAY OUT, 표면처리, 배색등 인테리어 디자인과 함께 그 효과를 최대한으로 연출하도록 되리라 생각된다. 따라서, 자연채광 이용을 통하여 절감될 수 있는 인공조명(형광등)의 제어방법으로서 본 논문에서는 점멸방식(ON,OFF)을 시도하였으며 점멸에 따른 급격한 조도저하를 보다 심리적인 차원을 고려한 실내조명 조광장치(천정형태와 외부에 댄 반사판)로 인한 실내조도 분포의 영향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 PDF

코워킹 스페이스의 구성과 운영요소에 대한 중요도 분석 (An Importance Analysis of Coworking Space Organization and Operating Components)

  • 배철희;김정엽;이현석
    • 부동산연구
    • /
    • 제28권4호
    • /
    • pp.23-35
    • /
    • 2018
  • 사무공간의 공유는 초기 회의실 대여 등 단순한 사무공간의 대여로 시작하여, 주 업무공간과 업무지원 공간을 분리하여 지원하는 공유 오피스를 거쳐, 커뮤니티 형성을 유도하여 입주멤버들 간의 협업과 시너지를 극대화 할 수 있는 공간인 코워킹 스페이스로 발전했다. 본 연구는 사례를 통해 코워킹 스페이스를 구성하는 공간의 특성에 대해 파악 한다. 하드웨어 차원의 구성요소와 소프트웨어 차원의 운영요소들 중에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요소를 도출하고, 코워킹 스페이스의 현재 근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분석을 통해 중요도에 따른 우선순위를 제시한다. 분석결과 상위요소는 '공간구성', '멤버쉽관리', '코워킹 관리', '건축요소' 순으로 조사되었다. 일반 항목을 특성별로 구분하여 분석 하였을 때 각 특성별로 요소들 간의 우선순위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자연스러운 커뮤니티의 형성이 코워킹 스페이스의 구성에 있어 중요했다. 향후 코워킹 스페이스를 구상할 때 '공간구성'과 함께 코워킹 스페이스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커뮤니티 활성화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건축요소 부터 공간구성, 멤버쉽 관리, 코워킹 관리의 세부요소들 까지 분석하여 종합적인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부동산간접투자상품이 결합된 포트폴리오의 수익률과 위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Yield Rate and Risk of Portfolio Combined with Real Estate Indirect Investment Products)

  • 최숙현;김종진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9권1호
    • /
    • pp.45-63
    • /
    • 2019
  • 본 연구는 최근까지 우리나라는 재산 3분법을 바탕으로 주식, 채권, 실물부동산으로 구성된 전통적인 포트폴리오에 투자하는 것이 대부분이었으나, 포트폴리오 구성시 대표적인 부동산 간접투자상품인 리츠, 부동산펀드 등을 복합적으로 구성한 결과가 투자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포트폴리오 구성의 가장 적합한 방법인 평균분산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을 하였다. 사용변수는 복합자산 포트폴리오를 보유 자산의 구성에 따라 Portfolio A~Portfolio G까지 분류하였으며, 가격지수는 KOSPI, KRX BOND, REITs(TRUS Y7), FUND(HanwhaLasal), OFFICE(Seoul)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의 경우 채권, 주식, 리츠와 부동산펀드가 결합된 Portfolio D와 실물부동산인 오피스가 추가된 Portfolio G의 위험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채권, 주식, 리츠로 구성된 Portfolio B와 부동산펀드가 추가된 Portfolio D가 위험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수익률의 경우 채권, 주식, 오피스와 부동산펀드로 구성된 Portfolio F와 리츠까지 편입된 Portfolio G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전통적인 재산 3분법으로 구성된 실물부동산 보다 부동산의 비유동성 한계를 제거한 부동산간접투자상품인 리츠와 부동산펀드를 포트폴리오에 구성시 더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직접투자의 가장 큰 단점인 비유동성 문제를 해결하여 투자자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고, 부동산의 소유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소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한 부동산 간접투자시장의 활성화가 더욱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지식산업센터 배치유형과 외부공간구성 요소 변화에 관한 연구 -서울 구로구와 금천구 준공업지역을 중심으로- (Study of the Changes in Knowledge Industrial Center Layout Planning Types and Outside Space Composition Elements -Focusing on Guro-gu and Geumcheon-gu in semi-industrial district in Seoul-)

  • 이상균;오준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6344-6353
    • /
    • 2014
  • 지식산업센터는 제조업의 공장 중심에서 산업과 사회의 변화로 지식기반 및 정보통신 등 다양한 용도를 포함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지식산업센터 관련 제도를 바탕으로 세 시기로 구분하며 선행연구를 통해 배치유형과 외부공간구성요소를 도출하고 사례를 분석하여 배치와 외부공간계획의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첫째, 1999년 이전에는 차량중심으로 건물배치가 이루어졌지만 대지의 형태에 따라 중앙배치, 편측배치로 이루어졌다. 둘째, 분산배치는 저층부인 지원시설을 통합하고 고층부 공장동을 분산배치하여 부분통합배치로 건물의 단일화가 이루어졌다. 셋째, 1999년 개정된 건축법에 의해 준공업지역의 공개공지 활성화를 시작으로 외부공간이 넓어지고 건축면적이 줄어들면서 외부공간구성이 오피스나 오피스텔과 같은 업무시설의 계획기법과 유사하게 변화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