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픈도메인 질의응답

Search Result 23, Processing Time 0.021 seconds

Korean Open Domain Question Answering System Using KorQuAD (KorQuAD를 활용한 한국어 오픈도메인 질의응답 시스템)

  • Cho, Sanghyun;Kim, Minho;Kwon, Hyuk-Chu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321-325
    • /
    • 2019
  • 오픈 도메인 질의응답이란, 질문을 줬을 때 그 질문과 연관성이 높은 문서를 검색하고 검색된 문서에서 정답을 추출하는 태스크이다. 본 논문은 기계 독해 데이터인 KorQuAD를 활용한 오픈도메인 질의응답 시스템을 제안한다. 문서 검색기를 이용하여 질문과 관련 있는 위키피디아 문서들을 검색하고 검색된 문서에 단락 선택 모델을 통해서 문서 질문과 연관성이 높은 단락들을 선별하여 기계 독해 모델에서 처리해야 할 입력의 수를 줄였다. 문서 선별모델에서 선별된 여러 단락에서 추출된 정답 후보에서 여러 가지 정답 모형을 적용하여 성능을 비교하는 실험을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오픈도메인 질의응답 시스템을 KorQuAD에 적용했을 때, 개발 데이터에서 EM 40.42%, F1 55.34%의 성능을 보였다.

  • PDF

R3 : Open Domain Question Answering System Using Structure Information of Tables (R3 : 테이블의 구조 정보를 활용한 오픈 도메인 질의응답 시스템)

  • Deokhyung Kang;Gary Geunbae Le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455-460
    • /
    • 2022
  • 오픈 도메인 질의 응답에서 질의에 대한 답변은 질의에 대한 관련 문서를 검색한 다음 질의에 대한 답변을 포함할 수 있는 검색된 문서를 분석함으로써 얻어진다. 문서내의 테이블이 질의와 관련이 있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는 주로 문서의 텍스트 부분만을 검색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이에 테이블과 텍스트를 모두 고려하는 질의응답과 관련된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테이블의 구조적 정보가 손실되는 등의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테이블의 구조적 정보를 모델의 추가적인 임베딩을 통해 활용한 오픈 도메인 질의응답 시스템인 R3를 제안한다. R3는 오픈 도메인 질의 응답 데이터셋인 NQ에 기반한 새로운 데이터셋인 NQ-Open-Multi를 이용해 학습 및 평가하였으며, 테이블의 구조적 정보를 활용하지 않은 시스템에 비해 더 좋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R2FID: Joint Reranker in Fusion-In-Decoder for Open Domain Question Answering over Tables (R2FID: Joint Reranker기반 Fusion-In-Decoder를 이용한 오픈 도메인 테이블 질의 응답)

  • Sung-Min Lee;Eunhwan Park;Seung-Hoon Na;Daeryong Seo;Donghyeon Jeon;Inho K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100-104
    • /
    • 2022
  • 오픈 도메인 질의 응답(Open Domain Question Answering)은 주어진 질문에 대한 단서가 주어지지 않은 환경에서 정답을 도출해 내는 어려운 문제이다. 최근 테이블 데이터와 같은 구조화된 데이터에서의 질의응답 시스템에 대한 중요도가 점차 높아지면서, 본 논문에서는 위키피디아에 등장하는 테이블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테이블 오픈 도메인 질의 응답 시스템을 구성하기로 한다. 또한, 테이블 검색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Joint Reranker 기반 Fusion-In-Decoder를 제안하고 적용하여 질의응답 Task에서 베이스라인에 대비하여 EM 3.36, F1-Score 3.25 향상을 이루어냈다.

  • PDF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Annotated corpora for the Automatic Classification of Open Domain Queries (오픈도메인 질의문 자동 분류를 위한 주석 말뭉치 구축 연구)

  • Ahn, AeLim;Lee, SeoJin;Choi, DongHyun;Kim, EungGyun;Nam, Jee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309-314
    • /
    • 2019
  • 본 연구는 오픈도메인 자연어 질의문 유형을 '질문 초점(Question Focus)'에 따라 분류하고, 기계학습 기반 질의문 유형 분류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주석 말뭉치 구축을 목표로 한다. 오픈도메인 질의문 분석을 통해 의문사 등의 키워드 기반 질의문 유형 분류의 한계를 설명하고, 질의문 내의 비명시적인 의미자질을 고려한 질문 초점 기반 질의문 유형 분류 기준을 정의하였다. 이 기준에 따라 구축된 112,856 문장의 주석 말뭉치를 기계학습(CNN) 기반 문장 분류 시스템의 학습 데이터로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F1-Score 97.72%성능을 보였다. 또한 이를 카카오 오픈도메인 질의응답시스템에 적용하여 질의문 확장을 위한 의미 자질로 사용하였고 그 결과 전체 시스템 성능을 1.6%p 향상시켰다.

  • PDF

REALM for Open-domain Question Answering of Korean (REALM을 이용한 한국어 오픈도메인 질의 응답)

  • Kan, Dong-Chan;Na, Seung-Hoon;Choi, Yun-Su;Lee, Hye-Woo;Chang, Du-Se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192-196
    • /
    • 2020
  • 최근 딥러닝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오픈 도메인 QA 시스템의 발전은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IR 시스템(Information Retrieval)과 추출 기반의 기계 독해 모델을 결합한 접근 방식(IRQA)의 경우, 문서와 질문 각각을 연속 벡터로 인코딩하는 IR 시스템(Dense Retrieval)의 연구가 진행되면서 검색 성능이 전통적인 키워드 기반 IR 시스템에 비해 큰 폭으로 상승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오픈 도메인 질의응답의 성능 또한 개선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경량화 된 BERT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Dense Retrieval 모델 ORQA와 REALM을 사전 학습하고, 한국어 오픈 도메인 QA에서 QA 성능과 검색 성능을 도출한다. 실험 결과, 키워드 기반 IR 시스템 BM25를 기반으로 했던 이전 IRQA 실험결과와 비교하여 더 적은 문서로 더 나은 QA 성능을 보였으며, 검색 결과의 경우, BM25의 성능을 뛰어넘는 결과를 보였다.

  • PDF

Rertieval-Augmented Generation for Korean Open-domain Question Answering (RAG를 이용한 한국어 오픈 도메인 질의 응답)

  • Daewook Kang;Seung-Hoon Na;Tae-Hyeong Kim;Hwi-Jung Ryu;Du-Seong Cha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105-108
    • /
    • 2022
  • 오픈 도메인 질의 응답은 사전학습 언어모델의 파라미터에 저장되는 정보만을 사용하여 답하는 질의 응답 방식과 달리 대량의 문서 등에서 질의에 대한 정답을 찾는 문제이다. 최근 등장한 Dense Retrieval은 BERT 등의 모델을 사용해 질의와 문서들의 벡터 연산으로 질의와 문서간의 유사도를 판별하여 문서를 검색한다. 이러한 Dense Retrieval을 활용하는 방안 중 RAG는 Dense Retrieval을 이용한 외부 지식과 인코더-디코더 모델에 내재된 지식을 결합하여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RAG를 한국어 오픈 도메인 질의 응답 데이터에 적용하여 베이스라인에 비해 일부 향상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 PDF

Neuro-symbolic relational models on knowledge base for open-domain question answering (지식베이스상 뉴로 심볼릭 관계 모델을 이용한 오픈 도메인 질의응답)

  • Lee, Young-Hoon;Na, Seung-Hoon;Choi, Yun-Su;Lee, Hye-Woo;Chang, Du-Se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433-436
    • /
    • 2020
  • 오픈 도메인 질의응답은 주로 관련된 문서를 검색하고 문서 집합에서 정답을 찾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검색 기반 질의응답 방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검색 기반 질의응답은 정답이 검색된 문서 집합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정답을 찾을 수 없다는 한계가 존재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NIL-Aware 방법을 이용하여 Unanswerable한 질문인 경우 문서 자원이 아닌 지식 베이스 자원을 활용하는 뉴로-심볼릭 지식 베이스 질의응답과의 결합 모델을 제안하고 한국어 질의응답 데이터에 적용함으로 제안하는 결합 방법의 유의미성을 확인한다.

  • PDF

Bayesian Model Uncertainty for Open-domain Question Answering (베이지안 모델 불확실성에 기반한 오픈도메인 질의응답)

  • Lee, Young-Hoon;Na, Seung-Hoon;Choi, Yun-Su;Chang, Du-Seo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93-96
    • /
    • 2019
  • 최근 딥러닝 모델을 다양한 도메인에 적용하여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딥러닝 모델은 정답으로 제시된 결과가 정상적으로 예측된 결과인지, 단순히 오버피팅에 의해 예측된 결과인지를 구분하기 어렵다. 이러한 불확실성(Uncertainty)을 측정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베이지안 딥러닝 방법 중 하나인 변분추론(Variational Inference)과 몬테카를로 Dropout을 오픈도메인(Open-Domain) 태스크에 적용하고, 예측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측정하여 예측결과에 영향을 주는 모델의 성능을 측정해 효과성을 보인다.

  • PDF

Fusion-in-Decoder for Open Domain Multi-Modal Question Answering (FiD를 이용한 멀티 모달 오픈 도메인 질의 응답)

  • Eunhwan Park;Sung-Min Lee;Daeryong Seo;Donghyeon Jeon;Inho Kang;Seung-Hoon Na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2.10a
    • /
    • pp.95-99
    • /
    • 2022
  • 오픈 도메인 질의 응답 (ODQA, Open-Domain Question Answering)은 주어진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과업으로서 질문과 관련있는 지식을 찾는 "검색" 단계를 필요로 한다. 최근 이미지, 테이블 등의 검색을 요구하는 멀티 모달 ODQA에 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을 뿐만 아니라 산업에서의 중요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본 논문은 여러 종류의 멀티 모달 ODQA 중에서도 테이블 - 텍스트 기반 멀티 모달 ODQA 데이터 집합으로 Fusion-in-Decoder (FiD)를 이용한 멀티 모달 오픈 도메인 질의 응답 연구를 제안하며 베이스라인 대비 최대 EM 20.5, F1 23.2 향상을 보였다.

  • PDF

Web-Scale Open Domain Korean Question Answering with Machine Reading Comprehension (기계 독해를 이용한 웹 기반 오픈 도메인 한국어 질의응답)

  • Choi, DongHyun;Kim, EungGyun;Shin, Dong Ryeol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87-92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기계 독해를 이용한 웹 기반 오픈 도메인 한국어 질의응답 시스템에 대하여 서술한다. 하나의 사용자 질의에 대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된 시스템은 기 존재하는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최대 1,500 개의 문서를 기계 독해 방식으로 분석하고, 각 문서별로 얻어진 답을 종합함으로써 최종 답변을 도출한다. 실험 결과, 제안된 시스템은 평균적으로 2초 이내의 실행 시간을 보였으며, 사람과 비교하여 86%의 성능을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시스템의 데모는 http://nlp-api.kakao.com에서 확인 가능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