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염원

Search Result 2,005,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cquisition of Watershed-based Pollution Source Information using Spatial Distributed Geo-Information (분포형 공간정보를 이용한 유역단위 오염원정보 구축)

  • Bae, Myoung-Soon;Ha, Sung-Ry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9 no.4
    • /
    • pp.215-223
    • /
    • 2006
  • The Total Maximum Daily Load(TMDL) Act just implemented as a new tool of watershed based water quality management, in Korea. Thus, there are a number of pending questions to resolve for successful settlement of the TMDL. The allocation of pollution source is a exceedingly sensitive issue on local development planning. The simple area-based allocation (SAA) is conventional method to allocate the administrational pollution information to watershed based information. The SAA has a limitation that it can'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spatial distribution of pollution source and it has caused more uncertainty of TMDL. This study was performed to reduce the uncertainty of watershed-based pollution information using the spatial distribution-based allocation(SDA). In the specific area where pollution source is concentrated such as urbanized region, it has been certified that SDA could reduce a tolerance of pollution information dramatically. As a result of study, SDA is expected a effective tool for TMDL and to solve the conflict between development and protection.

  • PDF

공장부지 토양.지하수 오염 조사기법 및 정화기술의 적용

  • 황종식;박연정;손명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11a
    • /
    • pp.19-26
    • /
    • 1998
  • 토양과 지하수 오염은 오염원이나 그 정화 방법에 있어서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수질오염이나 대기오염과 달리 일단 한번 오염이 되면 오염 정화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우면서도 비용이 많이 드는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오염원의 형태에 따른 통합된 관리 및 효율적 정화기술의 적용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따라서 표준화된 오염조사 절차 (Environmental Site Assessment)를 통해 대상부지를 조사한 후, 확인된 오염원의 정화를 위한 기술을 선정함에 있어 필요한, 오염원·대상부지 특성 및 사업환경에 따른 정화기술에 대해 설명하고, 토양 및 지하수 통합 정화기술의 적용 예를 들어 토양과 지하수를 통합·관리함이 필요함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Emission Inventories of Air Pollutants in Pohang (포항지역의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

  • 최진수;장윤석;김현구;김민균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377-378
    • /
    • 2001
  • 포항지역은 인구규모 50만 정도의 중소도시이지만 도심은 항만을 끼고 있고 포항제철 및 연관산업체가 입지하여 선박, 전동기관차 그리고 인근의 공항 등 다양한 형태의 대기오염물질 배출원이 공존하고 있는 지역이다. 지금까지 대기오염배출량 산정에는 주로 자동차 및 산업체 및 주거지역지역과 같은 오염원을 다루고 있으며 기관차, 항공기 및 선박과 같은 오염원에 의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산정은 드물다. 이러한 복합적인 오염원이 존재하는 곳에서의 대기질 관리에 있어 가장 선행되어야 할 사항 중의 하나는 주요한 대기오염 배출원의 파악과 가장 현실성 있는 오염원의 배출목록을 작성하는 것이다. (중략)

  • PDF

Estima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ant in Cheongmi basin under consideration of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청미천 유역에서의 비점오염원 추정)

  • Son, Minwoo;Kim, Sang Ug;Chung, Eun-Sung;Byun, Jis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72-572
    • /
    • 2016
  • 청미천 유역은 다양한 수계로 구성된 대유역에 해당되며 농업 및 공업활동에 따른 오염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오염원 중 비점오염원이 가지는 특성을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라 모의 및 분석한다. 비점오염원의 모의를 위해서는 SWAT 모형이 이용된다. 기후변화 시나리오로는 RCP4.5 및 RCP8.5 시나리오가 적용된다. SWAT 모형은 유역 모의를 위한 모형으로 대규모의 복잡한 유역에서의 장기간 모의를 수행할 수 있으며 다양한 조건의 토양 및 토지이용 상태를 고려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강유-유출모형과 수질모형 등을 GIS와 연계한 호환모형을 이용하며 유출에 따른 비점오염원의 거동을 해석하고자 한다. SWAT 모형을 이용한 모의를 위해 필요한 매개변수는 관측소 현황, 강우, 기온, 습도, 일사량, 풍속 등이다. 이중 일사량에 대한 정보를 가정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고 나머지 매개변수는 청미천 유역의 특성치를 조사하여 입력하였다. 청미천 유역의 수질 오염원에 대한 기여도를 분석하기 위해서 시설용량이 일정 크기 이상인 하수처리장을 조사하였고, 이에 대한 정보가 모의시 검토되었다. 청미천 유역 전체 오염원에 대한 점오원의 비율을 검토한 결과 홍수기에 점오염원의 영향이 낮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홍수기에 불특정 지점에서 유출되는 비점오염원의 기여도가 큰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소규모 산업단지의 배출량 등에 대한 자료가 보완될 때 보다 신뢰성 있는 모의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총질소와 총인의 경우에도 하계 홍수기에 크게 증가하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부유물질의 경우는 그 변동 폭이 다른 항목에 비해 크게 나타나며 9월에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본 연구를 보다 고도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해 매개변수를 보정하는 과정이 필요하며 점오염원을 포함하여 다양한 오염원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구축되는 과정 역시 중요하다.

  • PD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hore Pollution Source in Southern Part of Sinan, Jangsando area in the West Coast, Korea (서해 신안 장산 남부해역의 육상오염원 환경특성 분석)

  • Yoon, Hayan;Shin, Yongsik
    • Journal of Marine Life Science
    • /
    • v.2 no.2
    • /
    • pp.56-61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shore pollution sources in the southern part of the Sinan, Jangsando area in the West Coast of Korea. A shoreline survey of the watershed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ollution sources and measure the water discharge rate and microbial hygiene of water and finally estimate the possible impact area of pollution. Forty five of pollution sources in total were identified and they were grouped into sewage (33), agriculture waste water (1) and waste water from inland fish farm (11). Nine among them were discharged into the seawater and discharge volume was 72,857~281,250 l/min. Fecal coliforms of St. 72 (sewage) and St. 74 (shrimp farm) were 490 MPN/100 ml and 49 MPN/100 ml and the impact zones of the pollution were 4,389 m and 1,900 m respectively.

Evaluation of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in Gul-po Stream using Flow-Loading Equation and Correlation Analysis (유량-부하량 관계식과 상관관계 분석을 이용한 굴포천의 수질특성 평가)

  • Jang, Ji Yun;Kim, Dae Woong;Choi, Ye Ji;Jang, Dong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452-452
    • /
    • 2021
  • 하천 및 호소수역에 대한 수질오염원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농도규제 방식으로는 수질개선에 한계가 나타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목표 수질 한도 내에서 유역 배출원의 오염물질총량 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수질오염총량관리제 개념이 도입되어 단위유역 지자체별 배출부하량을 관리하고 있지만, 지역의 오염원 배출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저감계획은 오히려 유역 내 새로운 오염원으로 전락하여 수질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총량 관리를 위해서는 수계 내 오염원 파악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질오염총량제 대상 하천인 굴포천의 수질 오염원 분석을 위해 2016년, 2017년 굴포천 유역 토지이용 자료를 활용하여 수질항목과의 상관성을 파악하고 2016년부터 2020년까지 최근 5년 동안 총량측정망을 통해 측정된 유량 및 수질 자료를 이용해 상류, 중류, 하류 각각의 유량-부하량 관계식을 도출하여 지점별 수질 오염원 특성을 분석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강우 시 밭과 BOD, SS, T-P는 양의 상관성을 보였고, T-N은 강우, 비 강우 시 관계없이 밭, 논에서 높은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유량-부하량 관계식 도출 결과, 상류의 경우 BOD, COD, T-P, TOC, SS는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농도가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2019년 4월 이후 오존처리 재이용수 방류에 따른 유량 증가의 영향이라고 사료 된다. 반면 T-N은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농도가 증가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오존처리 재이용수의 T-N 농도가 하천의 T-N 농도 보다 높아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중류와 하류의 경우 BOD, COD, T-P, TOC, SS는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농도가 증가하는 특성을 나타내어 강우 시 비점오염원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하류의 경우 유량이 증가함에 따라 수질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중류에 비해 비점오염원 영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제언 - 농산물(식품) 오염원에 대한 인식, 올바른가? - 화학적 위해보다 '생물학적.물리적' 위해 중점 관리해야

  • Ha, Sang-Do
    • Life and Agrochemicals
    • /
    • s.256
    • /
    • pp.34-37
    • /
    • 2010
  • 질병 조사에 따르면 일반적 식품오염 유형의 90%가 세균이고, 나머지 6%가 바이러스, 3%가 화학물질이다. 식품 오염원중 생물학적 위해가 주로 질병과 관련이 된다는 이야기다. 소비자는 농식품의 오염원과 위해요소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져야 할 것이다.

  • PDF

Preliminary Evaluation of Sources of Ambient Trace Metals using Wind Speed and Wind Direction (풍속과 풍향을 이용한 대기중 미량금속의 오염원에 대한 예비적인 추정)

  • 장미숙;이진홍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55-56
    • /
    • 2002
  • 풍속과 풍향은 지역의 오염원 추정에 중요한 변수가 되므로 풍속에 따른 오염물질 농도 및 풍향을 고려한 pollution rose를 통해 기상조건과 오염물질 농도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대상 지역의 오염원을 개괄적으로 추정하고자 한다. (중략)

  • PDF

Reducing Device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in Footbridge of Bridges (교량형 인도교의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 Lee, jong-seok;Kim, chi-gon;You, eui-geen;Lee, hye-won;Kim, si-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11-412
    • /
    • 2016
  • 고도화 산업사회에서 하천 횡단 도로에 설치되는 교량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때 친수성을 고려한 기존 설치 교량 또는 그 부속 인도교에서 발생되는 비점오염원은 고농도인 상태로 초기우수와 함께 그대로 하천으로 방류됨으로써 하천수에 상당한 수질 오염을 초래한다. 이를 줄이기 위해 교량 인도교에 초기우수와 함께 일시에 유입되는 비점오염원을 경감시킴으로써 하천 수질의 개선효과는 클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초기 우수로부터의 비점오염원을 저감시킬 수 있는 소형과 중형장치를 개발하고, 이를 사용한 실내실험을 통해 비점오염원 요소의 제거효율을 분석하고자 한다.

  • PDF

Measured Analysis Using Equipment of Non-point Pollutant Reduction on Bridge (교량 위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실측분석)

  • Park, Young-Joo;Jung, Chan-Wook;Lee, Jung-Ho;Lee, J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069-1073
    • /
    • 2010
  • 우리나라는 물 부족 국가로 대부분을 다목적 댐 등에 의해 조성되는 지표수를 주요 수자원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도시화와 산업발전으로 인해 공공유역의 오염부하가 가중되고 있어 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특히 교량 위의 비점오염원이 하천으로 유입되면서 수질이 크게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량 위에서 발생하는 비점오염원이 하천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정찬욱(2010)이 대소규모별로 개발한 비점오염원 저감장치를 이용해 실측 분석하고 하였다. 개발된 저감장치의 효율성 분석은 모충교 교량의 하부에 직접 장비를 설치하여 시료를 채취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소용량 저감장치의 경우에는 부유물질 제거에서 큰 효율성을 보였으며 대용량 저감장치의 경우에는 총인을 제외한 거의 모든 부분에서 오염물질의 저감 효과를 나타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