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염우려지역

Search Result 197,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Natural Background and Enrichment Characteristics of the Stream Sediments from the Hamyang-Sancheong Area (함양-산청지역 하상퇴적물의 자연배경치 및 부화특성)

  • Park, Young-Seog;Park, Dae-Woo;Kim, Jong-Kyu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2 no.3
    • /
    • pp.195-206
    • /
    • 2009
  • We investigated natural background and enrichment characteristics and predicted geochemical disaster for stream sediments in the Hamyang-Sancheong area. Stream sediments samples were collected 95 ea in study area. The stream sediments were well known that had not possibility of contamination effect and represented drainage basins. We got the major and hazardous elements concentrations by XRF, ICP-AES and NAA analysis methods. Acid decomposition for the ICP-AES has been used $HClO_4$ and HF with $200^{\circ}C$ heating at 1st and after that $HClO_4$ HF and HCl with $200^{\circ}C$ heating at 2nd stage. We could know the characteristics that concentration of Cu and Co decreased when concentration of $SiO_2$ increased in correlation analysis. The enrichment factor of the stream sediments was below 2 in study area. This result indicated that study area belonged to moderate enrichment. The stream sediments of Hamyang area were enriched in order of Pb>Th>Cr>V>Co>Cu and those of Sancheong area were enriched in order of Pb>Th>Cr>Co>V>Cu. The enrichment factor(E.F.) of the Pb, Cr, Co and V was similar between Hamyang and Sancheong area. The enrichment factor of the Th was higher in Hamyang area and that of the Cu was higher in Sancheong area. The enrichment factor of the Pb was highly enriched in all study area than earth crust mean. But we could know that study area was not exposed to the pollution of the Pb through the tolerable level.

Survey of the oil contaminated level and preliminary field bioremediation test in the Mountain Baegun at Uiwang city (의왕시 백운산 주변 유류 오염도 조사 및 현장 복원 기초실험)

  • 김종석;주춘성;김윤관;권은미;정욱진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7 no.2
    • /
    • pp.3-11
    • /
    • 200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oil contamination around the Mountain Baegun at Uiwang city to obtain the preliminary data for bioremediation. For measuring the oil concentrations and physical properties from soil, we analyzed BTEX. TPH and pH, organic content, water content, pormeability coefficient, gravity, porosity and used the purge & trap method for analyzing BTEX. Using the Accelerated Solvent Extractor, we pretreated the samples and then analyzed TPH using GC-FID as soon as possible. From the analysis results, maximum concentration of TPH was 24.773mg/kg and BTEX was 101.7mg/kg. The results of TPH at the Mountain Baegun were higher than the enforcement standard of soil contamination(Korea) and the BTEX concentrations were also higher than the advisory standard of soil contamination(Korea). From these results, the Mountain Baegun may requires to remedy the oil-contaminated soil. In addition, we performed the field bioremediation test for five weeks at the Mountain Baegun using the microbial additives that were developed by our laboratory. From the results of the field test, we could find the about 95% of the oil was removed from the contaminated soil in five weeks. So we consider that it is the one of the useful solutions to remedy the oil-polluted site.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at alpine and sloped-land in Gangwondo, Korea (강원도 고랭지 배추경작지의 토양 및 수질 중 농약 오염 실태)

  • Park, Dong-Sik;Kim, Tae-Han;Kim, Seong-Soo;Lee, Sang-Min;Kim, Song-Mun;Hur, Jang-Hyun
    •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 /
    • v.8 no.3
    • /
    • pp.189-197
    • /
    • 2004
  • Alpine and sloped-land in Gangwondo, Korea is the most important land type for cultivation of Chinese cabbage. However, farmers in these regions have major problems with insect pests, weeds and disease. Over use or inappropriate use of agrochemicals occurs frequently. No intensive study of pesticide contamination in this area has been done. The work presented in this paper addresses this deficiency. We measured pesticide residues within soil and water samples using multiresidue analysis. Samples were collected bimonthly from April to October, 2002 at three sites with to sampling spots. At the three sites, Pyeongchang, Jeongseon and Taebaeck, pesticides most frequently detected (>30% of samples) in soil samples were endosulfan, fluazinam, diniconazole, alachlor, prothiofos and dimethomorph. The amount of pesticide residues in the soils was ranged from 0.004 to $0.412\;mg\;kg^{-1}$ in these samples. Non-registered pesticides were also detected in these samples, indicating illegal use of pesticides. No pesticide were detected in the water samples collected from those sites. The results showed that pesticide residues might be dependant on physiochemical properties of pesticides, application history and soil propertie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appropriate pesticide use on alpine and sloped-land in Korea.

Simulation of Lake Water Quality Changes following the Land Change by Three Dimensional Model (3차원 수질모델을 이용한 토지변화에 따른 호소 내 수질 변화 모의)

  • Kim, Yon-Soo;Kim, Soo-Jun;Kwak, Jae-Won;Kim, Duck-Gil;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145-149
    • /
    • 2011
  • 우리나라의 강우특성은 여름철인 6월~9월에 집중되며 대부분이 일시에 집중적으로 발생하여 하천을 통하여 호소 및 바다로 유입된다. 이러한 강우특성으로 여름철에 집중되는 강우로 인한 하천의 유량을 댐과 같은 수공시설물을 통해 저류시킴으로써 하류지역의 홍수피해를 예방하고 이용할 수 있는 물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대형 인공호의 유역에서는 인구 증가와 상업 및 공업화에 따른 토지이용이 변화함에 따라 오염물질의 유입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댐이나 호소는 지표면에 고여 있는 수체를 말하며 물이 천천히 흐르거나 흐름이 전혀 없는 경우도 있다. 댐이나 호소에서는 장기간 수류의 지체현상이 발생하므로 발생하는 수체 및 수질의 문제가 하천과는 다르다고 할 수 있다(서동일 등, 2009). 호소의 물은 정체되어 있기 때문에 흐르는 물에 비해 자정능력이 부족하고 바닥에 퇴적된 유기물이 분해되어 수질에 나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수질관리에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박석순, 2009). 따라서 흐름방향 보다 수심방향으로의 특성이 강하게 작용하는 댐이나 호소에서는 3차원 수리 수질 모형의 적용이 타당하며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하여 EFDC를 적용하였다. 섬진강 유역의 경우 전체유역의 65.8%가 임야로 이루어진 산림유역으로 비교적 적은 양의 유역오염물질이 발생하지만 산불이나 벌채와 같은 산림의 손실은 홍수기 때 유역오염물질의 발생 및 유출을 증가시켜 주변수체의 수질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운암호 수질측정망 상류 유역면적인 $526.23km^2$에 대하여 토지변화 시나리오를 임야의 25%, 50%, 75%가 손실되어 나대지화 되었다고 가정하고, EFDC 모형을 이용하여 산림지역의 소실에 따른 토지피복 변화가 섬진강 댐 운암호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al Evaluation of pH and Heavy Metals Concentrations of Soil in the Gangwon-do (강원도 지역의 용도별 토양의 수소이온농도 및 중금속 오염 평가)

  • Kim, Joon-bum;Woo, Seung-soon;An, Jung-hyeok;Jeon, Choong;Kwon, Young-Du;Chung, Yeong-Jin;Park, Kwang-Ha
    • Applied Chemistry for Engineering
    • /
    • v.16 no.4
    • /
    • pp.556-562
    • /
    • 2005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effects of pH and heavy metals on soil pollution in 167 sites of Gangwon-do. The overall pH range of soils was 4.3~8.4 The average soil pollution of Cd was 0.089 mg/kg (0.000~3.493 mg/kg), Cu 3.093 mg/kg (0.078~60.263 mg/kg), Pb 4.74 mg/kg (0.01~38.08 mg/kg), Hg 0.054 mg/kg (0.002~1.050 mg/kg), and As 0.971 mg/kg (0.031~77.051 mg/kg), but $Cr^{6+}$ was not detected in these soils.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these soils was acceptable under the preliminary standard of soil preservation acts in Korea.

Determination of CSOs Treatment Capacity considering the Pollution Load (오염부하량을 고려한 월류수 처리시설 규모 결정)

  • Kim, Joong Hoon;Yoo, Do Geun;Lee, Eui Hoo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5 no.5
    • /
    • pp.3270-3278
    • /
    • 2014
  • Many researches has been conducted as extreme rainfall in hydrology and extreme rainfall analysis is not proper for determination of CSOs treatment capacity. In this study, runoff is calculated by tranformation from rainfall to runoff according to Interevent Time Definition. The capacity of sewage treatment plant is designed by 3 times of DWF(Dry Weather Flow) and the efficiency of present sewage treatment plant is very low becauseat at present. Also, The sewage treatment plant can not control CSOs. In this research, the pollution load is calculated by EMC(Event Mean Concentration) and pollution concetration of total runoff is a standard deciding suitablility of present sewage treatment plant. Finally, CSOs treatment capacity is determinated considering pollution load.

Soil Pollution and Contaminated Soil Management of the Public Housing Agency in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전국 토양오염실태 및 공공택지개발지구의 오염토양 관리)

  • Oh, Jeongik;Jin, Kyunam;Lee, Hyunje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8 no.7
    • /
    • pp.377-386
    • /
    • 2016
  •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examine soil pollution in the nation and to explore the contaminated soil management of the public housing agency in public land for residential development. In so doing, the primary and secondary data were utilized, the former made use of the public data annually released by the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latter relied on a self-administerd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in the staff of the public housing agency, particularly those in charge of soil contamination in large-scale land, housing and urban development projects. The findings reveal that the national concentrations of 21 inorganic and organic soil contaminants (e.g., Cd, Cu, As, Hg, Pb, Cr, Zn, Ni, F, P, PCB, CN, Phenol, BTEX, TPH, TCE, PCE, Benzo(a)pyrene, and pH) in the land were extracted to be well below the risk level designated by the statutory guidance while industrial areas had them at a relatively modest level. In addition, the survey results indicate that the public housing agency didn't establish specific and clear guidelines for soil pollution and its remediation in the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so that contaminated sites have been primarily remediated by outsourcing companies. As the unexpected occurrence of contaminated sites causes the incurring expenses added to total project budget, the provision of both professional training and on-site manuals with the sufficient information on techniques and methods of soil contamination is critical to promptly and systematically deal with soil pollution.

The Nitrate-Nitrogen Contamination Monitoring of Groundwater from Low Concentration Liquid Manure Application in Forestry Watershed (산림유역에서 SCB액비 시용에 따른 지하수 질산성질소 모니터링)

  • Hong, Eun-Mi;Choi, Jin-Yong;Yoo, Seung-Hwan;Nam, Won-Ho;Choi, I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71-471
    • /
    • 2011
  • 2012년 가축분뇨 해양투기가 전면 금지됨에 따라 가축분뇨의 자원화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가축분뇨 발생량의 일부는 퇴비화로 농경지로 환원되고 있으며, 지역에 따라 일부 지역에서는 농경지면적 대비 가축분뇨 필요량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산림지 및 조림지역으로의 가축분뇨 환원이 새로운 대안중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SCB (Slurry Composting and Biofiltration) 액비는 성분이 비교적 균질하고 저농도이며 냄새가 없어 산림유역에 시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액비 시비량에 따라 수분 및 영양성분 수지 불균형 등을 초래하여 토양에 축적될 우려가 있고, 지하수로 침출될 가능성이 있어 이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림유역 중 백합나무 조림지인 바이오순환림과 포플러 조림지인 유휴지에 SCB액비를 시용하였을 때 지하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매주 지하수 수질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특히, 청색증 등을 유발시켜 지하수 오염의 지표인 질산성질소를 중심으로 지하수 수질 분석을 하였으며 질산성질소의 오염원을 판단하기 위하여 질소 동위원소비를 분석하였다. 시험림의 물리적 특성이 다른 두 산림유역에서의 SCB액비 시용에 따른 지하수 모니터링 결과는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진다면 산림지에서 SCB액비 시용에 따른 수질영향 평가 및 모델링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nalysis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according to Groundwater Development and Pumping (지하수 개발 및 양수에 의한 지하수위 변동 분석)

  • Kim, Min-Chul;Yang, Sung-Kee;Jang, Woo-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48-248
    • /
    • 2015
  • 제주도의 연평균 강수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강우일수는 감소하는 추세로 기후변화에 의한 가뭄재해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제주도는 전체 수자원의 대부분을 지하수로 사용되어 면적 대비 많은 지하수관정이 개발 이용되고 있으며, 용수이용에 따른 고갈 및 오염이 발생되지 않도록 분석 관리가 필요한 지역이다. 제주지역의 지하수위는 계절적 변동특성이 확연히 나타나지만 평시에는 큰 변동이 없는 지하수위 수준을 보이며, 실제 지하수 이용률은 허가량의 30%이하로 양수에 의한 지하수위변동은 크게 체감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극심한 가뭄재해 발생 시 기존 사용량을 초과 양수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지하수위는 급격하게 하강되고, 제주 수자원관리에 문제가 발생될 것으로 지속적인 지하수 개발이 지하수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정량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 유동 및 수위변동 분석이 가능한 수치해석 모형을 이용하여 제주도 성산유역을 대상으로 1993년부터 2013년까지 10년 주기 양수에 따른 지하수위 하강 특성을 분석하였다. 1993년 이전 개발된 지하수관정은 55개소, 2003년까지 개발된 지하수관정은 108개소로 지하수 개발은 약 1.9배 증가되었으나 양수능력을 적용하여 지하수위 변동을 분석한 결과 2.5배~3.1배 하강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2003년부터 2013년까지 지하수 개발은 유역 상부에 집중되었으며 상류부 지하수 양수에 따라 해안지역의 지하수위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An Analysis on the Infrastructure for Urban Water Cycle according to Location Characteristic (수계별 입지특성에 따른 도시 물순환 인프라 분석)

  • Lee, Sang Jin;Kim, Byun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58-58
    • /
    • 2021
  • 물은 비, 눈의 형태로 지표면에 공급되며, 빗물이 땅속으로 침투, 저류되고 지표 및 지하흐름을 통해 강이나 바다로 유입되고 다시 증발산을 통해 순환 시스템을 이룬다. 또한, 물은 생명체의 생존에 필수적이며, 건강한 문순환 체계의 균형을 이루는 것이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하는 것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최근 범지구적으로 기후변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우리나라는 지난 50년간 도시화를 통해 수계와 임야를 제외한 전 국토에서 불투수면적이 22.4%를 차지한다(ME, 2016). 이와 같은 경향은 도시지역의 물순환 및 인프라에서 침수, 가뭄, 비점오염, 침투량 감소 등과 같은 수재해 문제의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물관리 일원화와 관련하여 다양한 정책들이 마련되고 있으며, 또한 도시개발 이전의 상태로 회복하기 위한 저영향개발 기술 및 도시지역의 현재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각 분야에 따른 지표 선정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기존 연구사례에서는 대상 도시 내 물순환 체계 회복을 중점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물순환 체계는 수계별로 상·중·하류에 따라 인구밀도, 급경사에 따른 돌발홍수, 내수침수, 우수배제 등과 같은 문제가 도시별로 상이하게 발생하며, 추후 이와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나라 수계에서 대표적인 한강, 낙동강, 금강, 영산강을 대상으로 각 도시에서는 입지특성에 따른 대응방법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4개의 수계로 구분하여 상·중·하류별로 위치한 도시지역의 물순환 및 인프라에 대해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