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염물 이동

Search Result 331, Processing Time 0.054 seconds

Verification of the Contaminant Transport Numerical Model in Subsurface Soil (토양내 오염물이동 수치모델 검증)

  • Suh, Kyung-Suk;Kim, Eun-Han;Han, Moon-Hee;Lee, Chang-Woo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v.27 no.1
    • /
    • pp.67-75
    • /
    • 2002
  • The groundwater flow and contaminant transport numerical models have been established for understanding the movement of pollutants in surface soil environment. The numerical solutions were compared with the analytic solutions for the verification and the application of the models. The numerical solutions from the groundwater and transport models agreed welt with analytic solutions. Especially, the results of groundwater flow model were validated in one- and two-dimensional heterogeneous media. Therefore, it will represent well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terogeneous media in the field applications. Also, the phenomena of the pollutant dispersion represented quite well by the advection and the hydrodynamic dispersion in the results of the transport model. The important input factor is the choice of complicated boundary conditions in operating the numerical models. The numerical results are influenced by the choice of the proper boundary conditions.

Reliability Analysis to Contaminant Migration in Saturated Sandy Soils: Implementation and Verification (포화(飽和)된 사질토(砂質土) 내로의 오염물(汚染物) 이동에 관한 신뢰성(信賴性): 수행(遂行) 및 검증(檢證))

  • Jang, Yeon S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12 no.2
    • /
    • pp.217-227
    • /
    • 1992
  • The first and second-order reliability method(FORM and SORM) is presented using one dimensional finite difference and two dimensional finite element transport models. FORM and SORM can be used without any restrictive assumptions about the properties of the media, and the sensitivity information obtained as part of these analyses is used to identify the parameters which have major influence on the estimate of probability. The reliability analysis of transport in a one-dimensional domain is used to test the robustness of the reliability code an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reliability method. A continuous source 2-D example with a concentration threshold limit state function is us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the parameters in the location of interest on the reliability solution.

  • PDF

Analysis on the Oceanic Circulation and Pollutant Transport near a Wolsung Nuclear Power Plant (월성원전주변의 해수유동 및 오염물 이동해석)

  • Park, Geon-Hyeong;Kim, Ki-Chul;Lee, Jung-Lyul;Suh, Kyung-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50-250
    • /
    • 2011
  • 지정학적으로 3면이 바다로 접하고 있는 우리나라 해안가 주변의 원자력발전소는 관류형 냉각 방식(Once-through cooling System)을 채택하고 있기에, 이 계통을 통과한 냉각수는 주변해역으로 흘러들어가 주변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동해 주변 인접국들의 활발한 원자력 이용과 방사능 물질의 수송 등으로 인해 방사능 사고 위험이 증대됨에 따라 동해 원전 주변의 해양방사성물질 거동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따라 동해의 해양환경을 조사 분석하여 해역에서의 오염 물질의 거동 파악이 중요하고, 산업시설 주변 연안의 오염물 이동 및 해석을 위해 오염물의 시 공간적으로 농도를 추정하는 것이 중요한 사항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수직 수평적으로 2차원 및 3차원화가 용이한 EFDC 모델을 사용하였다. 국립해양조사원에서 발간하는 DC103의 수치해도를 이용하여 모델영역은 동서방향으로 171km, 남북방향으로 235km로 설정하고, 격자간격은 $1km{\times}1km$의 정방향 격자를 사용하여 동해 월성 주변의 조위 시계열 검증 및 조화분석을 통한 검증을 실시한 결과 관측한 결과와 양호한 재현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제공되고 있는 년별 수온, 염분 자료 등의 해양환경과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오염 물질의 이동 경로를 파악함으로써 사고시 피해를 줄이고자 한다.

  • PDF

남해 특별관리해역의 환경오염 관리모델 연구 - 광양만 중심 연구에서의 현황과 전망

  • 장만;신경순;최진우;최동림;이택견;현상민;오재룡;심원준;권개경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2.11a
    • /
    • pp.9-14
    • /
    • 2002
  • 우리나라의 남해안과 서해안과 같이 해안선의 굴곡이 많고 강의 하류 부분에 위치한 연안 해양은 육지로부터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강 하류에 위치한 항만은 이 지역을 중심으로 발달한 도시와 각종 산업시설과 대규모 부두 시설에 의해 직접 오염물질이 유입되고, 반 폐쇄적인 지리적인 조건으로 오염 물질의 외부 확산이 적게 일어남으로써 각종 유해 오염물질의 최종 종착지이자 오염물질의 보유고 역할을 하고 있다. 본 과제의 주요 목표는 오염지역의 오염물 이동 및 생태계 구조 변화에 관한 종합적 분석을 통해 오염우심해역 관리를 위한 오염과 생태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지침서 (오염물 분포, 이동, 순환 등) 제시하고, 오염물질의 순환과정에서 수생-저서생태계의 연계성 규명하며, 더 나아가서 국가실천계획 (NPA) 이행을 위한 기반 확립이다. 본 연구과제의 결과는 항상 오염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은 연안역관리를 위한 지표자료를 제공하며, 앞으로 국제적으로 규제될 각종 유기오염물질관리를 위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비평형 흡착을 고려한 유선 시뮬레이션

  • 정대인;최종근;박광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162-167
    • /
    • 2003
  • 최근 수년간 유선 시뮬레이션은 연산 속도의 효율성과 수치 분산으로 인한 오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오염물의 거동을 모사 하는데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유선 시뮬레이션의 기법을 이용하여 1차의 비평형 흡착을 고려한 오염물 거동 수치 모사를 수행하였다. 1차의 비평형 흡착의 경우 흡착 계수에 따라 오염물의 이동 속도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흡착 계수의 값이 커질수록 오염의 전파 지연 효과가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1차의 비평형 흡착의 경우에 평형 흡착과는 달리 오염이 진행되면서 오염물의 농도를 감소시키는 영향을 나타내었으며 이로 인하여 오염물이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는 제로라인을 형성하게 하였다. 이 제로라인은 흡착 계수의 값이 클수록 탈착 계수의 값이 작을수록 오염원에 가깝게 형성되었다.

  • PDF

A Study on a Vertical Transport Model of Coastal Sediments Using Particle Size Distribution Data from a Settling Column (Settling Column의 입자분포 측정치를 이용한 연안 퇴적물 입자의 연직이동 모델 연구)

  • Lee Du G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2 no.1
    • /
    • pp.26-33
    • /
    • 1999
  • Coastal sediments in polluted areas adsorb many hydrophobic pollutants such as PCBs. During environmental remediation projects like dredging, they can be resuspended and transported to less polluted areas. To assess the environmental impact, the author previously developed a mathematical model that can simulate the change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PSD) due to sedimentation, vortical dispersion and coagulation. In this research, the simulation results using this model were presented in conjunction with observed PSDs from a 2-m settling column simulating coastal environments. The simulations showed that the model predictions were in fairly good agreement with the observed data (changes of PSDs in terms of depths and times), and that the resuspended sediments coagulated during the vertical transport. So, this study showed that the developed model has a good ability to describe the very complicated phenomena of real aggregation and vortical transport dynamics of coastal sediments with various particle sizes.

  • PDF

A Numerical Study on the Transport of Soluble Contaminants in Porous Grounds (다공성 지하에서 수용성 오염물의 이동에 관한 수치적 연구)

  • 윤도영;김민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8.06a
    • /
    • pp.33-37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지하에서 침출수에 지하 환경의 오염 및 대처 방안의 효과를 수치적으로 예측하였다. 연구대상으고 매립지 지하에서의 침출수의 흐름은 Darcy 법칙을 사용하여 해석하였고, 오염물질의 이동은 이산-분산 모델에 수착의 효과를 고려하여 해석하였다. 침출수의 흐름 및 오염물질의 이동 방정식을 2차원 계를 대상으로 하여 Galerkin유한 요소법을 사용하였다. 수치해석 결과 침출수의 흐름은 매립지 제방 근처에서 강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직 차수막은 오염물질의 이동을 막는데 별 도움을 주지 못하나, 수착은 오염물질의 이동을 지연시키는데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PDF

혐기성퇴적물에서 비소거동에 미치는 미생물의 영향

  • 이종운;이상우;김경웅;윤정한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82-84
    • /
    • 2003
  • 산업화가 가속화되며 독성 중금속에 의한 토양, 지하수 및 하상퇴적물의 오염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지표 산화환경에서의 이들 중금속의 이동 및 거동에 관한 연구는 그간 수차례 수행된 바 있고 이에 관하여 적절한 오염처리기법 개발에 관한 연구도 다수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중금속이 심부 환원환경으로 이동한 경우에 대하여는 이들 오염물질의 거동 및 그에 따른 적절한 처리에 관한 연구가 거의 수행된 바 없는 실정이다. (중략)

  • PDF

Marine Pollution in Korean Seas: An Emerging Environmental Issue (우리 나라 주변해역의 오염현황과 오오원)

  • 이동수
    • 한국해양학회지
    • /
    • v.28 no.2
    • /
    • pp.132-136
    • /
    • 1993
  • Attempt was made to identify potential pollutants in Korean Sean and to assess their environmental qualities. Existing pollution data for these Seas so scarce that environmental quality assessment was not possible. However, numerous pollutants were identified. Among them, heat and radioactivity from electric power plants, organic wastes from ocean dumping and land based sources, and accidentally spilled oils are suspected to be of most concern.

  • PDF

Background Concentrations of Atmospheric Pollutants measured at Kosan during ACE-Asia Intensive Observation Period (IOP) (ACE-Asia 집중관측기간에 제주고산에서 측정한 대기오염물질의 배경농도 분포특성)

  • ;;;;Jianzhen Yu;Keith Bower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1.11a
    • /
    • pp.173-17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Asian Pacific Regional Aerosol Characterization Experiment(ACE-Asia) 집중관측 기간에 우리 나라의 배경대기 지역의 하나인 제주도 고산에서 측정한 가스상 오염물질과 입자상 오염물질의 농도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대기질 분석을 시행하였다. 제주 고산은 지리적인 요인과 정책적 요인에 의해서 인위적인 오염물의 배출원이 거의 없는 청정 지역으로 배경 대기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한반도와 중국 대륙, 일본으로부터의 오염물 장거리 이동을 관찰할 수 있는 적합한 장소이다(김용표 등, 1995).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