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오염계수

Search Result 84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Analysis of Behavior Characteristics of Instantaneous Input of Pollutant in River (하천에 순간 유입된 오염물질의 거동 특성 분석)

  • Yoon, Sei-Eui;Ko, Jae-Hyung;Kim, Soo-Youl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6 no.4
    • /
    • pp.575-586
    • /
    • 2003
  • In case of continuous input of a pollutant, dispersion characteristics do not change much with changing dispersion coefficient, but that of an instantaneous input is very sensitive to the changes of dispersion coefficient. The characteristics of behavior of instantaneous input of a pollutant at the downstream of Han river were analyzed in this paper Field measurement of hydraulic and water quality factors at the downstream of Han river were conducted at low flow condition. The hydraulic factors were used to estimate the longitudinal dispersion coefficient, and the reasonable empirical equations for longitudinal dispersion coefficient at the downstream of Han river were suggested. The measured concentrations of BOD were closely matched with the calculated ones from RMA-4 model. In case of instantaneous input, range of dispersion, transport pathway and the traveltimes of the first and maximum concentration with variation of the longitudinal dispersion coefficients and water levels of downstream boundary were evaluated in this paper.

Estima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loads using inverse modeling and load duration curve (역산모델링과 부하지속곡선을 이용한 비점오염 배출량 산정)

  • Kim, Kyeung;Kang, Moon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38-538
    • /
    • 2017
  • 우리나라의 현행 수질오염총량제도에서 비점오염원에 대한 배출량은 배출원별로 유량조건에 따라 배출계수를 적용하여 산정하고 있으나, 강우 및 유역특성에 따라 크게 좌우되는 비점오염 배출특성을 반영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다. 한편, 역산모델링은 결과를 바탕으로 원인 값을 추정하는 방식으로 유량 및 수질측정결과, 점오염원 배출량 등 실측결과를 바탕으로 비점오염 배출량을 추정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역산 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경안천 유역에서 배출되는 총인의 비점오염 배출량을 추정하고, 부하지속곡선을 통해 비점배출기준을 산정하고자 한다. 경안천 유역의 수질 및 유량측정자료, 하수처리장 현황, 오염원 자료 등을 수집하여, 점오염원 배출량을 추정하고 역산 모델링을 수행하였으며, 비점배출총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행 수질오염 총량제도의 배출계수에 대한 재검토와 향후 유량조건에 따른 차별적인 비점오염원 관리 필요성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NOx Emission Factors in the Large Combustion Facilities (대형 연소시설의 질소산화물 배출계수 산정에 관한 연구)

  • 석광설;홍지형;최양일;박일수;차준석;강경희;이향림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23-25
    • /
    • 2000
  •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는 국가기관, 연구기관, 학계, 배출사업장, 방지시설업체, 환경영향평가사업 등 수많은 분야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하고 있는 자료로서 배출원에 대한 배출특성을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기본부과금의 산정, 대기오염방지설비의 설계, 오염저감 계획의 수립 등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중에 있다. 그러나 국내 배출원에 대한 배출계수는 다양한 배출원에 대한 조사가 어렵고 많은 조사비용과 인력이 필요한 사업이기 때문에 국내여건상 관련연구가 전무한 상태로 현재는 미국(EPA AP-42) 등 선진국의 계수를 확인없이 그대로 사용중에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NOx emission factor on the medium and small size industrial boilers (중.소형 산업 및 난방용 연소시설의 질소산화물 배출계수 개발)

  • Jung, Bong-Jin;Jang, Young-Gi;Choi, Sang-Jin;Koo, Seok-Bon;Kim, Gwan;Dong, Jong-In;Hong, Ji-Hy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0.04a
    • /
    • pp.28-30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국내실정에 맞는 배출량 산정 및 평가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인 대기오염물질 배출계수를 국내실정에 맞도록 개발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여러 대기오염물질중 중·소형 연소 및 난방시설에서 배출되는 질소산화물의 배출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실정에 맞는 질소산화물 배출 계수를 개발하며 향후 국내 대기오염 배출계수 개발을 위한 기본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는데 근본적인 목적이 있다. (중략)

  • PDF

Characteristics of secondary electron emission coefficient of MgO protective layer by annealing effect

  • 정진만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1999.07a
    • /
    • pp.236-236
    • /
    • 1999
  • AC-PDP(Plasma display Panel)는 기체 방전을 이용한 디스플레이로서 기체에 직접 노출되는 MgO 보호막의 이차전자 방출계수(${\gamma}$)는 AC-PDP의 방전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MgO 보호막의 이차전자 방출계수는 AC-PDP에 주입하는 기체의 종류, 결정 방향성과 표면오염상태등에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MgO 보호막을 열처리한 상태와 열처리 하지 않은 상태를 ${\gamma}$-FIB 장치를 이용하여 2차전자방출 계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또한 24시간 MgO 보호막을 대기중에 방치하여 두었을 때 MgO 보호막의 표면오염상태에 대한 2차전자방출계수값을 측정하여 MgO 보호막의 표면오염에 대한 방전 전압특성저하가 어느정도인지를 알아보았다. 실험에 사용한 혼합기체는 Ne+Xe, He+Ne+Xe 혼합기체를 사용하였고, MgO 보호막은 21inch 규격의 실제 PDP Panel의 MgO 보호막을 사용하였다.

  • PDF

Simultaneous Estimation of Diffuse Pollution Loads and Model Parameters for River Water Quality Modeling (하천 수질모형에 의한 비점 오염 부하량과 모형 매개변수의 동시 추정)

  • Jun, Kyung-Soo;Kang, Ju-Wh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37 no.12
    • /
    • pp.1009-1018
    • /
    • 2004
  • A systematic method using an optimal estimation algorithm is presented for simultaneous estimation of diffuse pollution distributed along a stream reach and model parameters for a stream water quality model. It was applied with the QVAL2E model to the South Han River for optimal estimation of kinetic constants and diffuse loads along the river. Initial calibration results for kinetic constants selected from a sensitivity analysis reveal that diffuse source inputs for nitrogen and phosphorus are essential to satisfy the system mass balance. Diffuse loads for total nitrogen and total phosphorus were estimated solving the expanded inverse problem. Comparison of kinetic constants estimated simultaneously with diffuse sources to those estimated without diffuse loads, suggests that diffuse sources must be included in the optimization not only for its own estimation but also for adequate estimation of the model parameters. Application of optimization method to river water quality modeling is discussed in terms of the sensitivity coefficient matrix structure.

The Characteristic and Control of Contaminant Transport through the Subsurface of Nanjido Landfill (난지도 매립장 지반을 통한 오염이동 특성과 제어)

  • 장연수;이광열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 no.1
    • /
    • pp.1-5
    • /
    • 1994
  • The contaminant migration through the subsurface of Nanjido landfill is studied using a 2-D finite element model of contaminant transport. The leachate mounding caused by the installation of partial slurry wall around the pheriperal area of the Landfill is analysed using the finite difference model of groundwater flow. Model parameters were validated using in-situ concentration data and the behavior of the transport next 30 years is predicted. The sensitivities of chloride concentration by the change of model parameters, e.g. leachate mounding in the Landfill and the dispersivity are analys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 that the maximum chloride concentration level near Han River caused by the leachate of Nanjido Landfill would be 1488mg/1 and comes 17 years after the landfill closure. Increase of the leachate concentration is caused by the increase of both the leachate mounding and the dispersivity. However, the rate of concentration increase becomes higher with the rise of leachate mounding level, while it tends to converge a certain concentration with the increase of the dispersivity.

  • PDF

마찰계수에 관하여

  • 신효철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Tribologists and Lubricat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86.11a
    • /
    • pp.29-41
    • /
    • 1986
  • 마찰계수는 서로 접촉하여 운동하는 두 물체간의 특성으로 간주되며 일반적으로 상대속도나 작용하중에 별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화학적으로나 물리적으로 오염되지 않은 깨끗한 금속간의 마찰실험의 경우, 이 실험이 불활성 가스나 진공내에서 행해질 경우 상당히 큰 마찰저항을 경험하게 되나, 공기중에서의 실험에서는 작은 마찰저항이 기록되어 산화막이나 다른 오염물에 의해 형성된 막이 마찰저항을 감소시킨다고 보고 있다.

  • PDF

Calculation of air pollutants emission factor of LNG boiler (LNG보일러 시설의 대기오염 물질 배출계수 산출)

  • Kim, Ho-Jung;Jang, Young-Gi;Jung, Bong-Jin;Choi, Sang-Jin;Kim, Gwan;Song, Gi-Bong;Heo, Yoon;Kim, Sang-Ho;Kim, Gyung-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04a
    • /
    • pp.47-48
    • /
    • 2002
  • LNG보일러는 과거 기름을 주요 연료로 하던 보일러와는 달리 황산화물이나 매연이 거의 배출되지 않는다. LNG연소는 상대적으로 다른 연료에 비하여 오염물질 배출이 적지만 질소산화물을 비롯한 일부오염물질은 배출될 수밖에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LNG보일러 시설에서 발생되는 주요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국내 실정에 맞는 배출계수를 개발하고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특성을 파악하여 정확한 대기오염 배출량 산출에 관한 기초를 마련하고자 함에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