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오미(五味)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2초

물이끼섬을 포함하는 제주도 오미 습원의 군락생태 (A Synecological Description of Ohmi Moor with Sphagnum Islet in Jeju, Korea)

  • 김종원;이경연;김윤하;엄병철
    • 생태와환경
    • /
    • 제51권2호
    • /
    • pp.174-183
    • /
    • 2018
  • 제주도 숨은물벵뒤 습지보호지역 내에는 야생 동물과 탈출 가축을 부양하는 작고 얕은 못, 이른바 오미가 있다. 본 연구는 숨은물벵뒤 오미 식물군락의 다양성과 그 분포를 밝힌다. 오미의 크기는 매우 작지만, 미소서식처 환경조건에 대응하는 여섯 가지 식물사회를 정교하게 기재하였다: 이탄소도-보그식생형의 물이끼류군락, 원수대 부엽식생형의 좀어리연꽃군락, 연안대 정수식생형의 송이고랭이군락과 좀올챙이골군락, 연안대 순간식생형의 바늘골-진땅고추풀군락과 검은곡정초-개수염군락. 이들 식물군락은 수심에 따라 대상분포하였다. 고층습원의 전형요소 물이끼섬이 오미 중앙에 발달하고 있음이 국내에서 처음으로 밝혀졌다. 오미습원은 '빗물의존 약한 빈영양 환경'을 갖는 하나의 독특한 중간습원으로 숨은물벵뒤 습지보호지역 속에서 높은 자연성을 갖는 핵심서식처로 평가되었다.

오미(五味)와 삼음삼양(三陰三陽)의 관계에 대한 고찰(考察) (A Study on The Relation of O-mi(五味) and Sam-Eum-Sam-Yang(三陰三陽))

  • 백유상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81-90
    • /
    • 2007
  • From the study on the relation of O-mi(五味) and Sam-Eum-Sam-Yang(三陰三陽),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The system of Sam-Eum-Sam-Yang(三陰三陽) in human body expresses a kind of inner images[象] of continuous life, that implies many complex view-points, in both inside and out-side according to time flow. Besides, O-mi(五味) is one of very important native properties of all existences, that is accepted from the state they have been located in, and it includes the principles of real nature. Based on understanding of Sam-Eum-Sam-Yang(三陰三陽), when we investigate properties of O-mi(五味) for practical use, the concepts of contraction and extension[收散], softening and hardening[軟堅], and slowing and fastening[緩急], referred in Naegyeong(內經), directly express the images of Sam-Eum-Sam-Yang(三陰三陽).

  • PDF

천연조미료(깨류)의 동양의학적 융합접근방법 고찰 (A Study of Oriental Medicinal Convergence Approach for Natural Seasoning (Several Sesame Seeds))

  • 민영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64-169
    • /
    • 2019
  • 본 연구는 천연조미료(깨류)의 '맛[味]'을 동양의학사상의 음양오행(陰陽五行)의 '상생상극(相生相克)' 원리에 의한 우리 몸의 오장육부와 그에 상응하는 관계가 건강관리와 질병을 예방하는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천연조미료인 깨와 동양의학의 융합연구를 위하여 동양의학의 고전인 황제내경(黃帝內經), 동의보감(東醫寶鑑), 및 전문단행본, 논문 등의 기록에서 분석하였으며, 깨류의 섭취는 친화성이 있는 장부와 오미(五味)[산(酸) 고(苦) 감(甘) 신(辛) 함(鹹)]를 섭취하면 장수시대에 '건강수명'을 연장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본다.

한방 및 식품 융합 '식치(食治)' 콘텐츠 연구(제1보) -오미자와 콩을 이용한 오미갈수(五味渴水)의 건강증진 효과 및 품질개선 실증 연구- (Establishment of Korean Medicine and Food convergence Contents 'Sikchi' for Health Promotion(1) -A Study on Health Promotion and Quality Improvement of Omigalsu using Omija and Soybean-)

  • 김유진;양혜정;김민정;장대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63-171
    • /
    • 2021
  • 한국의 조리서와 한의서, 역사서 등 고문헌에는 건강과 음식, 치료에 관한 다양한 기록들이 있으며, 이러한 기록을 통해 '식치(食治)'의 원리를 발견할 수 있다. 식치(食治)는 '의료와 식품이 같은 원리로 작용한다' 라는 식약동원(食藥同源)의 뜻을 포함하는 의미로 전통지식으로만 그치지 않고 현대의 식문화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식치(食治)의 원리를 바탕으로 고문헌의 기록된 식품에 대한 과학적 검증을 통해 현대의 건강식품 소재로서 활용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대인의 대표적인 대사질환 중 하나인 혈당 조절과 관련이 있는 오미자, 콩, 꿀을 주원료로 하는 전통음료인 '오미갈수(五味渴水)'를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고문헌의 기록을 토대로 전통 오미갈수를 재현하였을 때 꿀에 의해 발생하는 음료의 엉김현상이나 섭취 후 혈당 상승 작용을 보완하기 위해 꿀을 대체할 수 있는 식품 소재를 발굴하였다. 이 소재를 활용하여 새롭게 제조한 오미갈수를 전통 오미갈수와 비교 시험을 통해 새롭게 제조한 오미갈수의 건강증진 및 품질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전통지식의 하나인 식치의 원리를 활용한 과학적 연구를 통해 현대사회의 식품바이오, 헬스케어 등 의료 및 식품 분야의 다양한 콘텐츠로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ll}$영추(靈樞).오미론(五味論)${\gg}$ 에 대한 연구(硏究)

  • 신영일;이문철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304-327
    • /
    • 2000
  • This report is closely related to ${\ulcorner}$Simple question Five Qi Anouncement${\lrcorner}$ that you shouldn't take a Hot Taste excessively in case of Qi pathology because a Hot Taste runs to Qi, you shouldn't take a Salty Taste excessively in case of Blood pathology because a Salty Taste runs to Blood, you shouldn't take a Bitter Taste excessively in case of Bone pathology because a Bitter Taste runs to Bone, you shouldn't take a Sweet Taste excessively in case of muscles pathology because a Sweet Taste runs to Muscles, you shouldn't take a Sour Taste excessively in case of Sinews pathology because a Sour Taste runs to Sinews. Also the report mainly describes to relations between Five Tastes and BloodVessel-Organs of human body, to pathological change of a Five Tastes' one-sided diet or taking too much, and to various disease caused by that. And the section is called 'An Essay on Five Tastes', that Five Tastes of food and medicines could make human body either healthy or damaged so you should be careful. This report is divided into two chapter, the first chapter presents to specific diseases according to runnings of Five Tastes, the second chapter shows the pathological process how the human body would change and what kind of disease attacts human body as result of taking Five Tastes. So this section is important remarkably as a viewpoint of food and medicines.

  • PDF

"내경(內經)"과 "의학입문(醫學入門)", "동의보감(東醫寶鑑)" 에 나타난 식이(食餌)의 오미(五味) 비교 (The Comparison between the Tastes of Food in "Naekyeong(內經)" and them in "Euhakibmun(醫學入門)", "Dongeuibogam(東醫寶鑑)")

  • 조학준
    •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27-44
    • /
    • 2010
  • In order to setup the diet guideline of five grains, five meats, five fruits, and five vegetables for the diseases of five organs, I reviewed the their tastes by comparing "Naekyeong" with "Euhakibmun", "Dongeuibogam". 'Ma(麻)' in "Naekyeong" means not a hemp, a ramie or a jute, but a sesame(胡麻;참깨). 'Maik(麥)' in it means both a barley(大麥;보리) and a wheat(小麥;밀). 'Guak(藿)' in it means bean leaves(콩잎), leaves of a red-bean(팥잎) or brown seaweed(海藻;미역). 'Gyu(葵)' in "Euhakibmun Jangbujobun(臟腑條分)" is a miswritten word for 'Welsh onion' caused by similarity of shape of word. Food of a salty taste according to five elemental arrangement in "Naekyeong" is really salty according to "Euhakibmun" and "Dongeuibogam". But a barley(大麥) and a wheat(小麥) of sour taste are bitter, a chicken of sour taste or hot taste is sweet, nonglutinous millet of sour taste is sweet, an apricot of bitter taste is hot, a sesame seed of sweet taste is sour, a nonglutinous rice of hot taste is sweet, and a horsemeat of hot taste is bitter according to them. There are two ways to recommend the food for diseases of five organs. One way is to promote or control the Qi(氣) of five organs according to "Somun(素問)" and "Euhakibmun Jangbujobun", the other way is to build up the Yin(陰血) of five organs according to "Yungchu(靈樞) five tastes(五味)". The two different ways are not contradictory to each other, but complement on the view point of their substances(體) or actions(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