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오르니틴회로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9초

한국재래종 호박 완숙과의 섬유질, 단백질 및 아미노산 함량 비교분석 (Content Analyses of Fiber, Protein and Amino Acids of Fully Ripe Fruits of Korea Native Squash, Cucurbita moschata Poir)

  • 윤선주;전하준;강선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4호
    • /
    • pp.403-408
    • /
    • 2004
  • 한국산 재래종 호박 완숙과의 총세포벽 물질, 펙틴, 총단백질, 단백질을 구성하고 있는 아미노산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비교 조사하였다. 과육의 단백질 함량은 ‘제주 2’가 $2,830\;{\mu}g/g$으로 가장 높았고 '상주'는 $1,319\;{\mu}g/g$으로 가장 낮았다. 세포벽물질은 ‘강화’가 2,961 mg%로 가장 높았고, '남해'는 1,582 mg%로 가장 낮았다. 또한 세포벽 물질 내 펙틴의 함량은 ‘강화'(2,198 mg%), '제주 2'(2,178 mg%) 및 ’제주 1'(1,461 mg%)의 순서로 높았다. 또한 세포벽 물질 내 펙틴은 수용성과 불용성 펙틴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미노산 함량조성은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leucine 및 valine이 주를 이루어 전체 아미노산 함량의 50% 이상을 차지하였고, 특이하게도 '제주 2'는 aspartic acid와 threonine이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완숙과 호박의 과육 내 유리 아미노산은 8종의 필수아미노산(histid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phenylalanine, methionine, threonine 및 valine)을 비롯해 총 34종류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되었고 aspartic acid와 asparagine의 함량이 전체 유리아미노산 중 50%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또한 이뇨작용과 관련된 ornithine, citrulline, arginine이 모든 품종에서 검출되었으며 ornithine과 citrulline은 품종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arginine은 ‘남해’가 4.3 mg%이었으며, ‘태안’이 29.34 mg%로 품종간에 7배의 큰 차이를 보였다.

장기저장 및 고온고압 처리에 따른 한국재래종 호박 '양산'의 품질변화 (Quality Changes of a Fully Ripe Korean Native Pumpkin, Yangsan, during Long-term Storage, and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Treatment)

  • 윤선주;정병룡;강선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7권4호
    • /
    • pp.409-413
    • /
    • 2004
  • 상온에서 60일 동안 저장한 ‘양산’ 품종의 국내산 완숙호박 과육의 pH, 당도, 중량, 수분함량, 총단백질 함량 및 단백질을 구성하고 있는 아미노산 함량의 변화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당도는 저장기간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으며, pH는 약간 산성화 되었다. 중량과 과육 내 수분함량은 소폭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단백질 함량과 단백질 내 구성아미노산 함량에서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아미노산 조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glutamic acid(15.5%), aspartic acid(10.1%), lysine(8.7%), valine(7.5%), leucine(7.1%) 및 alanine(6.6%)의 순서로 존재하였다. 또한 $121^{\circ}C$ 고온 및 $1\;kg/cm^2$의 고압 조건에서 1시간 동안 일정한 간격으로 처리한 완숙호박의 유리아미노산 함량 및 색도 변화를 조사하였다. 유리아미노산 분석결과 모든 처리구에서 필수아미노산 8종(histidine, isoleucine, leucine, lysine, phenylalanine, methionine, threonine, 및 valine)과 이뇨작용과 관련된 아미노산류 3종(ornithine, citrulline, arginine)을 비롯하여 총 29종이 검출되었으며, 이 중에서 aspartic acid와 asparagine이 각각 20.3%와 15.4%를 차지하여 가장 많은 함량을 차지하였다. 이와 같은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고온고압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arginine과 glutamic acid는 대폭 감소하였고, ammonium chloride는 오히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처리시간별 과육의 색도는 처리시간에 길어질수록 황색을 나타내는 b값이 줄어, 처리 1시간째에 17.45에서 9.14로 낮아졌다. 이것은 ${\beta}-carotene$을 비롯한 황색계통의 색소들이 상당히 파괴되었기 때문에 생긴 현상으로 보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