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오류역전파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47초

가변 감쇠 파라미터를 이용한 Levenberg-Marquardt 알고리즘의 학습 속도 향상 (Accelerating Levenberg-Marquardt Algorithm using Variable Damping Parameter)

  • 곽영태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57-63
    • /
    • 2010
  • Levenberg-Marquardt 알고리즘에서 감쇠 파라미터는 오류역전파 학습과 Gauss-Newton 학습의 스위치 역할을 하며 학습 속도에 영향을 준다. 이런 감쇠 파라미터를 고정시키는 것은 오차 함수의 진동을 유발하고 학습 속도를 감소시킨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오차 함수의 변화 과정을 참조하여 감쇠 파라미터를 가변적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오차의 변화량이 크면 감쇠 파라미터를 크게, 오차의 변화량이 작으면 감쇠 파라미터를 작게 조정한다. 이것은 모멘텀과 유사한 역할을 하여 학습 속도를 향상시킨다. 제안된 방법의 검증을 위한 실험으로는 iris 분류 문제와 wine 분류 문제를 사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iris 분류 문제에서는 67% 학습에서, wine 분류 문제에서는 78% 학습에서 학습 속도가 향상되었으며 기존 방법과 비교하여 오차의 진동도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EBP와 OVSSA의 특성을 이용하는 분류 알고리즘 (Classification algorithm using characteristics of EBP and OVSSA)

  • 이종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3-18
    • /
    • 2018
  • 본 논문은 다층을 갖는 네트워크를 가장 효율적으로 학습하는 것은 결국 최적의 가중치 벡터의 집합을 찾아가는 과정이라는 간단한 접근 방법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일반적인 학습 문제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제안 모델에서는 EBP와 OVSSA의 특징들을 결합한 방법을 사용한다. 즉 EBP가 지역 최소치에 빠질 수 있는 성질을 보강하기 위해 OVSSA의 확률이론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제안 방법은 각각 알고리즘의 장점만을 취하여 하나의 모델을 구성한다. 제안 알고리즘에서는 EBP에서 오류를 줄이기 위한 방법들을 에너지함수로 사용하고, 이 에너지를 OVSSA로 최소화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두 가지의 상이한 성질을 가지는 알고리즘이 합쳐질 수 있음을 간단한 실험 결과를 통해 확인한다.

한글 인쇄체 문자의 형식 분류 및 비선형적 자소 분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orean Printed Character Type Classification And Nonlinear Grapheme Segmentation)

  • 박용민;김도현;차의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6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784-787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한글 인쇄체 문자의 자소를 비선형적으로 분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자소 분리 대상 문자는 자소의 조합 방식에 따라 6개의 형식으로 분류한다. 인쇄체 한글의 6형식 분류를 위해 그레이 레벨의 문자 이미지로부터 망 특성과 수직 수평 투영 기법을 이용해 특징을 추출하고, 오류 역전파 기법을 이용하여 분류를 시도한다. 분류된 문자 형식을 기반으로 분리 후보 영역을 지정하고, 이 영역을 기반으로 다단식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최적의 비선형적 자소 분리 경로를 찾아낸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한글의 6형식 분류에 적합하였으며, 자소가 서로 붙어 선형적으로 분리가 어려운 문자의 자소 분리에 좋은 성능을 나타내었다.

  • PDF

컬러 정보와 오류역전파 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한 신차량 번호판 인식 (Recognition of a New Car Plate using Color Information and Error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Algorithms)

  • 이종희;김진환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5호
    • /
    • pp.471-47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RGB 컬러 정보와 오류 역전파 신경망 알고리즘을 이용한 신 차량 번호판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차량 영상에서 평균 Blue값을 이용하여 차량 영상을 보정하고 픽셀값의 차를 이용하여 Red 후보 영역과 Green 후보 영역으로 구분한 후 오류 역전파 알고리즘에 적용하여 최종 Green 영역을 찾는다. 둘째, 수평 및 수직 히스토그램의 빈도수를 이용하여 번호판 영역을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윤곽선 추적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개별 코드들을 추출하고, 오류 역전파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개별 코드들을 인식한다. 제안된 차량 번호판 추출 및 인식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제 비영업용 신 차량 번호판에 적용한 결과, 제안된 번호판 추출 방법이 기존의 HSI(Hue Saturation Intensity) 정보를 이용한 번호판 추출 방법보다 추출률이 개선되었고 제안된 차량 번호판 인식 방법이 효율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드릴 가공된 구멍의 상태 검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ction of the Drilled Hole State In Drilling)

  • 신형곤;김태영
    • 한국공작기계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8-16
    • /
    • 2003
  • Monitoring of the drill wear :md hole quality change is conducted during the drilling process. Cutting force measured by tool dynamometer is a evident feature estimating abnormal state of drilling. One major difficulty in using tool dynamometer is that the work-piece must be mounted on the dynamometer, and thus the machining process is disturbed and discontinuous. Acoustic transducer do not disturb the normal machining process and provide a relatively easy way to monitor a machining process for industrial application. for this advantage, AE signal is used to estimate the abnormal fate. In this study vision system is used to detect flank wear tendency and hole quality, there are many formal factors in hole quality decision circularity, cylindricity, straightness, and so of but these are difficult to measure in on-line monitoring. The movement of hole center and increasement of hole diameter is presented to determine hole quality. As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AE RMS signal and measurements by vision system are shorn the similar tendency as abnormal state of drilling.

드릴링시 가공이상상태의 온라인 검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n-line Detection of the Abnormal State in Drilling.)

  • 신형곤;박문수;김민호;김태영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38-1042
    • /
    • 2002
  • Monitoring of the drill wear and hole quality change is conducted during the drilling process. Cutting force measured by tool dynamometer is a evident feature estimating abnormal state of drilling. One major difficulty in using tool dynamometer is that the work piece must be mounted on the dynamometer, and thus the machining process is disturbed and discontinuous. Acoustic transducer do not disturb the normal machining process, and provide a relatively easy way to monitor a machining process for industrial application. For this advantage, AE signal is used to estimate the abnormal state. In this study vision system is used to detect flank wear tendency and hole quality, there are many formal factors in hole quality decision circularity, cylindricity, straightness, and so on, but these are difficult to measure in on-line monitoring. The movement of hole center and increasement of hole diameter is presented to determine hole quality As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AE RMS signal and measurements by vision system are shown the similar tendency as abnormal state of drilling. And detection of the abnormal states using BPNs was achieved 96.4% reliability.

  • PDF

고경도강 선삭시 절삭특성 및 공구 이상상태 검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tting Characteristics and Detection of the Abnormal Tool State in Hard Turning)

  • 이상진;신형곤;김민호;김종택;이한교;김태영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2-455
    • /
    • 2005
  • The cutting characteristics of hardened steel by a PCBN tool is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workpiece surface roughness, cutting force and tool flank wear of the vision system.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s (BPNs) were used for detection of tool wear. The neural network consisted of three layers: input, hidden and output. The input vectors comprised of spindle rotational speed, feed rates, vision flank wear, and thrust force signals. The output was the tool wear state which was either usable or failure. Hard turning experiments with various spindle rotational speed and feed rates were carried out. The learning process was performed effectively by utilizing backpropagation. The detection of the abnormal states using BPNs achieved 96.4% reliability even when the spindle rotational speed and feedrate were changed.

  • PDF

모호성을 포함하고 있는 시계열 패턴인식을 위한 새로운 모델 RFAM과 그 응용 (A Novel Model, Recurrent Fuzzy Associative Memory, for Recognizing Time-Series Patterns Contained Ambiguity and Its Application)

  • 김원;이중재;김계영;최형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1B권4호
    • /
    • pp.449-456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모호성을 포함하고 있는 시계열 패턴인식을 위한 새로운 인식모델인 순환퍼지기억장치를 제안한다. 순환퍼지기억장치는 기존의 퍼지기억장치에 순차적인 입력패턴를 처리하고 시간적 관련성을 표현할 수 있는 순환층을 추가함으로써 확장된 모델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순환퍼지기억장치는 입력과 출력사이의 관련정도를 설정하기 위해 헤비안 방식의 학습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그리고 순환퍼지기억장치의 순환층에 필요한 가중치를 학습하기 위해서 오류역전파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하는 모델을 음성신호의 경계를 추출하는 문제에 적용하여 성능을 평가한다.

패턴인식에서 온라인 오류역전파 알고리즘의 학습속도 향상방법 (An Improvement of the Outline Mede Error Backpropagation Algorithm Learning Speed for Pattern Recognition)

  • 이태승;황병원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B)
    • /
    • pp.616-618
    • /
    • 2002
  • MLP(multilayer perceptron)는 다른 패턴인식 방법에 비해 몇 가지 이점이 있어 다양한 문제영역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MLP의 학습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EBP(error backpropagation) 알고리즘은 학습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는 실시간 처리를 요구하는 문제나 대규모 데이터 및 MLP 구조로 인해 학습시간이 상당히 긴 문제에서 제약으로 작용한다. 패턴인식에 사용되는 학습데이터는 풍부한 중복특성을 내포하고 있으므로 패턴마다 MLP의 내부변수를 갱신하는 은라인 계열의 학습방식이 속도의 향상에 상당한 효과가 있다. 일반적인 온라인 EBP 알고리즘에서는 내부 가중치 갱신시 고정된 학습률을 적용한다. 고정 학습률을 적절히 선택함으로써 패턴인식 응용에서 상당한 속도개선을 얻을 수 있지만, 학습률을 고정함으로써 온라인 방식에서 패턴별 갱신의 특성을 완전히 활용하지 못하는 비효율성이 발생한다. 또한, 학습도중 패턴군이 학습된 패턴과 그렇지 못한 패턴으로 나뉘고 이 가운데 학습된 패턴은 학습을 위한 계산에 포함될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온라인 EBP에서는 에폭에 할당된 모든 패턴을 일률적으로 계산에 포함시킨다. 이 문제에 대해 본 논문에서는 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패턴마다 적절한 학습률을 적용하고 필요한 패턴만을 학습에 반영하는 패턴별 가변학습률 및 학습생략(COIL) 방댑을 제안한다. 제안한 COIL의 성능을 입증하기 위해 화자증명과 음성인식을 실험하고 그 결과를 제시한다.

  • PDF

신경회로망과 실험계획법을 이용한 칩형상 예측 (Prediction of Chip Forms using Neural Network and Experimental Design Method)

  • 한성종;최진필;이상조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0권11호
    • /
    • pp.64-70
    • /
    • 2003
  • This paper suggests a systematic methodology to predict chip forms using the experimental design technique and the neural network. Significant factors determined with ANOVA analysis are used as input variables of the neural network back-propagation algorithm. It has been shown that cutting conditions and cutting tool shapes have distinct effects on the chip forms, so chip breaking. Cutting tools are represented using the Z-map method, which differs from existing methods using some chip breaker parameters. After training the neural network with selected input variables, chip forms are predicted and compared with original chip forms obtained from experiments under same input conditions, showing that chip forms are same at all conditions. To verify the suggested model, one tool not used in training the model is chosen and input to the model. Under various cutting conditions, predicted chip forms agree well with those obtained from cutting experiments. The suggested method could reduce the cost and time significantly in designing cutting tools as well as replacing the“trial-and-error”design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