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예측인자

Search Result 2,382,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Hydrologic Variable Prediction Using Nonlinear Ensemble Model (비선형 앙상블 모형을 이용한 수문량 예측)

  • Kwon, Hyun-Han;Kim, Min-Ji;Kim, Jang-Kyung;Na, Bo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59-359
    • /
    • 2011
  • 기존 수자원계획에 있어서 수문량 예측은 매우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실정으로서 최근 기후변화 및 이상기후로 기인하는 기상학적 불확실성 증가에 대해서 효과적으로 대응 하기가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인자를 활용한 수문변량 예측기법을 개발하고자 하며 국내에 수문자료가 충분한 지역에 대해서 모형의 적합성과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부분의 수문변량은 해수면온도, 해수면기압, 바람장 등 Large Scale의 기상학적 특성과 연관성을 가지고 있으며 선행시간을 가지고 수문순환에 영향을 주고 있다. 수문변량과 기상학적 변량사이에는 일반적으로 비선형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이러한 비선형 관계를 효과적으로 예측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비선형 예측모형을 개발 하고자 한다. 최근 비선형 예측모형에서 불확실성을 고려한 모형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다중 모형을 사용한 Ensemble 개념의 예측모형 도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다목적댐 유입량 및 강수량에 대해서 최적 기상변량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한 비선형 Ensemble 예측모형을 개발하였다. 일반적인 선형 회귀분석 모형에 비해 기상현상과 수문현상에 비선형성을 효과적으로 재현할 수 있는 장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와 더불어 예측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제공함으로서 신뢰성 있는 수자원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factors of the railway passenger demand forecasting by the disaggregate model (분배모형에 의한 철도 수요예측에서 영향인자에 대한 연구)

  • Oh, Seog-Moon;Hong, Soon-Heum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0.07b
    • /
    • pp.1445-1447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철도 수요예측 문제의 유형을 목적에 따라 3가지로 분류하였고, 최근 철도자원을 재고관리 차원에서 접근하고자 하는 시각에 따라 분배모형으로써 적응필터를 사용하는 방법의 타당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 철도 승객수요의 주요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철도 승객수요 예측의 요구사항 및 방법론을 대규모 재고관리 시스템의 일반적 요구사항에 따라 정리하였다. 영향인자에 대한 분석으로 요일별 계절변동 지수를 정량적으로 산정하였다. 적응필터를 이용한 철도 승객수요 예측의 예제를 제시하였으며, 예측에의 정확성에 대한 비교를 제시하였다.

  • PDF

Separation of Oxygen/Nitrogen Mixture by Polysulfone Hollow-Fiber Membrane (폴리설폰 중공사막에 의한 산소/질소 혼합물의 분리)

  • 김종수;송근호;이광래
    • Membrane Journal
    • /
    • v.9 no.2
    • /
    • pp.89-96
    • /
    • 1999
  • 국내 K-그룹 연구소에서 제조한 폴리설폰 중공사막의 산소/질소 혼합물에 대한 압력, stage , cut , 공급기체 혼합물의 조성에 따른 분리성능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의 압력범위와 온도 3$0^{\circ}C$에서의 이상분리인자 (O2/N2)는 5.7이었으며, 유입기체 혼합물의 21mole % 산소농도가 약 50 mole%로 농축되었다. 저압측과 고압측의 압력비는 산소농축에 미치는 영향이 적었으며 이상분리인자의 영향은 매우 컸다. 그러나, 이상분리인자가 증가함에 따라 이상분리인자의 영향은 둔화되었다. 따라서, 이상분리인자가 큰 신소재 개발과 더불어 공정변수의 최적화가 필요하다. 수학적 모델링에 의한 예측치와 실험치가 잘 맞았다.

  • PDF

Process Data Classification Using Backpropagation Neural Network and Statistical Processing (역전파 신경망과 통계적 처리를 이용한 공정 데이터 분류)

  • Kim, Sung-Mo;Kim, Byung-Wha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d
    • /
    • pp.2743-2745
    • /
    • 2002
  • 역전파 신경망과 데이터분포 특징을 고려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플라즈마 데이터의 분류에 응용하였다. 데이터 분포는 통계적인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특징지었으며, 바이어스인자를 이용하여 9 종류의 데이터를 발생하였다. 각 데이터에 대하여 은닉층의 뉴런수를 변화시키며, 바이어스와 뉴런수에 따른 모델성능을 평균학습시간 (ATT), 평균예측정확도 (APA), 최적예측정확도 (BPA), 그리고 분류정확도 (CA) 측면에서 세분하여 분석하였다. ATT와 APA에 대해서는 최적화된 학습인자와 데이터 분류인자가 일치하였고, BPA와 CA는 일치하지 않았다. 두 인자간의 상호작용을 동시에 최적화함으로써 완전 분류를 달성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History Matching and Assessment of Production Performance in a Shale Gas Reservoir Considering Influenced Parameter for Productivity (생산 영향인자를 고려한 셰일가스 저류층의 이력검증 및 생산성 평가 연구)

  • Park, Kyung-Sick;Lee, Jeo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4 no.4
    • /
    • pp.62-72
    • /
    • 2020
  • This study presents a methodology of history matching to evaluate the productivity of shale gas reservoir with high reliability and predict future production rate in the Horn-River basin, Canada. Sensitivity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physical properties of shale gas reservoir on productivity. Based on the results, reservoir properties were classified into 4 cases and history matching were performed considering the classified 4 cases as objective function. The blind test was conducted using additional field production data for 3 years after the history matching period. The error of gas production rate in Case 1(all reservoir parameters), Case 2(influenced parameters for productivity), Case 3(controllable parameters), and Case 4(uncontrollable parameters) were 7.67%, 7.13%, 17.54%, and 10.04%, respectively. This means that it seems to be effective to consider all reservoir parameters in early period for 4 years but Case 2 which considered influenced parameters for productivity shows the highest reliability in predicting future production. The estimated ultimate recovery (EUR) of production well predicted using the Case 2 model was estimated to be 17.24 Bcf by December 2030 and the recovery factor compared to original gas in place (OGIP) was 32.2%.

Prediction of Major Parameters of Surface Settlements Due to Tunnelling (터널굴착으로 인한 지반침하의 주요 영향 인자 예측)

  • Kim, Chang-Yong;Park, Chi-Hyun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18 no.3
    • /
    • pp.113-125
    • /
    • 2002
  • Although there are several empirical and semi-empirical formulae available for predicting ground surface settlement, most of them do not simultaneously take into consideration all the relevant factors, resulting in inaccurate predictions. In this study,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is incorporated with 113 of monitored field results to predict surface settlement for a tunnel site with prescribed conditions. To achieve this, a format for a database of monitored field data is first proposed and then used for sorting out a variety of monitored data sets available i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An optimal neural network model is suggested through preliminary parametric studies and introduces a concept of RSE (Yang and Zhang, 1997) in sensitivity analysis for various major factors affecting the surface settlement in tunnelling. It is seen in some examples that the RSE rationally enables to recognize the most significant factors of all the contributing factors. Two verification examples are undertaken with the trained ANN using the database created in this study. It is shown from the examples that the ANN has adequately recogn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nitored data sets retaining a generality fur further prediction.

Analysis Modeling of Variable Goods Value to extract Key Influencers based on Time series Big Data (시계열 Big Data에 기반한 핵심영향인자 추출을 위한 변동재화 가치 분석 Modeling)

  • Kwon-Woong Kim;Young-Gon Kim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3 no.3
    • /
    • pp.185-191
    • /
    • 2023
  • Research to analyze the future prediction of value is being conducted in various. However, it was found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of each field that such future value analysis has too many variables according to each field, so the accuracy of the prediction result is low, and it is difficult to find objective key influencing factors that affect the result. In particular, since objective standards for the importance of various influencing factors have not been established, the key influencing factors have been judged and applied based on the researcher's subjectivity. 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a reasonable process model for extracting key influencing factors that affect the prediction of volatility goods value that can be objectively applied in various fields. In this study, process modeling for extracting key influencing factors was conducted in seven steps, and the method for extracting key influencing factors was explained in detail in each step. In addition, as a result of simulation by applying Ni metal among the major variable goods in the field of raw materials using the proposed modeling, the predicted value by the existing method was 0.872% and the predicted value by applying the modeling of this study was 0.864%. conformance was confirmed.

Analysis of Risk factors & Morphological Ultrasound Image for Gallbladder Polyp in Adults Living in Busan and Gyeongnam Provinces (부산·경남 지역 성인의 담낭용종 위험인자 및 초음파 영상의 형태학적 분석)

  • An, Hyeon;Hwang, Chul-Hwan;Ko, Sung-Jin;Kim, Chang-Soo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39 no.3
    • /
    • pp.353-359
    • /
    • 2016
  • This study were to evaluate risk factors of GB polpy in Busan and Gyeongnam area.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patients by abdominal ultrasonography among the patients who came to the P hospital from January to May 2016. Among them, risk factors were analyzed on 399 people at the same time when abdominal ultrasonography and hematological test. The statistical analysis of risk factors related to the GB ployp was performed by independent t-test and chi-square test. In consider of difference verification result for calculations odds ratio about independent variable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conduct verify adequacy by calculating forecasting model from variable. As a result, GB polyp risk factors have relevance to male, HBsAg positive, triglyceride. GB polyp risk factors confirmed to male, HBsAg positive, triglyceride were calculated forecasting model and forecasting probability value. Forecasting probability sensitivity 61.0%, specificity 76.8%, ROC area under curve 0.735 showed, it confirmed validity of forecasting model. When analyzing the GB polyps morphologically, among the GB polyp types observed from abdominal ultrasonography, the hyperechoic and homogeneous pattern with neck was the largest as shown from 27.5% and two GB polyps were shown most from 38%, sizes were shown most by maximum diameter, 5 to 10mm from 53%. As a disease accompany with GB polyp showed mild fatty liver(23%), diffuse hepatopathy(21%).

A Study on the Prediction Model of Unmanned Helicopter Fuel Consumption for the Captive Flight Test (탑재비행시험을 위한 무인헬기 연료 소모량 예측모형 연구)

  • Kim, Jis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7
    • /
    • pp.436-443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predictive model by analyzing the influence and correlation of factors affecting the fuel consumption of unmanned helicopters in Captive Flight Test. In this study, a four-factor two-level full factorial experiment was designed and tested using the design of experiments, results were analyzed to derive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s of the factors, and the predictive model was establish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contribute to carrying out Captive Flight Test efficiently and the improvement of the test capability of Electronic Testing Range.

Predicting Forest Fire in Indonesia Using APCC's MME Seasonal Forecast (MME 기반 APCC 계절예측 자료를 활용한 인도네시아 산불 예측)

  • Cho, Jaep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7-7
    • /
    • 2016
  • 인도네시아 산불에 의한 연무는 동남아시아 인접한 국가들에 있어서 심각한 환경문제 중 하나이다. 국제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는 인도네시아의 산불은 건조기에 강수량이 적게 내리는 극심한 가뭄 조건에서 발생한다. 건조기 강수량을 모니터링 하는 것은 산불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해 중요하지만 산불을 사전에 예방하고 영향을 최소화하기에는 부족하다. 따라서 산불에 대한 선제적 사전예방을 위해서는 수개월의 선행예측 기간을 갖는 조기경보 시스템이 절실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산불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위한 강수량 예측시스템을 개발하고 예측성을 평가하여 동남아시아 지역의 화재 연무 조기경보 시스템의 시제품(Prototype)을 개발하는데 있다. 강수량 예측을 위해서 APEC 기후센터의 계절예측정보의 활용 정도에 따라서 4가지 서로 다른 방법을 통합하여 사용하였다. 예측정보 기반의 방법들로는 대상지역의 강수량 예측을 위해서 대상 지역 상공의 계절예측 강수자료를 보정을 통해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SBC (Simple Bias Correction) 방법과 대상 지역 상공의 강수 예측자료를 사용하는 대신에 지역 강수량과 높은 상관 관계를 보이는 다른 지역의 대리변수를 예측인자로 사용하는 MWR (Moving Window Regression) 방법이 있다. 또한 예측자료의 사용 없이 과거자료 기반의 기후지수(Climate Index) 중에서 지체시간을 고려하여 지역 강수량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는 경우 예측에 활용하는 관측자료 기반의 CIR (Climate Index Regression) 방법과 예측기반 MWR과 관측기반의 CIR 방법에서 선정된 예측인자를 동시에 활용하는 ITR (Integrated Time Regression) 방법이 사용되었다. 장기 강수량 예측은 보르네오 섬의 4개 지역에서 3개월 이하의 선행예측기간에 대하여 0.5 이상의 TCC (Temporal Correlation Coefficient)의 값을 보여 양호한 예측성능을 보였다. 예측된 강수량 자료는 위성기반 관측 강수량 및 관측 탄소 배출량 관계에서 결정된 강수량의 임계값과의 비교를 통해 산불발생 가능성으로 환산하였다. 개발된 조기경보 시스템은 산불 발생에 가장 취약한 해당지역의 건조기(8월~10월) 강수량을 4월부터 예측해 산불 연무에 대한 조기경보를 수행한다. 개발된 화재 연무조기경보 시스템은 지속적인 개선을 통해 현장 실효성을 높여 동남아국가 정부의 화재 및 산림관리자들에게 보급함으로써 동남아의 화재 연무로 인한 환경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