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예취

검색결과 298건 처리시간 0.019초

초지에서 예취회수의 경감이 수량 및 식생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utting Frequency on Yield and Growth Response of Grasses and Legumes in Germany)

  • 류종원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3-38
    • /
    • 1998
  • 본 연구는 환경오염과 생물종의 감소 위기에 있는 독일 남서부의 알고이 ($Allg\ddot{a}u$)지방에서 자연 및 환경보호를 위하여 초지이용을 집약적 초지에서 조방적 초지이용으로 전환시 정책 및 기술적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초지의 이용회수를 관행인 6회 예취구와 예취회수를 경감시킨 3회 예취구를 두어 초지생산성, 품질,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였다. 3회 예취구의 건물수량은 관행의 6회 예취구에 비하여 시험 1년차에 ha당 3 ton, 2년차에 0.9 ton낮았다. 예취회수의 감소는 화본과 - 두과목초의 비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초종간에는 변화를 초래하여 Dactylis glomerata는 증가되고 Lolium perenne는 감소되었다. 3회 예취구는 관행의 6회 예취구에 비하여 조섬유 함량은 높으나 조단백질, 가소화양분 총량, Net Energy Lactation(NEL)은 낮아졌다. 식물체의 질소함량은 6회 예취구에서 3% 이상이었으나 3회 예취구에서는 이보다 낮았다. 3회 예취구의 질소흡수량은 6회 예취구의 ${\frac{2}{3}}$ 정도이었다. 6회 예취구의 질소흡수량은 시험 1, 2년차에 각각 ha당 409, 443kg으로서 3회 예취구에 비하여 157, 135kg 많았다. 이 지역에서 조방적 초지이용으로 전환 시켰을 경우 초지생산성과 목초의 품질이 단기적으로는 매우 저하 되었으나 중장기적으로 수량감소가 완화되고 식생하고 있는 식물종의 수가 증가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액상구비의 시용수준에 대한 Reed Canarygrass의 반응 (Response of Reed Canarygrass (Phalaris arundinacea L.) to Application of Cattle Slurry Nitrogen)

  • 조익환;이주삼;김성규;안종호
    • 유기물자원화
    • /
    • 제4권1호
    • /
    • pp.33-42
    • /
    • 1996
  • 예취빈도와 액상구비의 시용수준에 대한 Reed canarygrass의 반응을 조사하여, 잠재생산성의 증대를 위한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적정 예취빈도와 액상구비의 시용수준을 추정하고자 하였다. 예취빈도별 연간 건물수량에 대한 예취번초의 상대수량은 3회 예취구에서 2번초, 4회 예취구에서 3번초 및 5회 예취구에서는 4번초에서 다른 예취번초에 비해 가장 높은 상대수량을 나타내었다. 무시용구의 연간 건물수량은 예취빈도에 따라 6.4~7.5 ton/ha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3회 예취구에서 가장 많은 연간 건물수량을 나타내었다. 액상구비의 시용수준이 증가됨에 따라서 연간 건물수량은 증가되었다. 즉, 3회 예취구에서는 연간 180 kg, 4회 예취구에서는 연간 120 kg 및 5회 예취구에서는 연간 300 kg로 증시하였을 때, 무시용구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건물수량을 나타내었다. 액상구비의 건물생산효율 (kg DM/kg N)은 3회 예취구의 120 kg/ha/cut, 4회 예취구의 30 kg/ha/cut 및 5회 예취구의 90 kg/ha/cut에서 각각 16.8, 25.4 및 10.4 kg 의 가장 높은 건물을 생산하였고, 시용시기에 따른 건물생산효율은 3회 예취구에서 1번초, 4회와 5회 예취구에서는 2번초에서 가장 높았다. 경제적 액상구비의 질소시용수준은 3회 예취구에서 462.7~525.3 kg/ha, 4회 예취구에서 353.1~423.2 kg/ha 그리고 5회 예취구에서 380.1~424.4 kg/ha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 PDF

Brittle Culm 벼의 예취시기에 따른 청예수량 및 TDN (Forage Yield and TDN by Cutting Time of Brittle Culm Rice)

  • 김영두;박홍규;하기용;조수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483-488
    • /
    • 1997
  • Brittle culm 특성을 가지는 벼의 가축 조사요 이용성을 위한 적정 예취시기를 구명하여 조사요로서의 수량 및 영양가를 평가하고자 섬진벼 및 Brittle culm인 KL501 품종을 공시하여 무예취, 출수전 및 출수후 10일로 예취시기를 달리하여 1995년 호남농업시험장 수도포장에서 수행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초장은 품종 및 예취시기간 차이가 인정되었으나 재생초장은 품종에 관계없이 1차 예취시기가 빠를수록 컸으며 분얼경수는 품종 및 예취시기간 차이가 뚜렷하였고 재생경율은 1차 예취시기를 빨리 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2. 조단백질, 조지방 및 NFE 함량은 1차 예취시 예취시기가 빠를수록 많았으나 조섬유, 조회분함량은 반대의 경향이며, 2차 예취시에는 1차 예취시기가 빠를수록 조단백질, 조지방 및 NFE 함량이 적어지며 조섬유, 조회분함량은 많았다. 3. 청예수량은 출수기 예취가 다른 예취시기보다 많았는데 섬진벼는 4.49ton/ha, KL501은 4.75ton/ha이며 건물수량은 섬진벼가 1.12ton/ha, KL501은 1.16ton/ha이었다. 4. TDN 함량은 예취시기가 빠를수록 높았으나 2차 예취시에는 1차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높았고 KL501은 어느 예취시기에서나 섬진벼보다 TDN 함량이 높았으며, TDN 수량은 출수기 예취시 섬진벼는 0.60ton/ha, KL501은 0.62ton/ha으로 다른 예취시기보다 많았다.

  • PDF

고온기 예취방법이 Orchardgrass의 생장 및 탄수화물 축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utting Management during Summer Season on Growth and Reserve Carbohydrates of Orchardgrass)

  • 김정철;최기춘;김광현;김우복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57-267
    • /
    • 1993
  • 본 시험은 여름철 고온기간중 예취시기와 예취높이가 orchardgrass의 목초 재생과 저장탄수화물 함량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시험설계는 3차 예취시기(7월 15일, 7월 25일, 8월 5일)를 주구, 3차 예취시 예취높이(3, 6. l0cm)를 세구로 하여 분할구 배치 3 반복으로 하여 1988년 장성실업고등학교 포장에서 수행되었다. 1. 고온기의 예취높이별 지표 및 지중(l0cm) 온도는 7월 15일 예취구와 7월 25일 예취구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는데 이는 장마의 영향으로 보이며, 8월 5일 예취구에 있어서 지표 및 지중온도는 여름철 예취높이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2. 고온기 예취높이별 토양수분 함량의 변화는 예취높이가 높아질수록 토양수분 함량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3. 고온기 예취높이별 재생초장, 재생엽장 및 재생엽면적의 변화는 예취높이가 높을수록 생육속도가 빨라졌다. 4. 고온기 예취시기와 예취높이가 그루터기의 저장탄수화물 함량에 미치는 영향은 7월 15일과 7월 25일 예취구가 8월 5일 예취구에 비해 저장탄수화물이 예취전 상태로 회복되는 일수가 빨랐으며 저장탄수화물 축적량도 많았다. 5. 고온기 건물수량은 3차 예취시 8월 5일 예취구가 7월 15일과 7월 25일 예취구 보다 더 많았고 예취높이 3cm구가 6cm구와 l0cm구 보다 더 많았다. 그러나 4차 및 5차 예취시 건물수량은 7월 15일 예취구가 7월 25일과 8월 5일 예취구에 비하여 현저히 많았다. 본 시험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여름철 고온기의 유리한 초지관리를 위해서는 예취시기에 관계없이 고온기 예취높이가 l0cm인 시험구가 재생, 탄수화물 축적 및 건물 생산량에서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냈다.에 관계없이 무처리에 비해 발아율이 향상되었다. 평균발아 소요일수에 있어서도 Kinetin 과 NAA는 무처리보다 지연되는 경향이었으나 GA$_3$는 100 ppm 전처리시 무처리 대비 2.0일이 단축되었다. 6. PEG나 GA3의 종자 전처리는 수분장애 조건에서 공히 무처리에 비해 발아율이 향상되었고 평균발아 소요일수도 단축되어, 수분장애시 오차드그라스의 균일한 발아 유도와 발아속도를 개선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되나, 어떠한 처리에 있어서도 대조구의 무처리구 발아율(79.0%)을 능가하지 못하여 오차드그라스의 발아에 관한 수분장애 요소를 완전히 극복할 수는 없었다.>, $C_{l8:2}$, $C_{l8:1}$, $C_{18:2}$ 등이 주요 지방산으로 조직에 따라 약간씩 다른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카테킨은 특히 혈청에서 $C_{20:5}$, $C_{22:6}$과 같은 고도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을 유지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과산화된 지질의 섭취는 생체내 대사 이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인식되었고 카테킨의 투여는 신선한 어유를 섭취한 경우 뿐만 아니고 이미 과산화된 어유를 섭취한 경우 뿐만 아니고 이미 과산화된 어유를 섭취한 경우에도 생체내에서 과산화 억제작용을 어느 정도 효과적으로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나 앞으로 이의 효과적인 활용이 기대된다.다.nsidered to be due to the different food habits and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invertebrates.재강조될 필요가 있다. 이 두 역할개념 들을 교육을 통하여 효과적으로 가르칠

  • PDF

유휴 논토양에서 Reed Canarygrass (Phalaris arundinacea L.) 에 대한 무기태 질소의 단기 시용 효과 (Short-Term Effect of Mineral Nitrogen Application on Reed Canarygrass (Phalaris arundinacea L.) in Uncultivated Rice Paddy)

  • 이주삼;조익환;안종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95-106
    • /
    • 1998
  • 유휴 논 토양을 이용하여 reed canarygrass를 재배하였을 때, 건물 수량에 미치는 무기태 질소의 단기 시용효과를 조사하여 건물 생산효융이 높은 경제적 시비수준파 척정 예취빈도를 추정하려고 하였다. 1. 모든 예취빈도에서 1993년의 건물 수량이 다른 재배년도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즉, 3회 예취구에서 는 시비수준 평균 14.40 ton $ha^{-1}$, 4회 예취구에서는 13.88 ton $ha^{-1}$, 5회 예취구에서는 15.98 ton $ha^{-1}$을 나타내었다. 2. 시비수준별 평균 건물 수량은 3회와 4회 예취구의 120 kg $ha^{-1}\;cut^{-1}$ 수준에서 각각 15.37 ton $ha^{-1}$과 15.80 ton $ha^{-1}$, 5회 예취구에서 90~120 kg $ha^{-1}\;cut^{-1}$ 수준에서 14.02~14.08 ton $ha^{-1}$을 나타내어 다른 시비수준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3. 건물 생산효율은 3회 예취구의 90 kg $ha^{-1}\;yr^{-1}$ 수준에서 29.7 kg, 4회 예취구의 240 kg $ha^{-1}\;yr^{-1}$ 수준에서 19.6 kg, 5회 예취구의 150 kg $ha^{-1}\;yr^{-1}$ 수준에서 20.1 kg으로 가장 높았다. 4. 예취빈도별 예취번초의 평균 건물수량은 3회 예취구에서 2번초가 5.02 ton $ha^{-1}$, 4회 예취구의 2번초와 3번초가 3.94~4.37 ton $ha^{-1}$, 5회 예취구의 2번초와 3번초가 3.81~3.58 ton $ha^{-1}$으로 다른 예취번초의 건물 수량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5. 상대수량은 3회 예취구의 2번초가 40.40%, 4회 예취구의 3번초가 34.9%, 5회 예취구의 2번초가 3 31.5%로 가장 높았다. 6. 재배년도 평균 경제적 시비수준은 3회 예취구에서 228.5~291.9 kg $ha^{-1}\;yr^{-1}$의 범위에서 13.8~14.7 t ton $ha^{-1}$의 한계수량을, 4회 예취구에서는 293.5~335.7 kg $ha^{-1}\;yr^{-1}$의 범위에서 3.8~14.2 ton $ha^{-1}$의 한계수량을, 5회 예취구에서는 237.5-302.5 kg $ha^{-1}\;yr^{-1}$의 범위에서 12.2~12.8 ton $ha^{-1}$의 한계수량을 얻을 수 있었다. 7. 한계시비 수준은 3회 예취구에서 558.9 kg $ha^{-1}\;yr^{-1}$, 4회 예취구에서 531.4 kg $ha^{-1}\;yr^{-1}$, 5회 예취구에서 546.3 kg $ha^{-1}\;yr^{-1}$ 이었으며, 이 때 얻어지는 최대 건물수량은 각각 18.4 ton, 12.7 ton, 10.6 ton $ha^{-1}$ 이었다. 8. 예취빈도별 예취번초의 경제적 시비수준은 3회 예취구에서 42.6~123.8 kg $ha^{-1}$, 4회 예취구에서 2 27.3~144.1 kg $ha^{-1}$, 5회 예취구에서 9.3~159.4 kg $ha^{-1}$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9. 유휴 논 토양에서 무기태 질소를 단기간 시비하여 reed canarygrass의 건물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예취빈도는 연간 3회로 하고, 시비수준은 300 kg $ha^{-1}$ 미만으로 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된다.

  • PDF

고주파 열처리 콤바인 예취날의 포장성능시험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bine cutters heated by a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er through field test)

  • 전종길;김경원;윤진하;조희근;이인복;성현석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2002년도 하계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7-32
    • /
    • 2002
  • 콤바인 예취날은 벼 수확작업 시 벼 포기를 자르는 칼날로써 예취날이 쉽게 마모되거나 변형되면 교체비용뿐만 아니라 농번기 작업에 지장을 주게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게 된다. 현재 농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콤바인 예취날은 국산날과 일산날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농민들은 다소 가격이 비싸더라도 일산날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그 이유는 국산날에 비해 내구성이 길고 절단면의 예취상태가 매끄럽게 잘려지므로 벼 탈립손실도 적을 뿐만 아니라 고속작업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중략)

  • PDF

유휴 논토양에서 Reed Canarygrass(Phalaris arundinacea L.) 에 대한 액상구비의 단기시용효과 (Short-Term Effect of Cattle Slurry Application on Reed Canarygrass (Phalaris arundinacea L.) in Uncultivated Rice Paddy)

  • 조익환;이주삼;안종호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05-216
    • /
    • 1998
  • 유휴논토양에서 reed canary grass를 재배하였을 때 액상구비의 단기간(3년간) 시용효과를 조사하였으 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모든 예취빈도에서 1993년의 건물수량이 다른 재배년도보다 많았다. 2. 액상구비의 시용수준별 평균 건물수량은 3회 예취구의 360 kg $ha^{-1}\;yr^{-1}$ 수준에서 13.10 ton $ha^{-1}$, 4회 예취구의 360~480 kg $ha^{-1}\;yr^{-1}$ 수준에서 12.50~12.83 ton $ha^{-1}$ 5회 예취구의 450~600 kg $ha^{-1}yr^{-1}$ 수준에서 12.52~12.56 ton $ha^{-1}$로 유의하게 많았다. 3. 건물생산 효율(kg DM $kg^{-1}$ N)은 액상구비의 시용수준과 예취빈도가 높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3회 예취구의 90 kg $ha^{-1}\;yr^{-1}$ 수준에서 15.2 kg, 4회 예취구의 120 kg $ha^{-1}\;yr^{-1}$ 수준에서 19.8 kg, 5회 예취구의 150 kg $ha^{-1}\;yr^{-1}$ 수준에서 10.0 kg을 나 내어 건물생산 효율이 가장 높았다. 4. 예취번초별 상대수량은 3회 예취구의 2번초가 38.1%, 4회 예취구의 3번초가 41.8%, 5회 예취구의 4번초가 30.1%로 가장 높았다. 5. 액상구비의 경제적 시용수준의 범위는 연간 평균 3회 예취구에서 261.0~304.6 kg $ha^{-1}\;yr^{-1}$, 4회 예취구에서 205.8~302.9 kg $ha^{-1}\;yr^{-1}$, 5회 예취구에서 303.8~354.4 kg $ha^{-1}\;yr^{-1}$로 추정되었고 이때 얻어지는 한계수량은 3회 예취구에서 11.5~12.1 ton $ha^{-1}$, 4회 예취구에서 10.4~11.5 ton $ha^{-1}$, 5회 예취구에서 11.1~11.6 ton $ha^{-1}$으로 추정되었다. 6. 예취번초의 경제적 시용수준의 범위는 3회 예 취구에서 67.9~95.0 kg $ha^{-1}$, 4회 예취구에서 14.3~119.8 kg $ha^{-1}$, 5회 예취구에서 50.9~125.2 kg $ha^{-1}$였다. 7. 건물수량에 대한 액상구비의 시용효과가 가장 높았던 예취빈도는 3회 예취구였다.

  • PDF

예취빈도가 다른 조건에서 무기태 질소와 액상구비의 시용이 Reed canarygrass의 건물수량과 질소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pplication rates of mineral N and cattle slurry on the dry matter yield and efficiency of N utilization of Reed canarygrass grown in different cutting frequency)

  • 이주삼;조익환
    • 유기물자원화
    • /
    • 제2권2호
    • /
    • pp.53-63
    • /
    • 1994
  • 예취빈도가 다른 조건에서 무기태 질소와 액상구비의 시용수준이 Reed canargrass 의 건물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액상구비의 질소이용효율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무기태 질소의 시용에 대한 액상구비의 상대건물수량은 연간 3회 예취구에서 84.3%, 4회 예취구에서 77.9%, 그리고 5회 예취구에서 81.2%를 나타내어 액상구비의 시용효과가 높았다. 무기태 질소의 건물생산효율(kgDM/kgN)은 모든 예취구에서 30kg/ha/cut 수준에서 가장 높았으며, 예취빈도에서는 3회 예취구가 질소 1kg당 23.9kg의 건물수량을 나타내어 다른 예취구보다 높았다. 그러나 전질소량(kgTN/kgN) 의 증가에서는 예취빈도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지 않았다. 액상구비의 건물생산효율(kgDM/kgN) 은 3회와 4회 예취구에서는 30kg/ha/cut 수준, 5회 예취구에서는 60kg/ha/cut 수준에서 가장 높았으며, 전질소량(kgTN/kgN) 에서는 3회 예취구에서 0.11kg이었으나, 4회와 5회 예취구에서는 20kg 이상이었다. 무기태 질소에 대한 액상구비의 상대건물생산효율은 3회 예취구에서 33.1%, 4회 예취구에서 52.1%, 5회 예취구에서 50.0%였으며, 상대전질소량은 3회 예취구에서 28.9%, 4회 예취구에서 51.3%, 그리고 5회 예취구에서 55.3%를 나타내었다.

  • PDF

파성이 다른 보리의 월동전 예취회수에 따른 청예 및 종실 겸용 재배에 관한 연구 (Practice in Dual-purpose Barley for Forage and Grain with Early-sown Barley having Different Winter Habits)

  • 김대호;김은석;김수경;손길만;송근우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495-500
    • /
    • 2003
  • 남부지방 벼-맥류 이모작 작부체계에서 단기성 벼를 수확한 후 맥류를 조기 파종하여 월동전에 예취하여 겨울동안 신선한 청예사료로 활용하고 다음 해에 종실을 수확하여 사용하는 재배법을 확립하여 맥류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사료작물 자급도 향상을 꾀하고자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간장은 모든 품종이 2회 예취시 1회 예취보다 길었으며, 조기 파종맥류를 월동전 예취했을 때 관행 적파에 비해 간장단축은 없었다. 2. 단위면적당 수수는, 예취처리가 관행 적파보다는 감소되었으나, 2회 예취에서 1회 예취보다 많은 수수를 확보하여 수량구성에 기여하였다. 3.조기 파종 맥류의 월동전 예취에 의한 청예수량은, 예취 횟수별로는 12월 10일에 1회 예취하는 것이 청예수량도 많았고 효율적이었으며, 파성이 IV인 큰알보리와 II인 새장보리가 높은 청예수량을 보였다. 4. 보리 품종별 예취에 따른 TDN수량은 보리에서는 대백보리와 큰알보리가, 그리고, 2회 예취에서 높은 경향이었다. 5. 조기 파종 맥류의 월동전 예취에 의한 출수 및 성숙기는 관행 적파에 비하여 지연되지 않았으며, 2회 예취시 1회 예취보다 1-2일 빨랐다. 6. 종실수량은 월동전 예취시 관행 적파에 비하여 다소 감수되거나 비슷하였으며, 예취 횟수별로는 2회 예취시에 1회 예취보다 높은 수량을 보였다. 그리고, 청예$.$종실 겸용 보리는 파성이 II-III인 품종이 적합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월동전 예취 높이가 북방형목초의 월동성 , 이른봄 수량 및 양분생산에 미치는 영향 I. 초종별 예취 높이에 따른 저장탄수화물함량의 변화 , 월동성 및 수량 비교 (Effect of Cutting Height on the Winter Survival , Early Spring Yield and Energy Production of Italian ryegrass, Tall fescue and Perennial ryegrass I. Comparison of nonstrural carbohydrate contents, winter survival and early spring yields)

  • 신재순;박근제;차영호;이필상;윤익석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4-19
    • /
    • 1988
  • 본 실험은 가을에 파종하여 월동전 예취 높이를 달리 하였을 때 공식초종의 탄수화물함량변화, 월동성 및 다음해 봄철 수랑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초종(Italian ryegrass, tall fescue, perennial ryegrass)을 주구로 하고 월동전 예취 높이 (무예취, 6cm, 15cm)를 세구로 하여 분활구배치 3반복으로 설계하여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종별 예취 높이에 따른 목장내 온도변화는 tall fescue > perennial ryegraa > Italian ryegrass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예취 높이 간에는 일정하지 않았다. 2. 월동전 초종별 평균저장탄수화물 함량은 세초종 모두 무예취>15cm 예취>6cm 예취순으로 나타났으며 초종간에는 Italian ryegrass > perennial ryegrass > tall fescue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편 월동율은 초종간 예취 높이에 차가 없었다. 3. 생초수량에 있어서는 초종간에서 Italian ryegrass>perennial ryegraa>tall fescue 순으로 높게 나타나 유의성(P<0.05)이 나타났으나 건물수량에 있어서는 초종간, 예취 높이간 모두 유의성 (P>0.05)이 나타나지 않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