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예비아버지 교육 프로그램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청소년 대상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Effectiveness of parenting education program for adolescents)

  • 전미경;이은주;유난숙;왕석순;최새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1-4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대상 예비부모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 대상의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서울, 충남, 광주 지역 중 고등학교에 "부모-자녀 의사소통 교육", "아버지됨의 이해 교육", "자기 이해를 통한 부모됨의 준비교육"을 주제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자기기입식 사전 사후 조사를 통해 효과성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97명의 설문지를 빈도 분석, 백분율, 대응표본 t검증, One way ANOVA로 분석하였다.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부모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정규 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필요성 인식이 사전 사후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므로, 일시적이고 한시적인 예비부모교육 운영보다는 청소년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학교급별 정기적인 예비부모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조사대상자들이 자녀를 출산하지 않는 이유로 '양육 부담감'을 높게 인식하고 있으므로, 예비부모교육에서 양육기술과 정보를 구체적으로 다룰 필요가 있다. 셋째,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은 사전 사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만큼 예비부모교육 참여를 통해서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버지됨의 이해 교육" 참여자들은 성역할의 변화가 없었지만, "부모-자녀 의사소통 교육" 참여자들은 의사소통 인식의 변화가 유의미하였고, "자기이해를 통한 부모됨의 준비교육" 참여자들도 자아존중감 인식의 변화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예비부모교육의 효과성이 검증된 바, 공교육에서 유일하게 예비부모교육을 담당하는 가정교과가 더욱 강화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예비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발달적 접근과 이야기 치료적 관점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the Pre-father Education Program - Based on Developmental Approach and Narrative Therapeutic Perspective -)

  • 최현숙;이기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2호
    • /
    • pp.177-19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which aims at provid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parenthood, establishing a desirable value of being a parent and preparing for being a good father positively affecting children, and determine effects of the program on unmarried men who are in the so-called stage of 'not belonged youth'. The program consisted of 5 sessions titled 'My father, 'I will be a father, too', 'Being a good father I', 'Being a good father II' and 'I will be a respectable father'. 7 unmarried men surveyed here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held at B church located in Busan from Oct. 3 to Nov. 7, 2004, with 1 session a week and 120 minutes per session bas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ests were carried out with the father acceptance-rejection scale and the scale of confidence in father's role'. For each of the sessions, a process evaluation was performed.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re- and post-tests with the father acceptance-rejection scale showed some changed recognition that father's attitude of child raising would be more acceptable and unrejectable. This indicates that the program made some achievements in relation to understanding and reestablishing relations with father. Second,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confidence in father's role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Especially, anxiety about father's role as a sub-area of such confidence was most considerably reduced. In conclusion, such objectives of the program as removing vague anxiety about father's role, establishing a desirable view of fatherhood and improving confidence about being a father proved to be achievable through getting skills of child understanding with the concept of developmental perspective and narrative therapy b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