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예방치과

검색결과 752건 처리시간 0.023초

예방적인 스케일링의 건강보험적용 시기에 따른 치과 의료기관 이용과 구강건강상태 전·후 차이 비교 :국민건강영양조사 제5기와 제6기 자료를 활용하여 (Comparison of the oral health status before and after preventive scaling using the provision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The 5th-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강현경;김유린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765-776
    • /
    • 2019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oral health statuses pre- and post-insurance using the $5^{th}$ and $6^{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to confirm the effect of scaling insurance after a year. Methods: Data were analyzed using IBM SPSS ver. 21.0 (IBM Co., Armonk, NY, USA). The four years were integrated, and a composite sample analysis was performed. A total of 26,990 people were included in the study before applying for scaling insurance (14,343 persons) or after receiving scaling insurance (12,647 persons). A chi-squared 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oral health status of the subjects. The significance level of the statistical test was 0.05. Results: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out implants was high before the provision of scaling insurance once a year, however, the proportion of patients with one or more implants was high (p<0.05) after the provision of scaling insurance once a year. Hemorrhagic periodontal tissues and tartar formation in periodontal tissues were highly prevalent before the provision of scaling insurance once a year, however, healthy periodontal tissues and formation of periodontal pockets were highly prevalent (p<0.05) after the provision of scaling insurance once a year. The decay, missing, and filled teeth index scores were higher before the provision of scaling insurance once a year (p<0.05). Conclusions: The aforementioned results showed that scaling once a year helps prevent or treat periodontal disease. In addition, we confirmed the effect of prevention on periodontal disease and dental caries, therefore, we expect it to develop into a stable policy.

Study of Oral Microbial Prevalence and Oral Health in Adults

  • Moon, Kyung-Hui;Lee, Jin-Young;Kang, Yong-Ju
    •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 /
    • 제14권4호
    • /
    • pp.264-270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performed a quantitative analysis using the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technique to examine the oral microbial prevalence in adults and intended to examine the correlations between risk factors of periodontal disease and oral bacteria and correlation between oral test scores and oral microorganisms. Methods: We examined papillary marginal attached (PMA) index, modified patient hygiene performance (M-PHP) index, probing depth (PD), modified gingival index, and oral bacteria counts and surveyed 117, 20 years or older adult males and females who visited dental clinics in the Daejeon region to analyze the prevalence and oral health. Results: The prevalence was 100% for Fusobacterium nucleatum, meaning it was observed in all examined subject, 85.5% for Parvimonas micra, 76.1% for Prevotella intermedia, and 72.6% for Tannerella forsythia. The averages of P. gingivalis and T. forsythia increased as the examined subjects were older, a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 forsythia and E. nodatum in relation to medical history, between P. intermedia and P. micra in relation to gender, and between P. intermedia and E. corrodens in relation to smoking (p<0.05). For a correlation between the oral test scores and oral microorganisms, P. gingivalis and F. nucleatum was highly correlated with PD (correlation coefficient of 0.51 and 0.41) (p<0.01) while P. gingivalis, P. micra, C. rectus, and E. nodatum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M-PHP index, gingival index, PD, and PMA index (p<0.01, p<0.05). Conclusion: For oral health management of adults, the age, systemic disease, and smoking are closely related to oral bacteria, and P. gingivalis, T. forsythia, F. nucleatum, P. intermedia, P. micra, C. rectus, E. corrodens, and E. nodatum are considered to be the oral microorganisms that indicate periodontal health.

In Vitro Study on the Artificial Plaque Removal Effect by Use of 360 Degree Rotating Head with Sonic Tooth-Brush

  • Lim, Jee-Hyun;Kim, Jin-Sil;Choi, Hwa-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linical Preventive Dentistry
    • /
    • 제14권4호
    • /
    • pp.228-234
    • /
    • 2018
  • Objective: The authors have experimented for the artificial plaque removal effect of several kinds of 360 degree rotating head typed tooth-brushes with sonic vibratory actioned by using of automatic machine for horizontal scrub method in order to find the better toothbrush type for plaque removal. Method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ree medium to 360 degree rotating head toothbrushes, a medium sized toothbrush and a medium sized toothbrush, and a flat toothbrush consisting of 30 ordinary toothbrushes. A brushing machine with horizontal scrubbing was manufactured and had variations of the end of the bristle attached to or near the surface of the teeth, a vibrating wave action force of 16,000 or 18,000 cycles per minute, and a working time of 2 or 3 minutes. The tooth removal effect was confirmed by scanning and analyzing images with a computer program after automatic brushing with the machine. The elimination rate results for each group were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test. Results: It revealed the most in removal effect for the artificial plaque in such conditions as action at near the tooth surface with 18,000 cycle for 3 minutes in case of using A, B, and C tooth-brush. And it has more removal effect rate than for using the plane tooth-brush (p<0.05). Conclusion: It was recommended to develop the 360 degree rotating head and vibratory toothbrush focusing to use near the tooth surface with 18,000 cycles of vibration for 3 minutes at one site of the teeth area.

치위생과 학생의 결핵에 대한 지식 및 태도가 결핵감염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ental Hygiene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s Tuberculosis and Tuberculosis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 장영미;김기은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9-27
    • /
    • 2021
  •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aimed to gather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tuberculosis prevention program for prospective dental hygienists by understanding the level of knowledge, attitudes, and preventive behaviors related to tuberculosis f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who need preventive access to tuberculosis infection. Methods: The present study used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on knowledge, attitudes, and preventive behaviors regarding tuberculosis, which was administered to dental hygiene students attending D University located in D city. Results: The average knowledge regarding tuberculosis was 16.17 ± 6.14, out of 30 points. Attitude regarding tuberculosis averaged 48.59 points (± 4.46), out of 60 points, and the degree of preventive behavior was 46.29 points (± 5.0), out of 60 points. Third year students ranked highest for knowledge regarding, attitude toward, and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s of tuberculosis, compared to those in their first or second year (F = 7.20, p = 0.000). Those who had experienced tuberculosis themselves or with their relatives had higher attitudes toward tuberculosis than those who did not (F = 2.32, p = 0.02). Additionally, the higher the knowledge (β = 0.209, p = 0.004) and attitude (β = 0.425, p = 0.000) about tuberculosis, the higher the level of tuberculosis infection prevention behavior.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t appears to be necessary to provide practical education to ensure that all students in dental hygiene are equipped with knowledge about tuberculosis, and that as a dental hygienist in carrying out dental hygiene management with a changed attitude, the act of preventing tuberculosis infection can be appropriately performed.

Lower Nutrient Intakes and Periodontitis: Finding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 이민선;한동헌;김미선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39-51
    • /
    • 2021
  • Background: Limited information is available regarding the associations of various nutrients and periodontitis in Korea. Furthermore, these associations have been controversial in previous studies. Therefore, the present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ssociations between several nutrients and periodontitis. Methods: Pooled data from the 2007~2010 and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were used for the present study. Periodontitis was defined using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Community Periodontal Index.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which was analyzed using CAN-Pro 4.0. Vitamins A, B1, B2, and C, iron, phosphorus, calcium, and protein were selected for analysi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d to estimate the odds ratios (ORs) for periodontitis. Results: Lower intake of phosphorus (adjusted odds ratio [AOR] = 1.86), calcium (AOR = 1.25), and protein (AOR = 1.52) were associated with periodontitis in males, and lower intake of vitamins A (AOR = 1.32), B1 (AOR = 1.21), B2 (AOR = 1.24), and C (AOR = 1.21), iron (AOR = 1.25), phosphorus (AOR = 1.33), and protein (AOR = 1.27)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periodontitis in females. In the sociodemographic, somatic, and health behavior-adjusted models, lower phosphorus (AOR = 2.68) and protein (AOR = 1.68) intake in younger males, and lower vitamin A intake (AOR = 1.37) in middle-aged female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eriodontitis.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d a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periodontitis and nutrient intake. To avoid an insufficient nutrient supply for a patient with periodontal disease, the patient's diet should be closely monitored.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가 광중합형 및 화학중합형 교정용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LUORIDE RELEASING ORTHODONTIC SEALANT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LIGHT-AND CHEMICAL-CURED ORTHODONTIC RESINS)

  • 김봉현;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781-789
    • /
    • 1997
  • 본 연구는 교정치료를 위해 최근에 발거된 소구치 65개를 대상으로 발거직후 부착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생리식염수에 담구어 보관한 후 법랑질을 퍼미스 및 $38\%$ 인산으로 표면 처리하고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로는 광중합형 FluoroBond, 광중합 접착제로는 Transbond, 화학중합 접착제로는 Mono-Lok 2를 선정하여 1차 부착 및 재부착시의 전단결합강도를 만능강도시험기로 측정함으로서, 치아우식 예방 및 진행 억제효과를 지닌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가 광중합형 및 화학중합형 교정용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과 재부착에 의한 전단결합강도의 변화를 규명하고, 광중합형 접착제와 화학중합형 접착제 사이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1차부착에 의한 전단결합강도의 크기는 Mono-Lok2군(11.84MPa), Trans bond군(10.75MPa), Light cured FluoroBond+Mono-Lok 2군(9.69MPa), Light cured FluoroBond+Transbond군(9.39MPa)순이었다. 2. 재부착에 의한 전단결합강도의 크기는 Transbond군(7.40MPa), Light cured FluoroBond+Transbond군(6.48MPa), Mono-Lok 2군(5.89MPa), Light cured FluoroBond+Mono-Lok 2군(5.15MPa)순이었다. 3.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를 적용한군과 적용하지 않은 군 모두에서 화학중합형 접착제가 광중합형 접착제보다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4.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를 적용한군과 적용하지 않은 군 모두에서 재부착된 광중합형 접착제가 재부착된 화학중합형 접착제보다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없었다(p>0.05). 5. 1차 부착된 군에 비해 재부착된 모든 군에서 전단결합강도가 현저하게 감소되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p<0.001).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볼 때 임상적으로 브라켓의 전단결합강도에 경향을 미치지 않는 불소가 유리되는 교정용 전색제를 치아 협면에 적용하여 불소의 유리에 의한 치아우식 예방 및 억제효과를 기대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불소투여 후 배출된 요내 불소농도 변화에 관한 연구 (FLUORIDE CONCENTRATION IN URINE EXCRETED AFTER FLUORIDE ADMINISTRATION)

  • 이보경;김태영;김종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62-69
    • /
    • 2000
  • 국소적으로 사용된 불소의 일부와 전신적으로 사용된 불소는 체내로 유입되어 우식을 예방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러나 적정 수준 이상의 불소가 체내로 유입되면 전신적으로 여러 가지 이상을 일으키는 급성, 만성 불소증과 치아불소증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최대한의 우식예방 효과를 가지며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적절한 불소량을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불소의 섭취량을 역추적 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체외로 배출되는 요내 불소농도를 측정하는 것을 들수 있다. 따라서 불소투여 후 불소의 체내 잔류시간과 일별 요내 불소농도를 비교하고자, 7명의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서로 다른 용량의 불소보조제-대조군 : 불소를 복용하지 않은 군, 1군 : 불소 1mg 복용군, 2군 불소 : 2mg 복용군, 3군 : 불소 3mg 복용군, 4군 : 불소 4mg 복용군 - 를 복용시킨 후 시간변화에 따른 요내 불소농도를 HMDS를 이용한 확산법과 불소이온전극(Orion, 96-09, U.S.A.)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대조군 요내 불소농도의 평균값은 0.707ppm, 표준편차는 0.362ppm 이었다. 2. 불소투여 후 첫날 요내 불소농도는 4군(4.076ppm), 3군(2.400ppm), 2군(1.494ppm), 1군(0.362ppm) 순으로 높았다. 둘째날부터 1, 2, 3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시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4군에서는 둘째날까지 대조군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다(p<0.05). 3. 투여된 불소량의 증가에 따라 요내 불소농도도 증가되어 유지되었는데, 둘째날까지는 유의성 있게 높게 유지되었고 셋째날부터는 대조군과 통계적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 PDF

한국의 보건소 근무 치과위생사의 공중구강보건사업 수행업무실태와 대학교육간의 연관성 (Usefulness of Dental Hygiene Education Curriculum in the Public Oral Health Service Performance in Korea)

  • 유자혜;조영식;정원균;권호근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65-17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현행 치위생과 구강보건관리 영역 교육과정이 보건(지)소 업무 수행에 미치는 활용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치위생과 31개 대학의 구강보건관리 영역 교과목의 시간 수를 조사 분석하고, 보건(지)소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 96명을 대상으로 보건소에서 구강보건교육학 및 실습, 치면세마론 및 예방치과학 실습, 공중구강보건학 실습 및 구강보건통계학 영역의 업무빈도, 교육내용의 유용성, 중요성, 강화성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치위생과의 교육과정과 보건(지)소 업무 사이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위생과 교과목 관련 보건(지)소 업무로는 치면열구전색이 주 1회 이상 가장 많이 실시하고, 교육내용이 매우 유용한 것으로도 치면열구전색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매우 중요한 교육내용은 대상자별 잇솔질법, 교육내용이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항목으로는 대상자별 구강보건교육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하였다. 2. 업무빈도와 교육내용의 유용성과의 연관성에서, 업무빈도가 가장 높은 치면열구전색이 교육내용 중에서 가장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고, 교육내용이 중요한 대상자별 잇솔질교육, 치면열구전색, 대상자별 구강보건관리는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또한 업무빈도가 높은 업무일수록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3. 구강보건교육학 및 실습 영역은 업무빈도에 비해 교육 학습시간수가 적으므로 더욱 강화되어야하고, 치면세마론 및 예방치과학 실습은 불소도포, 치면열구전색, 대상자별 구강건강관리 또한 학습시간수의 부족으로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 PDF

Cariogram을 이용한 모자간 우식활성도의 상관성 및 우식위험요소 평가 (CORRELATION OF CARIES ACTIVITY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WITH CARIOGRAM AND EVALUATION OF CARIES RISK FACTORS)

  • 이석우;송제선;최병재;최형준;이제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337-347
    • /
    • 2009
  • 영유아기 치아우식증은 복잡하고 다인자적 질환으로 숙주 및 미생물, 식이, 시간 등의 위험요소에 의해 질환이 진행된다. 이 중 미생물로 대변되는 Streptococcus mutans(S. mutans)는 우식 개시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어머니를 통한 수직 감염이 잘 알려져 있다. 영유아기의 어머니를 통한 조기 감염은 향후 유치열기 우식 발생과 높은 연관성을 나타내므로 우식위험요소에 대한 조기 파악은 미래의 치아우식증 예방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최근 치아우식증의 원인 및 이에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우식 진행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위한 여러 가지 우식위험도평가(caries risk assessment) 도구가 개발되었는데, 이 중 대표적인 한 가지가 Cariogram이다. Cariogram은 개인의 우식활성도 및 우식위험요소(caries risk factor)의 상호작용을 그래프로 나타낸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3${\sim}$5세의 중증 유아기우식증(Severe Early Childhood Caries; S-ECC)에 해당되는 어린이들과 그들의 어머니 사이에서 우식관련타액검사 및 최근 개발된 Cariogram을 이용하여 S. mutans의 수준 및 우식활성도에 대한 상관관계가 존재함과 우식위험요소 간의 연관성을 파악해 보았는데,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중증 유아기우식증을 보이는 어린이에서 구강 내 존재하는 Streptococcus mutans의 수준은 비우식군보다 높았다(p<0.05). 2. 모자간 구강 내 존재하는 Streptococcus mutans 수준은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3. 모자간 우식활성도를 Cariogram을 통해 측정해 본 결과 상관관계를 보였다(p<0.05). 4. 우식활성도에 미치는 우식위험요소는 어린이에서 숙주요소가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S. mutans가 향후 치아우식증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는데 있어 유용한 우식위험요소가 될 수 있으며, Cariogram을 통한 향후의 우식진행과 관련된 여러 가지 우식위험요소가 예측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조기 대처 및 예방적 처치가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 PDF

18개월 유아의 S. mutans와 Lactobacillus감염수준과 우식위험요인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ECTION LEVEL OF S. MUTANS AND LACTOBACILLUS AND ITS RELATIVITY WITH CARIES RISK FACTORS IN 18 MONTH-OLD INFANTS)

  • 안진공;정진;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88-400
    • /
    • 2006
  • 생후 18개월은 이유의 완료를 확인하고 섭식지도를 시행할 최적기로서 식생활 전반의 영향으로 우식이 초발하거나 본격적인 악화를 보일 수 있어서 유아기 우식의 예방에 특히 중요한 시기이다. 이에 본 연구는 생후 18개월 유아들과 그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치아우식증의 주된 미생물학적 요인인 Streptococcus mutans(이하 S. mutans)와 Lactobacillus의 감염여부를 조사하고 유아와 어머니의 세균감염에 대한 상관성, 세균감염과 기타 우식위험 요인들 간의 상관성을 분석할 목적으로 60명의 생후 18개월 아동과 그 모친으로부터 타액채취를 통한 미생물학적 분석과 우식원인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요소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어머니의 S. mutans 수준이 높을수록 유아의 S. mutans 수준과 전이비율이 높았다. 2. 비우식군에 비해 우식군에서 어머니와 유아의 S. mutans 수준이 높았으며 전이비율도 높게 나타났다. 3. S. mutans 수준이 높을수록 우식 발생율과 deft 수치가 높았으며, 보호자의 월수입이 적었고 모유수유기간이 길었으며 사탕을 간식으로 섭취하는 비율이 높았다. 4. Lactobacillus를 가진 유아는 대부분 S. mutans 감염을 보였으며 모두 우식을 가지고 있었다. 5. Lactobacillus를 가진 경우 deft 수치가 높았으며 보호자의 월수입이 적었고 1일 수유횟수가 많았으며 불규칙한 간식 섭취를 하고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서 18개월 유아의 S. mutans와 Lactobacillus 수준은 우식과 깊은 관계가 있으며 특히, 어머니와 유아의 세균 수준이 깊은 관계를 보여 조기 유아 우식증(Eerly Childhood Caries)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구강건강에도 관심을 가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시기 유아의 미생물 수준은 사회경제적인 요소, 수유기간과 횟수, 간식의 종류와 섭취습관에 높은 상관성을 보이므로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국가제도적인 지원과 보호자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