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하온도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32초

과학리포트-초전도현상 등 신비 연출하는 극저온의 세계

  • 이광영
    • 과학과기술
    • /
    • 제28권8호통권315호
    • /
    • pp.14-15
    • /
    • 1995
  • 온도가 영하로 계속 내려가는 우리들의 주변엔 신비로운 현상들이 나타난다. 온도가 더 이상 내려갈 수 없다는 극저절대온도는 영하 273.15도 그러나 온도가 영하 148도만 돼도 초전도 현상이 일어나 컴퓨터 성능이 수천배 올라가고 전자제품의 잡음이 없어진다. 이렇게 신비로운 극저온의 세계를 열어본다.

  • PDF

발아 초기에 영하온도 처리에 따른 감나무 '갑주백목' 의 신초 생장과 착과 특성 (Shooting and Fruiting Characteristics of 'Hachiya' Persimmon Tree Affected by Sub-zero Temperature Treatment at Early Budding Stage)

  • 김호철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395-399
    • /
    • 2019
  • 본 연구는 감나무 '갑주백목'의 발아 초기에 영하의 온도 처리에 따른 신초 생육 및 착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1년생 가지 당 발생된 신초 수, 착과된 신초 수, 그리고 정단부의 신초의 생장 및 착과는 영하온도 처리에 따라 뚜렷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1년생 가지 정단부에서 발생한 신초의 착과 수는 영하온도 처리에 의해 47.2% 감소하였다. 1년생 가지의 착과 신초 수는 그 가지의 눈 고사율 50% 이상 가지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특히, 정단부 3개의 눈에서 발생한 착과 수는 영하온도 처리와 이에 따른 눈 고사율 차이의 영향을 뚜렷하게 받았다. 영하온도처리를 받은 1년생 가지의 눈 고사율(X)과 정단부 3개의 눈에서 발생된 과실수(Y) 간 Y=-0.145X+12.950($r^2=0.4672^*$)의 유의한 관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감나무 발아초기에 영하 온도($-2^{\circ}C$, 3시간)의 영향을 받으면 신초 생장량이 감소되고, 눈 고사율 10% 증가함에 따라 1년생 가지(정단부 3개의 눈) 당 착과 수는 1.4개 감소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영하온도에서 다짐된 지반의 불포화 특성 (Unsaturated Soil Properties of Compacted Soil at Sub-Zero Temperature)

  • 이정협;황범식;조완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5-13
    • /
    • 2018
  • 최근 해빙기에 발생하는 지반붕괴로 인한 건설재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동절기에 시행되는 다짐시공과 관련이 많다. 영하온도에서 다짐을 실시할 경우 다짐효과가 감소하며 이에 따른 해빙기 지반의 거동 변화를 파악하는 것은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최근 국내 지반공학 분야에서 불포화 영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만큼 지반재료의 영하온도 다짐 및 동결융해에 따른 불포화 특성을 파악한다면 앞으로 관련 분야의 연구자들에게도 좋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절기 다짐에 따른 지반의 불포화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온($18^{\circ}C$)과 영하온도($-3^{\circ}C$, $-8^{\circ}C$)에서 수행한 다짐시험의 결과를 바탕으로 성형한 시료에 불포화 함수특성시험과 불포화 일축압축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시료에 동결융해를 반복적으로 가한 후 불포화 함수특성시험 및 일축압축시험을 수행하여 동결융해가 작용함에 따른 지반의 흡수력 및 불포화 특성의 변화를 파악하였다. 시험결과 영하온도에서의 다짐 및 동결융해에 의한 흡수력의 변화와 강도 및 강성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특히 풍화토의 경우 영하온도에서의 다짐과 동결융해가 진행될수록 강도와 흡수력이 상당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지반의 안정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영하에서의 다짐에너지에 따른 다짐 효과 평가 (Evaluations on the Compaction Energy Effects on the Soil Compaction at Sub-Zero Temperature)

  • 이정협;황범식;채덕호;조완제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6권8호
    • /
    • pp.13-20
    • /
    • 2015
  • 인구가 증가하고 자원이 고갈되면서 새로운 자원개발을 위한 대안으로 극한지 개발이 떠오르고 있다. 전 세계 육지 면적 중 14%가 극한지 지역에 해당되며, 이 지역들의 개발을 위한 해외극지 건설시장이 많이 확대되었다. 이미 선진국들은 극한지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기술 개발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는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 극한지 개발을 위한 기술이 선진국에 비해 매우 낮으며 관련 연구 또한 미약한 실정이다. 국내의 동절기 시공의 경우 지반동결에 의한 강도 및 변형특성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마련되어있지 않으며 현장에서의 간단한 지침을 통해서만 관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온($18^{\circ}C$), $-3^{\circ}C$, $-8^{\circ}C$에서 세립분 함량을 0%, 5%, 10%, 15%로 변화하면서 D 다짐 시험을 실시하여 영하온도에서의 다짐특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기존의 문헌연구와 비교를 통해 영하온도에서의 다짐에너지에 따른 다짐 효과에 대해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 영하온도에서 다짐에너지가 클수록 최대건조단위중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3^{\circ}C$에서의 D다짐 시험결과는 상온의 결과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8^{\circ}C$ 이하에서의 다짐시공 시 다짐성능의 저하가 상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로하부 함수비 계측을 위한 TDR 방식 함수비 센서 온도 민감도 분석 (Temperature Sensitivity Analysis of TDR Moisture Content Sensor for Road Pavement)

  • 조명환;이윤한;김낙석;지기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3권1호
    • /
    • pp.329-336
    • /
    • 2013
  •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의 하부구조는 보조기층, 동상방지층 및 노상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노상층의 경우 겨울철을 지나 봄이되면 동상효과에 따른 포장 파손과 여름철 장마 기간 동안의 수분 침투로 인한 지지력 감소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도로하부의 함수비를 계측하기 위하여 시간이력 반사방식(Time Domain Reflectometry, TDR)의 함수센서를 통하여 실시간 함수비를 계측하는 기술이 국내에 도입되었다. TDR 방식의 함수센서는 흙과 물의 유전율을 통하여 함수비를 측정하기 때문에 온도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특히 국내는 계절 영향을 받아서 겨울철 대기 온도가 지역적으로 영하 $20^{\circ}C$ 보다 낮은 온도를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영하의 측정 온도 범위에 대한 함수센서의 정확도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흙의 온도 범위를 영하 $2^{\circ}C$ 미만까지 확장하여 TDR 방식의 함수비 센서에 대한 온도 민감도 시험을 수행하였다. 체적함수비 20%와 30%에 대한 시험 결과 공시체 표면 온도가 영하로 떨어지면서 센서부근의 수분이 감소하고, 공시체 상부의 함수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함수센서에 대한 온도의 영향은 함수비가 낮을 경우 미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손상 핵연료의 온도 및 산소대 금속 비율의 변화 모형 연구

  • 서영하;박광헌;호광일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6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3)
    • /
    • pp.329-334
    • /
    • 1996
  • 손상 핵연료의 온도 및 산소대 금속 비율의 변화모형을 연구하였다. 열역학적 분석과 산화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손상핵연료에서의 핵연료 온도와 핵연료내 O/U값 변화를 기술함으로써 결함발생에 의한 핵연료내 냉각수 침투는 Gap conductance를 떨어뜨리고 소결체 산화에 따른 O/U값 증가로 열전달특성의 저하를 가져와 핵연료의 온도를 상승시킨다는 결과를 얻어냈다.

  • PDF

열사이펀의 열성능 산정을 위한 수치해석 연구 (Evaluation on Thermal Performance of Thermosyphon by Numerical Analysis)

  • 장창규;최창호;이장근;이철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9호
    • /
    • pp.57-66
    • /
    • 2014
  • 동토지역에서는 계절변화에 상관없이 항시 영하상태로 동결되어 있는 영구동토층과, 그 위로 동결융해가 반복되는 활동층으로 구성되어있다. 일반적으로 대기온도 변화에 따라 동결융해가 반복되는 활동층은 얼음과 물의 상변화 작용이 반복되기 때문에 지반의 융기현상과 침하현상, 그리고 영구동토층의 온도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 열사이펀이란 구조체 내부에 충전된 냉매의 자가적인 열순환을 이용하여 지반의 온도를 영하상태로 제어하는 지반 안정화 공법 중 하나이다. 열사이펀은 대기중에 냉매의 열을 방출하는 응축부와 지중에 열을 흡수하는 증발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대기의 온도가 영하의 상태일 때 지반의 온도를 영하상태로 제어한다. 본 연구에서는 열사이펀의 지반 열전달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모형지반에 단열재를 배치하여 열사이펀을 통한 지반동결실험을 수행하였다. 단열재의 열차단성 및 열사이펀 길이를 고려하여 단열재 및 열사이펀의 성능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에서 얻어진 물성치를 상용수치해석 프로그램인 TEMP/W에 반영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실내실험과 수치해석 방법을 통해 열사이펀의 열성능을 산정할 수 있었다.

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한 동토지반 안정화용 수직형 열사이펀의 성능평가 (Experimental and Numerical Investigation of the Performance of Vertical Thermosyphon for Frozen Ground Stabilization)

  • 이장근;이철호;장창규;최창호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45-56
    • /
    • 2014
  • 한대지역은 계절 변화에 따라 동결융해가 반복되는 상부의 활동층과 하부의 영하상태로 항시 유지되는 영구동토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대지역에서 여름철에는 동결되어 있는 지반을 융해시키기 때문에 지반 강도저하 및 침하가 발생한다. 이러한 강도저하 및 침하는 상부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에 문제를 야기시켜 활동층을 포함하고 있는 한대지역에서는 지반의 온도를 항시 영하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동결지반 안정화 공법이 필요하다. 열사이펀이란 구조체 내부에 충전된 냉매의 자가적인 열순환에 의해 지반의 온도를 항시 영하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지반 안정화 공법 이다. 본 연구에서는 열사이펀의 지반 동결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R-134a 냉매를 이용하여 충전율에 따른 열사이펀의 지반 온도제어를 실내실험과 수치해석을 통해 분석하고 열사이펀의 열전도율을 산정하였다.

한국형 체감온도지수 개발연구(I) -기존 체감온도지수 분포 및 민감도 분석 -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a Korea Wind Chill Temperature Index (I) - Focusing on the Distribution of Existing Wind Chill Temperature Index and Sensitivity Analysis of Model -)

  • 박종길;정우식;김은별;박길운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878-890
    • /
    • 2007
  • 이 연구는 한국형 체감온도지수를 개발 보급하기 위한 생명기상분야 기초연구로서 현재 기상청에서 사용하고 있는 체감온도 모델의 민감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한반도는 도심지역, 해안도서지역, 내륙지역, 산간지역으로 구분되었다. 평균기온의 경우, 해안도서지역에서 가장 높았으며, 산간지역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최저기온은 도심지역과 해안도서지역에서 영하 $20^{\circ}C$이고, 내륙지역과 산간지역에서 영하 $30^{\circ}C$로 나타났다. 풍속의 경우, 평균 풍속과 최대 풍속이 모두 해안도서지역에서 강하게 나타났다. 그리고 동계의 지역별 기온과 풍속의 분포는 전 기간의 분포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JAG/TI와 Missenard 모델의 민감도 분석 결과, 기온이 체감온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영하의 온도에서는 풍속의 영향이 증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