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재분야

Search Result 289,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A Study on the Gifted Education System in North Korea (북한의 영재교육 제도 고찰)

  • 강경석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1 no.3
    • /
    • pp.221-244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ifted education system in North Korea. The study analysed various literature, articles, and internet resources concerning education in general and gifted education in North Korea.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recent years North Korea has emphasized gifted education to advance the level of science and technology, especially in the field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mputer science. Second, North Korea already introduced the gifted education system by establishing music schools, foreign language schools, art schools, dance schools, and athletics schools in 1960. Third, North Korea has established special schools for the gifted in science since 1984. The schools play an important role in advancing the country's science and technology. Fourth, in North Korea there are special course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for the gifted in various fields. Fifth, North Korea has implemented the consistent and interrelated system of gifted education from kindergarten level to higher education level.

  • PDF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verbally gifted education (언어 영재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탐색)

  • 강승희;조석희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4 no.1
    • /
    • pp.91-114
    • /
    • 200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review the necessity and establish the direction of verbally gifted education. To fulfil purposes, the following studies were carried out: (1) The necessity of verbally gifted education was reviewed based on the social, educational and personal aspect. (2) The concept of verbal talent was reviewed. According to the research of verbal talent, we called a person who has a high level of language intelligence a verbal talent. Or verbal talent can also be a person who accomplished a high level in anyone area among reading, writing, hearing, speaking, and foreign language. (3) The present condition and research states of verbally gifted education were analyzed. (4) The direction of verbally gifted education were proposed.

정보과학 영재교육을 위한 학생선달과 교육내용

  • 예홍진;위규범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9 no.2
    • /
    • pp.131-152
    • /
    • 1999
  • 일반적으로 영재교육을 실시함에 있어서 가장 먼저 선행되어야 할 것은 영재아 판별기준을 정해 학생선발과정을 운영하는 것과 실제 가르칠 교육내용을 구체적으로 정의하여 교재를 개발하는 것이다. 특히, 최근에 각광받고 있는 정보과학 분야의 영재교육에 대한 연구는 이제 시작단계에 불과하여 서로 다른 이론적 근거와 주관적인 기준에 따라 전국의 과학연재교육센터들을 중심으로 다양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주대학교 과학영재교육센터에서 초등학교 4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운영되고 있는 정보과학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자세히 소개함으로써, 앞으로 정보과학 분야의 영재교육을 위한 구체적인 영재판별기준과 학생선발절차는 물론 체계적인 교육과정 및 교과목의 개발을 위한 하나의 실례로써 소개하고자 한다.

  • PDF

과학영재교육 체제 정립

  • 이군현;김하진;박찬웅;이용수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5 no.1
    • /
    • pp.121-144
    • /
    • 1995
  • 과학영재교육이란 수학 과학 분야에 창조적 사고를 가지고 탁월한 학문적 성취를 보일 가능성 있는 학생을 육성하는 것을 말한다. 현재 세계 각국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과학영재를 육성하고 있다. 본 논문은 과학영재 육성이 왜 필요한가를 살펴보고 국내외의 과학영재 교육현황을 분석한 후 한국의 과학영재교육 체제를 정립하는 것이 목적이다.

  • PDF

Theoretical Consideration on Concepts and Features of the Entrepreneurial Gifted (기업영재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

  • Choi, MinGyeong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3 no.6
    • /
    • pp.1117-1145
    • /
    • 2013
  • Research on entrepreneurial giftedness is in its initial stage and the importance is increasing these day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stablish a foundation of entrepreneurial giftedness research by conceptualizing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ial giftedness. The author reviewed prior research on entrepreneur and entrepreneurship, potential entrepreneur, gifted youth in invention, and entrepreneurial gifted youth, and proposed a new perspective on entrepreneurial gifted youth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review. Entrepreneurial giftedness proposed in this study is someone who is risk-taking to achieve opportunities and innovation and who has potential to be competent in managing resources. The author also proposed that entrepreneurial giftedness study needs to focus on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management ability, and practical intelligence. Finally, based on the findings from previous research on entrepreneurial giftedness, environmental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temperament and character, cognitive traits, and vocational interest of entrepreneurial giftedness are discussed.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The self-efficacy beliefs of gifted students in the area of sciences and High Achievers -Focused on Elementary School- (과학분야 영재학생과 학업우수학생의 자기 효능감 -초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 강영하;김신호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3 no.1
    • /
    • pp.1-19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elf-efficacy of gifted students in the area of sciences. For this purpose, The Self-efficacy Beliefs Inventory was administered to 220 5th and 6th gifted students and high achiever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general, academic, self regulated learning, and others’ expectation self-efficacy beliefs between gifted students and high achievers as well as among groups of gifted students. Second, the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s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in the mathematics self-efficacy beliefs. Third, the high achievers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in the language art self-efficacy beliefs. Fourth, the gifted students in mathematics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in mathematics self-efficacy beliefs. Fifth, the gifted students in science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in science self-efficacy beliefs. Sixth, the gifted students in IT were higher than other groups in computer self-efficacy beliefs. Seventh, the gifted students in IT were lower than other groups in social self-efficacy beliefs.

과학영재학교 교육과정 운영실태와 학생 반응분석

  • 문경근;박일영;박수경;정권순;추봉욱;곽미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Conference
    • /
    • 2003.11a
    • /
    • pp.165-166
    • /
    • 2003
  • 2002년 3월부터 영재교육법 시행령이 적용됨에 따라 과학기술부에서는 교육인적자원부, 부산광역시 교육청과의 협약을 통하여 부산과학고등학교를 과학영재학교로 지정하였으며 2003년 3월 신입생 입학 이후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과학영재를 조기에 발굴하여 맞춤식 교육을 체계적으로 실천함으로써 지식기반 사회를 선도할 수 있는 창의적인 과학영재를 육성하려는 과학영재학교의 설립목적에 부합되도록 계획, 운영, 평가되기 위해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운영 전반에 대하여 점검 및 분석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에 과학영재학교 운영상의 주요 측면인 교육과정 운영 분야에 대하여 그 실태와 학생 반응을 분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과학영재학교의 교육과정 기본 방침은 과학 분야에 대한 깊은 이해와 논리적, 비판적, 창의적 사고력과 태도를 통하여 지식을 창출하는 자기 주도적 탐구자의 양성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편제는 교과, 자율연구, 위탁교육 및 특별활동으로 구성되어있다. 교과에는 국어, 사회, 외국어, 예체능을 포함하는 보통교과와 수학, 과학, 정보과학을 포함하는 전공교과가 있다(과학영재학교 교수요목안내서, 2003). 본 연구에서 교육과정 편제, R&E, 교수학습 및 평가의 하위 영역별로 그 실태와 각 영역별 학생 설문 결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학교 교육과정 편제 및 운영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 심화 선택과목의 학점 비중을 더 높여야한다는 의견과 보통교과의 학점을 줄이고 전공교과의 학점을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상 학생들이 과학영재학교 선발과정에서 수학, 과학 각 분야별 우수자로 선발된 경우가 많아 학생 개인적으로 자신감을 가지는 과목만 집중적으로 학습하고자 하는 의도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영재교육과정의 운영지침(이상천, 2002)에 의하면, 대학 수준의 내용을 그대로 도입하는 속진보다 창의성과 사고력 계발에 보다 충실할 수 있도록 내용의 폭을 넓히고 접근방법을 달리하는 심화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고 운영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현재 개발된 교육과정 편성과 운영은 창의성 교육의 구현보다는 압축형 속진 교육과정의 특성이 강하여, 이와 같은 운영지침을 실현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므로 교육과정 편제의 개선이나 운영지침에 적합한 교육내용의 개발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R&E(Research & Education)는‘연구를 통한 교육’,‘교육을 통한 연구’를 의미하며 과학영재교육과정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자율연구와 위탁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다.

  • PDF

Observation Assessment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정보과학 영재교육에서 관찰 평가)

  • Won, Seo Seong;Kim, Eui-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10a
    • /
    • pp.595-598
    • /
    • 2009
  • 최근 영재 및 영재교육에 관련된 연구가 다방면에서 진행되고 있으며, 초기에 수학 및 과학 분야 위주로 이루어졌던 영재교육은 정보, 발명, 인문, 예술 등의 기타 분야로 점차 확대되어 가고 있다. 사회적으로는 고도화된 정보화 사회로의 진행과 더불어 정보과학에서도 영재교육데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정보과학의 학문적 역사가 짧고 그 범위의 설정이 어려운 만큼 정보과학 분야의 영재교육에 있어서도 대상자의 선발과 교육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특히 영재교육 대상자의 선정과 교육에 필수적인 평가 방식에 대한 학문적 연구가 부족하여 교육 방식의 보완과 창의적인 대상자 선발에 있어 개선에 대한 목소리가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러 형태의 평가 방식 중 관찰평가가 평가도구로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다면 평가의 측면에서 지필평가와 보완적 작용을 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2년간의 학습자들의 지필평가 성적과 관찰평가 중 리커트 척도 방식의 체크리스트와 서술형 관찰 기록지 사이의 상관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 하였다. 또한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체크리스트와 서술형 관찰기록지의 하위 항목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체크리스트의 하위항목 분석을 통해서는 태도와 문제해결 능력 간의 상관관계, 수학적인지영역과 문제해결 능력 간의 유의미한 상관 관계를 알 수 있었으며, 서술형 관찰 기록지 분석을 통해서는 투입 프로그램 적응 능력이라 할 수 있는 과정적 영역은 정의적 영역과 인지적 영역의 상관 관계가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평가 방식간의 상관 관계는 지필 평가와 관찰 평가의 유의미한 연관성이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즉, 정보과학 분야 영재교육 학습자의 잠재 능력이나 사회성, 창의성, 문제해결력 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지필평가와 더불어 관찰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며 다면평가의 측면에서 상호 보완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 PDF

Teachers' Perception on Differentiation of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from Gifted Education in Science (발명영재교육의 정체성 및 필요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 Lee, Jaeho;Park, Kyungbin;Jin, Sukun;Chun, Miran;Ryu, Jiyoung;Lee, Hangeun;Lee, Yunjo;Lee, Kyungpyo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24 no.4
    • /
    • pp.597-61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eachers recognize the differentiation of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to gifted education in scienc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more than 500 hundred school teachers to ask (1) if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is necessary as an independent area of gifted education, (2) if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should be differentiated in identification, education programs, councelling, facilities and so on to gifted education in science, and (3) what problems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are facing and how we can promote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Findings by this study are like the following: 1. Almost all teachers, regardless of whether their duty is related to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or not, recognized the necessity of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as an independent area of gifted education, especially from gifted education in science. 2. Teachers recognized the differentiation of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in diverse aspects of gifted education, like identification, educational programming, and so on, especially to gifted education in science. 3. Teachers recognized the shortage of trained teachers as the most critical obstacles to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 and also thought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as the most important means that can promote gifted education in inven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