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재교사

검색결과 390건 처리시간 0.026초

수학적 창의성과 개방형 문제(open ended problem)

  • Gwon, O-Nam;Jo, Yeong-Mi;Park, Jeong-Suk;Park, Ji-Hyeon;Kim, Yeong-Sil
    •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 /
    • 제16권
    • /
    • pp.217-218
    • /
    • 2003
  • 제7차 교육과정의 기본방향인 '21세기의 세계화 정보화 시대를 주도할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한국인 육성'에서 볼 수 있듯이, 새로운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의 창의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교과별 교육과정이나 재량활동 운영 등을 제시한 바 있다. 수학교육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발맞추어 수학적 창의력의 신장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동안 이론적인 측면과 실제적인 측면에서 수학적 창의성에 대한 성과가 축적되었다. 이론적인 측면에서 볼 때, Haylock(1987)등에 의해 창의력과 수학적 창의력의 구분되었으며, 특히 '수학적' 창의력에 대한 다양한 정의가 제안되었다. 실제적인 측면에서도 수학적 창의력을 측정하려는 평가 도구들이 그 동안 여러 가지로 개발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학적 창의력에 관한 전반적인 연구는 종국적으로 교실 수학수업에 반영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그리 만족스럽지 못한 상황이다. 특히, 교실에서 수학수업을 실제로 담당하는 교사들이 수학적 창의력을 위한 수업을 하고자 하더라도 당장 가까이에서 구할 수 있는 교수 학습 자료가 여전히 부족한 상황이다. 물론 그 동안 교실 수학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창의력 개발 프로그램이 전무한 것은 아니다. 그런데 그들 대부분은 게임이나 퍼즐을 이용한 것으로 그 수준이 단순 흥미유발에 그치고 있거나 소수의 영재아를 위한 소재를 중심으로, 특히 수학적 사고 과정을 따르기보다는, 시행착오를 거쳐 원하는 결과를 얻을 가능성이 많으며, 수학과의 연계성이 불분명한 채로 단순놀이에 그치는 경우가 적지 않아, 수업과 연관되어 창의력의 신장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적용하기 어려운 사례가 많다. 이러한 상황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자, 현재 교과교육공동연구 지원사업의 하나로 한국 학술 진흥재단의 지원을 받아, '개방형 문제(open-ended problems)'를 중심 소재로 한 '수학적 창의성'을 신장하기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개방형 문제라 함은 명백한 정의가 어렵지만 Pehkeon(1995)는 개방형문제의 정의를 명백히 하기위한 시도로서 그 반대로 닫힌 문제에 대한 정의로부터 시작하여, 어떤 문제가 닫혀있다고 하는 것은 그 문제의 출발 상황과 목표 상황이 닫혀 있는 것, 즉 명백히 설명되어있을 때라면 개방형 문제는 이와 반대의 개념임을 시사하였다. Silver(1995)는 개방형 문제를 문제 자체가 다른 해석이 가능하거나 서로 다를 인정할만한 답을 가질 수 있는 문제 또는 풀이과정이 다양한 문제, 자연스럽게 다른 문제들을 제안하거나 일반화를 제시할 수 있는 문제라고 정의하였다. 따라서 개방형 문제란 출발상황이나 목표 상황의 일부가 닫혀있지 않을 때를 말하고 문제의 조건을 만족하는 해답이 여러 가지로 존재하는 문제를 뜻한다. 수학적 창의력을 개발하는 데, 다른 문제 유형보다도, 개방형 문제가 유리하다는 점은 이미 여러 학자들에 의해 주장되어왔다. 미국 국립영재교육센터(NRCG/T)는 기존의 사지선다형이나 단답형 문제와 질문들은 학생들의 사고 능력에 관한 정보를 거의 알려주지 못하기 때문에 한 가지 이상의 답을 요구하는 ‘open-ended' 또는 ’open-response' 문제와 질문을 가지고 수학 분야에서의 창의적 사고 능력과 표현능력을 측정해야 한다고 하였고, 개방형 문제가 일반적으로 정답이 하나인 문제보다 고차원적인 사고를 요구하게 하는 문제 형태라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근거를 바탕으로 개방형 문제의 유형을 다양한 답이 존재하는 문제, 다양한 해결 전략이 가능한 문제, 답이 없는 문제, 문제 만들기, 일반화가 가능한 문제 등으로 보고, 수학적 창의성 중 특히 확산적 사고에 초점을 맞추어 개방형 문제가 확산적 사고의 요소인 유창성, 독창성, 유연성 등에 각각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20주의 프로그램을 개발, 진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개방형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력 신장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현장 학교에 실험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는 본 연구는 창의력 신장에 비중을 두는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에 실제적인 교수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교사들에게는 수학교실에서 사용 가능한 실제적인 활용방안을, 학생들에게는 주어진 문제를 여러 가지 각도에서 생각하면서 다양한 사고를 경험하는 기회를 가질 수 있어, 수학을 보는 학생들의 태도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PDF

An analysis of current condition of student's selection process in Hansung science highschool (한성과학고등학교 학생 선발과정의 현황 분석)

  • Dong, Hyo-Kwan;Jhun, Young-Seok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제13권4호
    • /
    • pp.65-9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cquire the information on the current situation of students' selection process in order to renovate the system of picking up the students. As a first step of the study, we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factors of the single-out system such as qualification and the process for the application and the standards and proceeding of the selection. Then we analysed the result of the entrance examination of Hansung Science Highschool in 2002. The analysis was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ult of entrance examination and the achievement in the school and the decision of the course after graduation. To know on the achievement of the students, we investigated the records of regular tests and asked the teachers' opinion in math and science classes. As a result, we gained the following points: First, the present single-out system has a danger of excluding students who are much talented in science and math field because it is based on students' achievements in middle schools; Second, the new selection system should consider the character and attitude of the applicants in addition to their knowledge; Third, the continuous observation of the teacher in middle school should be an important factor of the picking up system; Fourth, more questions requiring divergent thinking ability and inquiry skill should be developed as selective examination question. Also examination questions should cover the various contents from mathematics to science, and do not affect pre-learning; Finally, the system of present letting all students stand in one line should be changed into that of letting students in various lines. We can consider using multi-step selection system.

A Study on Nutrient Intakes,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in Gifted Athletic Boys -Focused on Gifted Athletic Boys in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do- (남자체육영재 선발자의 영양섭취, 신체조성 및 체력에 관한 연구 -부산, 울산, 경남지역 체육영재 선발자를 중심으로-)

  • Seo, Dae-Yun;Shin, Sang-Keun;Baek, Yeo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제39권7호
    • /
    • pp.966-974
    • /
    • 2010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racteristics between nutrient intakes,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in gifted athletic boys. The subjects were conducted in 50 boys aged 9~12 years living in Busan, Ulsan and Gyeongsangnam-do, Korea. Dietary intake information was collected from participants using 3-day food recorded and body composition was measur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and their anthropometric parameters were measured. Swimming group's daily energy intakes were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ose of other groups. Athletics and swimming groups were significantly taller than gymnastics. Swimmi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gymnastics group in weight, fat mass, body fat percent and lean body mass. Athletics and swimming groups were significantly longer than gymnastics group in sit and ball throwing. Swimming group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other groups in sit up, and athletics group was significantly faster than gymnastics group in 50 m run. In correlation result for nutrient intake and body composition: 1) Body weight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protein, phosphorus, sodium, vitamin $B_1$, C and niacin. BMI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sodium and niacin. Fat mass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niacin and folate. Body fat%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vitamin C, E, niacin and folate. LBM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all elements except lipid, calcium, vitamin A, C, E and folate. In correlation result for nutrient intake and physical fitness: 2) Push up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iron and vitamin C. Sit and throw ball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vents except lipid, fiber, vitamin A, E and folate. Sit up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vitamin $B_1$. Half squat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iron. Standing long jump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total energy, lipid, and vitamin A, B and $B_2$. Long run shows negative correlation with protein, carbohydrate, fiber, phosphorus, iron, sodium and zinc. Side step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niacin. Sit and reach shows negative correlation with total energy, carbohydrate, phosphorus, sodium, zinc and vitamin $B_2$. In correlation result for body composition and physical fitness: 3) Sit and throw ball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body weight, BMI, fat mass, body fat% and LBM. Standing long jump shows positive correlation with LBM. But long run and 50 m run shows negative correlation with body weight and LBM.

의사소통식 영어 발음지도

  • 김정렬
    • Proceedings of the KSPS conference
    • /
    • 대한음성학회 1997년도 7월 학술대회지
    • /
    • pp.45-60
    • /
    • 1997
  • 의사소통식 영어교수법은 Widdowson (1978)이래, 과거 20여 년간의 여러 외국어 교수 방법들을 (침묵식 교수법, Gattegno; 자연적 교수법, Terrell & Krashen; 전신반웅 교수법, Asher; 집단언어 학습법, Curran; 암시적 교수법, Lozanov) 거치면 서, 이들 중에서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한 여러 가지 방법을 총괄하여, 명실공히 외국어 교육 방법의 중심으로 그 자리를 갈수록 확고히 잡아가고 있다. 의사소통식 교수법은 우선 언어란 의사소통을 위한 수단이며, 의사소통은 사회 속에서 일어나는 사회 언어적 행위로 본다. 따라서, 외국어 교육의 목적을 무엇보다도 의사소통 기능의 숙달에 두는 것이다. 일반적인 의사소통 상황을 보면 발화내용의 문법적 정확성은 그 상황에 대한 내용의 적절성 여부에 비하면, 부수적인 것이다. 예를 들면, 사과를 하는 의사소통기능을 공부하면서, 사과하는 표현으로 Sorry라는 말을 썼다고 하자. 이때, 영어는 주어 생략 언어가 아니기 때문에, Sorry 대신에 문법적으로 완전한 문장인 I'm sorry 로 표현해야 한다는 문법적인 문제보다는 사과하는 표현이 그 상황에서 적절하게 쓰인 것인지를 묻는 것에 초점을 맞춘 것이 의사소통식 교수 방법이다. 현재, 초등학교 16 종 영어 교과서도 의사소통 기농들을 적절한 상황에 맞춰서 의사소통식 교수 방법의 정신을 비교적 잘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발음에서만큼은 아직도 의사소통식 교수방법을 무시하고, 정확한 발음의 명시적인 설명이나, 예시에 그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러한 경향은 교육부에서 고시한 제6차 교육과정과 이에 따른 해설서에서 되풀이되고 있다. 발음지도에 많은 관심을 기울여 많은 양의 지면을 할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후에 흐르는 의사 소통식 영어교육의 맥을 완전히 끊고, 단지 정확한 발음의 해부학적 예시와 기술에 그 치고 있다 (임영재 외 1995). 이러한 발음기관의 단면도를 이용한 해부학적 발음의 예시는 특정 자음의 정확한 혀의 위치를 알려 줄 수는 있지만, 발음훈련을 대신하지는 못한다. 예를 들어, 자전거를 타고자 하는 사람이 자전거의 페달을 밟았을 때, 그 동력전달 과정을 자세히 소개한 책자를 읽었다고 해서, 자전거를 탈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역시, 자전거를 타고자 하면, 실제로 타고 넘어지면서 배우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발음훈련의 경우 교재의 내용이나 의사소통 기능은 의사소통식으로 가르치면서도 발음만큼은 아직도 원어민의 입모양을 활용한 듣고 따라하기 식의 전통적인 방법의 발음훈련을 계속하고 있다. 이러한 전통적 발음훈련 방법은 구체적으로 다음 장에서 제시되겠지만, 초등학교에서 듣고 따라하기나 듣고 골라내기와 같은 방법으로 발음훈련을 하면, 많은 학생들이 쉽게 지루해 하고, 아마 영어시간 중에서 가장 싫어하는 시간이 발음연습 시간이 될 가능성이 많이 있다. 현재 의사소통식 교수 방법을 모태로 한 교과서에서도 의사소통식 발음지도법을 쓰지 않았다는 것은 새로이 시작하는 초등학교 영어교육에서 아쉬운 점이라 아니할 수 없다. 초등학교 학생들에 대한 발음 지도의 핵심은 그들의 지적, 정서적, 신체적 특징을 잘 고려해야 한다. 초등학교 학생은 지적, 정서적, 신체적으로 성장기에 있어서, 호기심이 많고, 모방성이 강하며, 감수성이 예민하여 마음에 상처를 받기도 쉽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끊임없이 신체적으로 움직이고 싶어한다. 이러한 학생들의 특정 을 반영하여 발음을 지도하는 길은 역시 초등학교 교과서의 다른 영역들처럼, 학생들은 움직이는 활동을 하면서 재미를 느끼고, 교사는 이들 활동을 통해서 교수목표를 성취하는 쪽으로 맞추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발음지도가 필요한 이유와 요인을 살펴본다. 그리고, 전통적인 발음지도 방법을 일별해 보고, 의사소통식 발음지도법을 제시하는 순으로 논의를 전개하기로 한다.

  • PDF

The Effects of Astronomical Animation Module on Earth Science Gifted Students's Conceptual Change of Diurnal Motion (애니메이션 모듈이 지구과학 영재학생들의 별의 일주운동 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 Cho, Kyu-Seong;Chung, Duk-Ho;Kim, Bo-Hee;Park, Kyeong-Su;Park, Kyeong-Ji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제32권2호
    • /
    • pp.200-21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stronomical animation module on students' conceptual change regarding the concepts of diurnal motion of stars. Four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who never learned about the diurnal motion of stars. An animation module was developed by using Flash MX to readily understand the concept of space. In addition, we inserted a teacher's voice with supplementary materials into the animation module to help students learn individually. The animation module was comprised of the movement of the Earth, the Moon and the planet. The earth science gifted students' preconception on diurnal motion of stars was analyzed with pre-test using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fter the instruction with animation module, the effect of conceptual change was examined by comparing pre and post-te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ree students correctly presented about the motion of the star by all directions in middle latitude. Four students showed their understanding that stars travelled straight in all directions. Finally, all of four students whose preconceptions were that the star rotated perpendicularly showed the conceptual change of diurnal motion that the star traveled diagonally.

환경교육진흥법 시안 개발 제정 연구

  • 최석진;신호상;이재영;이선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Edudation Conference
    • /
    • 한국환경교육학회 2002년도 환경교육진흥법 시안 개발.제정 연구(한국환경교육학회)
    • /
    • pp.1-168
    • /
    • 2002
  • 이 연구는 지난 20여 년 동안 우리나라 환경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많은 연구자, 학교 교사, 환경단체 지도자가 제안해 온 과업을 다루고있다. 그것은 학교 안팎에 걸쳐 요람에서 무덤까지 환경교육이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법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다. 법제적 뒷받침이 환경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충분조건은 되지 못하더라도 필요조건으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는 점은 분명하다. 이 연구를 수행한 사단법인 한국환경교육학회는 국회환경포럼과 함께 환경교육진흥법(가칭) 시안의 개발과, 나아가 실질적인 입법화를 위해 노력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우리나라에 이미 존재하는 도서벽지 교육진흥법, 특수교육진흥법, 산업교육진흥법, 영재교육진흥법, 과학교육진흥법, 유아교육진흥법, 이상 여섯 개의 교육진흥법을 분석하여 환경교육진흥법 시안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외국의 환경교육 관련법에 대한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미국의 경우 1970년 처음 환경교육법이 제정된 이후 몇 차례의 개정과 재승인 과정을 거쳐왔다. 미국에서는 1990년에 제정된 국가환경교육법의 재승인에 관한 공청회가 지난 2000년 여름 동안 개최되어 환경교육법의 필요성, 효과, 고려할 조항 등 본 연구에 중요한 참고 자료를 얻을 수 있었다. 본 학회의 다른 연구진에 의해 2001년 10월에 완료된 제2차 환경교육 중 ·장기 강화방안 연구의 결과물도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시안에 담아야 할 내용과 방향을 결정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을 주었으며, 이를 토대로 연구진과 국회환경포럼의 환경교육활성화위원회의 위원이 윤독과 수정을 거쳐 시안의 타당성과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작성된 시안에 대해서는 먼저 국내의 환경 또는 환경교육 관련 전문가에게 설문지를 보내어 의견 수렴을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시안에 포함된 대부분의 항목에 대해 높은 찬성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밖에 설문지로부터 수정 ·보완 요청 사항을 정리하여 최종 시안을 작성하는데 반영하였다. 끝으로 10월 26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개최된 공청회를 통하여 다양한 집단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공청회 동안 제시된 의견들을 반영하여 최종 시안을 작성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작성된 환경교육진흥법 최종 시안은, 제1조 목적에서 제11조 환경교육연구의 진흥에 이르기까지 총11조로 구성되었으며, 환경교육사 자격증제 및 환경교육 프로그램 인증제 등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할 수 있는 방안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특히 환경교육진흥법의 주무 부처를 환경부로 제안한 것은 기존의 교육 관련 진흥법들이 교육인적자원부를 주무로 하고 있는 것에 비해 매우 특기할 만 하다. 그 이유는 본문에서 밝힌 바와 같이 환경교육이 갖고 있는 특수성 때문이다. 환경교육진흥법의 주무 부처를 환경부와 교육인적자원부 중 어디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가에 대해서는 연구진 내부는 물론 공청회에 참가한 사람들 사이에도 이견이 있었음을 밝혀 둔다. 끝으로, 이 연구에서 마련된 시안과 연구 결과가 최종적으로 속히 법제화가 되고, 우리나라 환경교육 진흥에 기여하게 되기를 바란다.

  • PDF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gical Thinking Level and the Achievement in Enrichment Physics of School Science High Achievers (학교 과학 우수아들의 논리적 사고력 수준과 물리심화 학습성취도의 상관 조사)

  • Kim, Young-Min;Lee, Sung-Y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제21권4호
    • /
    • pp.677-688
    • /
    • 2001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school science high achievers' achievements in enrichment physics, logical thinking level,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ogical thinking level and the achievement in enrichment physics of high achievers in science. The subjects were 357th and 8th graders who achieved highly in school science. To assess their achievements in enrichment physics, we developed a new test consisting of descriptive problems which were based on middle school curriculum. Those problems require one or two steps of thinking process, not simple knowledge of science. To assess logical thinking level, we used the instrument called GALT(Group Assessment of Logical Thinking) developed by Roadranka et a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hool science high achievers' average achievement in enrichment physics was low, 56.3 out of 150, which indicated that they had not done much of enrichment learning beyond middle school science curriculum. Just only 54% of the school science high achievers are in formal logical thinking level. From the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their logical thinking level and the achievement in enrichment physics, the value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174, which means that they are not almost correlated. Therefore, it is not desirable to judge science gifted children just from achievement in school science or enrichment physics, so both(logical thinking and the achievement in enrichment physics) tests should be taken for selecting gifted student.

  • PDF

A Comparative Analysis of Student Self-, Teacher-, and Objective Assessments of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초등과학영재학생의 과학창의성에 대한 자기 평가, 교사 평가, 객관적 평가의 비교 분석)

  • Kim, Min-Ju;Lim, Chae-Seong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제37권4호
    • /
    • pp.440-454
    • /
    • 2018
  • This study aims to compare student self-, teacher-, and objective assessments of elementary science-gifted students' scientific creativity. A science-gifted program on the topic of Hydraulic Machine was implemented to 40 fifth-graders in the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of an education office in Seoul, Korea for four weeks. The products of the students' activities were assessed by three types of 'Student Self-Assesment', 'Teacher-Assesment', and 'Objective Assessment using Formula'. Based on two essential components of creativity, the scientific creativity is divided into two parts of originality and usefulness. Ideas that satisfy both components can be counted as scientifically creativ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each week and the average of the overall four-week scores on scientific creativi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Student self-assessment (r=.687), teacher-assessment (r=.715), and objective assessment (r=.724) appeared consistently over instructional periods. Second, the average scores of student self-, objective, and teacher-assessments were 73.15, 35.72, and 26.60, respectively. The result of student self-assessment on scientific creativity tended to be higher than those of formula and teacher. Third, among the three types of assessment on scientific creativity, a strong correlation appeared between teacher- and objective assessment (r=.974), but neither between student self- and objective (r=.161) nor between student self- and teacher- (r=.213). Fourth, the scores on originality component ha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eacher- and objective assessment (r=.713). The scores of student self- and teacher-assessments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too (r=.315), but not between student self- and objective assessment (r=.279). Fifth, the scores on usefulness component did not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student self- and teacher-assessment (r=.155). Six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scientific creativity between student self- and objective assessment [${\chi}^2$(1, n=40)=1.667, p<.197]. Not between student self- and teacher-assessment either [${\chi}^2$(1, n=40)=1.616, p<.204]. On the contrar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 and objective assessment [${\chi}^2$(1, n=40)=32.593, p<.000]. Seventh, the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s of their scores by student self- and teacher-assessment. The result showed that factors influencing student self-assessment are inherent in the personality traits of gifted individuals, such as self-esteem and perfectionism. The findings suggested that there are challenges for the educators to make efforts to construct consistent assessment methods for scientific creativity.

Past and Present of Science High School Graduates: Comparison of Productivity in Science Field Based on High School Academic Achievement (과학고 졸업생들의 과거와 현재: 과학고 학업성취수준에 따른 전문과학분야의 성취 비교)

  • Ahn, Doe-Hee;Hong, Ah-Jeong;Cho, Seok-Hee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제21권3호
    • /
    • pp.631-658
    • /
    • 2011
  • The impact of the academic achievements of science high school graduates during the science high school period on their creative productivity, higher education, occupation, and income were investigated with 244 science high school graduates who belonged either to top 30% or bottom 30% in terms of their high school GPA. The factors contributed to the choice of current occupations and life were also investigated through retrospective approach.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44 adults who graduated from 18 science high schools before 2001. Thirteen graduates who completed questionnaire were interviewed face-to-face. Their ages ranged from 28.00 to 42.84. The high achievers were belonged to top 30% and the low achievers were belonged to the bottom 30% and the two groups demonstra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higher education and creative productivity. More doctoral degree holders and more number of creative products were found in the high achievers than the low achievers. 58.1% of the high achievers and 42.7% of the low achievers were working as professional scientists. Significantly more high achievers were working on tasks which require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their incom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low achievers. For both groups, parents were the most significant individuals and then teachers were the second most important persons who impacted to their life and the choice of their occupation. Interviews with 13 graduates confirmed the survey results especially in their choice of life style and occupation. They were also influenced the most by parents, then teachers, and their friends who were more interacting with the socioeconomic environment when they selected university, major, and occupation. The results implies that high school achievement ha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future achievement to some extent and schools need to provide guide on the career choice not only to the students but also to their parents, since students' career choices are much influenced by their parent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earning on Geological Field Trip Utilizing on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과학적 모델의 사회적 구성을 활용한 야외지질학습 개발 및 적용)

  • Choi, Yoon-Sung;Kim, Chan-Jong;Choe, Seung-Ur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제39권2호
    • /
    • pp.178-192
    • /
    • 201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evelop and apply on learning on geological field trip utilizing the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We developed field trip places by considering not only Orion (1993)'s novelty space but also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2015 national curriculu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8 in the 'G' science gifted education center. We conducted a study using the theme of 'How was formed Mt. Gwanak?' on 5 lessons including a series of 2 field trip lessons and 3 lessons utilizing the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Students participated in pre- and post-test on the understanding of scientific knowledge about formation of mountain. Semi-structured interview was used to analyze students' learning about geological field trip in terms of affective do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2 places of upper-stream valley and down-stream valley separately. They contained outcrops gneiss, granite, joint in the valley, xenolith, fault plane, mineral in the valley. Second, pre- and post-test and semi-structure interview were analyzed in terms of what scientific knowledge students learned about and how Mt. Gwanak was formed. Seven students explained that Mt. Gwanak was volcano during pretest. Seven students described how granite was formed to form Mt. Gwanak. They also understood geological time scale, i.e., metamorphic rock. Third, the geological field trip was effective to low achievement geoscience students as they engaged in the activities of field trip. Using positive responses on affective learning was effective on learning on geological field trip when utilizing the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This study suggests that teachers use an example 'model' on geoscience education.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eachers apply the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to geological field tr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