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의 계수

Search Result 1,002, Processing Time 0.045 seconds

Automatic Calibration of Variable Roughness Coefficients of the FLDWAV Model (FLDWAV 모형의 가변 조도계수 자동추정에 관한 연구)

  • Kim, Jin-Soo;Jun, Kyung-Soo;Lee, Kil-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314-318
    • /
    • 2005
  • 잠실 및 신곡 수중보의 영향을 모의할 수 있도록 개선된 FLDWAV 모형을 한강 하류부의 하천구간에 적용하여 모형의 보정을 수행하였다. FLDWAV 모형에 포함된 자동추정 기법을 적용하여 부분 선형함수 가변 조도계수 모형의 매개변수를 추정하였다 팔당대교부터 전류까지의 하천구간을 3개 구간으로 구분하고, 유량 등급별 조도계수의 초기 가정치를 변화시켜 가며 각 경우에 대하여 홍수사상별로 매개변수 추정을 수행하였다. 최소유량(영) 등급 및 최대유량 등급에 대한 조도계수 추정치들은 초기 가정 값에 민감하여 초기치가 최종 추정치로 종료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였다. 대부분의 홍수사상에 대하여 추정 매개변수를 사용한 계산수위와 관측수위의 편차 합은 영에 근접하나, RMS 오차는 다양한 값들을 나타내었다. 양의 오차들과 음의 오차들이 서로 상쇄됨으로써 편차가 영에 근접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하였으며, 이는 편차 합을 최소화하는 목적함수를 만족시키는 최적해가 유일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 PDF

Integer-Valued GARCH Models for Count Time Series: Case Study (계수 시계열을 위한 정수값 GARCH 모델링: 사례분석)

  • Yoon, J.E.;Hwang, S.Y.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8 no.1
    • /
    • pp.115-122
    • /
    • 2015
  • This article is concerned with count time series taking values in non-negative integers. Along with the first order mean of the count time series, conditional variance (volatility) has recently been paid attention to and therefore various integer-valued GARCH(generalized autoregressive conditional heteroscedasticity) models have been suggested in the last decade. We introduce diverse integer-valued GARCH(INGARCH, for short) processes to count time series and a real data application is illustrated as a case study. In addition, zero inflated INGARCH models are discussed to accommodate zero-inflated count time series.

Zero-Inflated INGARCH Using Conditional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Data Application (조건부 포아송 및 음이항 분포를 이용한 영-과잉 INGARCH 자료 분석)

  • Yoon, J.E.;Hwang, S.Y.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8 no.3
    • /
    • pp.583-592
    • /
    • 2015
  • Zero-inflation has recently attracted much attention in integer-valued time series. This article deals with conditional variance (volatility) modeling for the zero-inflated count time series. We incorporate zero-inflation property into integer-valued GARCH (INGARCH) via conditional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marginals. The Cholera frequency time series is analyzed as a data application. Estimation is carried out using EM-algorithm as suggested by Zhu (2012).

A Movement-based Mobility Tracking Scheme for Microcellular Networks (마이크로셀룰라 망을 위한 이동횟수 기반 위치관리 기법)

  • 이호수;조영종;임재성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elematics and Electronics S
    • /
    • v.36S no.5
    • /
    • pp.21-29
    • /
    • 1999
  • 이동횟수 기반 위치갱신 기법에서 고정망과의 접속은 단말 내부의 계수기가 이동횟수 임계치에 이르러 위치갱신이 수행되거나 신규호가 발생할 경우에 행해진다. 그러나 단말의 계수기가 임계치에 이르는 동시에 단말이 이전 위치갱신이 수행된 셀(중앙셀)로 재진입이 발생할 경우 불필요한 위치갱신이 수행된다. [2]에서는 중앙셀로 재진입이 발생하는 경우의 불필요한 위치갱신 수행을 제거하기 위해 중앙셀로 재진입이 발생할 경우 계수기를 영으로 초기화한다. 본 논문에서는 [2]의 기법을 일반화하여 위치갱신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개선된 기법을 제안한다. 본 기법은 단말이 셀 사이를 이동하는 동안 단말은 자신이 방문한 셀과 이동횟수에 관한 정보를 저장한다. 단말이 이미 방문한 셀로 재진입이 발생할 겨우 이동횟수 계수기를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이전 방문시 저장하였던 이동횟수로 재조정한다. 이러한 이동회수 계수기의 재조정 방법을 통하여 불필요한 위치갱신과 신호절차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2]의 기법은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 중에서 중앙셀로 재진입할 때만 계수기를 영으로 재조정하는 특수한 경우에 해당된다. 본 기법이 전체 위치관리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음을 증명하기 위해 다양한 환경에서의 성능분석 및 수치적 결과를 통해 알아 본 결과 호 도착 비율당 전체 위치관리 비용이 평균 17-26% 절약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Development of a Laboratory Test Device for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Light-weight Impact Sound (경량충격음 성능 평가를 위한 실험실용 시험장치 개발)

  • 양수영;홍병국;송화영;김범수;이동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2004.05a
    • /
    • pp.505-508
    • /
    • 2004
  • 단열완충재 제품간의 경량충원 저감성능 평가를 객관적이고 신속하게 판별하기 위하여 실험실용 시험장치를 개발하였다. EVA계열 및 EPPㆍEPS계열의 단열완충재들에 대한 경량충격원 시험에서 제품간의 성능비교가 가능하였으며, 동탄성계수 및 손실계수 측정과 병행함으로써 제품들간의 우열성을 보다 정밀하게 평가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Voiced, Unvoiced and Silence Classification (유, 무성음 및 묵음 식별에 관한 연구)

  • 김명환;김순협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3 no.2
    • /
    • pp.46-58
    • /
    • 1984
  • 본 논문은 한국어 음성 인식을 위한 유성음, 무성음, 묵음 식별에 관한 연구이다. 주어진 음성 구간을 3가지 음성 신호 부류로 식별하기 위하여 패턴 인식 방법을 사용하였다. 여기에 사용한 분석 파 라메타는 음성 신호의 영교차율, 대수 에너지, 정규화 된 첫 번째 자동 상관 계수, 선형 예측 분석에서 얻은 첫 번째 예측 계수, 그리고 예측 오차의 에너지이다. 한편 측정된 파라메타들이 다차원 가우스 확 률 밀도 함수에 따라 분산되었다는 가정하에서 어어진 최소 거리 법칙에 기본을 두고 음성 구간을 결정 하였다. 측정된 파라메타들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조합하여 식별한 결과 영교차율, 첫 번째 예측계수, 예측 오차의 에너지를 측정 파라메타로 사용했을 때 1%보다 적은 식별 오차율을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