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어 독해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1초

게이미피케이션 기반의 퀴즈 활동이 정형화 배열 회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sing Gamification-Based Quiz on Recalling Formulaic Sequences)

  • 이지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589-596
    • /
    • 2022
  • 본 연구는 게이미피케이션 기반의 퀴즈 활동이 정형화 배열의 회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 소재 대학의 교양 영어 수업을 듣는 신입생 87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교재는 Marvel Cinematic Universe과 Twilight 및 Harry Potter 등 유명 프랜차이즈의 내용을 소재로 하는 EFL 교재를 이용하였다. 실험은 어휘 학습, 독해하기, 작문하기 순서로 진행하였다. 네 번째 활동은 두 집단에서 다르게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은 게이미피케이션 기반의 퀴즈를 이용하여 정형화 배열을 연습하는 활동을 하였고, 비교집단은 독해한 내용을 요약하는 활동을 하였다. 평가는 정형화 배열 의미 회상과 형태 회상으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평가 결과, 정형화 배열 의미 회상 평가에서는 집단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 정형화 배열의 형태 회상 평가에서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높은 점수를 나타냈고 이는 유의미한 차이로 나타났다.

의미망 활동과 수준별 학습을 통한 영어 독해력 향상 방안 (The way to improve EFL reading skill: Focusing on semantic mapping and leveled group activities)

  • 임병빈;장세숙
    • 영어어문교육
    • /
    • 제7권1호
    • /
    • pp.137-160
    • /
    • 2001
  • This paper is to suggest the way to improve EFL reading skill through semantic mapping by leveled group activities. Semantic mapping is a categorical structuring of information in graphic forms or diagrams. It can be used to activate and organize background knowledge on topics in classrooms. For small group activities, the class is divided into higher leveled groups and lower leveled groups of four members based on their grades. The teaching process has three stages: Pre-reading, while-reading, and post-reading. In the pre-reading stage, students discuss what they know about the topic. They map ideas with a brainstorming technique. In the while-reading stage, they read the text about the topic. While they are reading, they could ask some questions they might have and discuss the information in the text and categorize them with semantic mapping. In the post-reading stage, they discuss what they thought of the topic and add some information about the topic with semantic mapping. F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i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41 studen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35 students for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period covered almost one semester from March to August, 200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higher scores in reading comprehension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when semantic mapping was used; 2) The use of semantic mapping in reading comprehension was found to be much more effective in the higher leveled group than in the lower leveled group; 3)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showed that many students became more interested and motivated in English, and semantic mapping helped them to participate positively in reading the English text. Thus, using semantic mapping by leveled group activities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to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for teachers who desire to improve reading skill in middle school students' English classes.

  • PDF

내용과 형식 스키마가 독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ntent and formal schema on reading comprehension)

  • 연준흠
    • 영어어문교육
    • /
    • 제3호
    • /
    • pp.95-122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ntent and formal schema on reading comprehension. Five hundred fiftynine subjects from high school were assigned to one of the following levels and treatment conditions : (1) Higher level & Schema Activation, (2) Higher level & Non-schema Activation, (3) Lower level & Schema Activation, and (4) Lower level & Non-schema Activation. To evaluate the effects of schema activation.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 one was related to the content schema and the other to the formal schema.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ntent schema, three different types of tests were conducted : (1) cloze test, (2) guessing the meanings of nonsense words, and (3) immediate recall test. To evaluate the effects of formal schema instruction, four kinds of tests were conducted : (1) sorting the sentence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2) identifying the signal words, (3) immediate recall test, and (4) identifying the specific information. For content schema condition, results indicated that the subjects given the titles or pictures before reading in "Content Schema Activation" treatment had better grades than those of the other treatment in all types of tests. regardless of their levels. Schema activation helped the subjects to increase the cognitive predictability of missing words and to participate in the tasks more actively with risk-taking. And it was also shown that good readers tend to process the words meaningfully, while poor readers tend to process the words phonetically or morphologically. Formal schema activation through teaching the text organization also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ree types of tests: sorting the sentences according to the importance, identifying the signal words, and immediate recall test, but not on identifying the specific information. The implications from this study can be briefly noted as follows : (l) In teaching reading, the student's background knowledge should be activated as a pre-reading activity. (2) In reading, it is more important to emphasize the student's schema than the features of the text. (3) Various educational interventions should be introduced, especially for the lower level students. (4) Teaching text structures can be a powerful method for the top-down processing strategy.

  • PDF

한국 촌락사회지리학의 주요 개념 모색 (A Consideration on the Major Concepts of Rural Social Geography in Korea)

  • 전종한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53-368
    • /
    • 2005
  • 한국의 사회지리학은 영미 계통의 도시사회지리학을 중심으로 연구되어 왔으며 촌락사회지리학에 대해서는 개념적, 이론적 논의가 매우 빈곤한 편이다. 이 글에서는 20세기 전반 동안 촌락 경관에 대한 사회지리학적 연구로 시작된 독일 사회지리학의 개념적 기초를 파악한 후, 1980년대 이후 크게 발달한 영어권 촌락사회지리학의 등장 배경과 연구 동향을 조망하였다. 국내외 선행 연구들을 검토하면서 촌락 경관이 촌락성의 표상이며 지방과 국가 정체성의 핵심 요소가 된다는 점, 그리고 물리적 실체일 뿐만 아니라 사회적, 정신적, 문화적 실체라는 점을 정리할 수 있었고, 이러한 인식 위에서 한국 촌락의 경관적, 장소적 보편성과 특수성에 상응하는 주요 개념들을 모색해 보았다. 연구자는 이것을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는데, 지리적 사회집단으로서의 종족집단, 사회집단의 지역화과정, 사회적 공간으로서의 촌락권이 그것이다. 특히 전통 문화의 산실로서 촌락경관은 일상적 삶, 농업, 관광 사업의 중심에 있고 각 지역의 정체성은 물론 국가 정체성을 구성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고 있다. 이에 편승하여 최근에는 학제적 수준에서 마을 연구가 크게 부흥하고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지성 세계의 동향에 촌락지리학이 동참하기 위해서는 사회지리학적 개념들과 역사지리적 시각에서 복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 제안하였다.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과 중요도에 대한 집단 간 인식차이 (A Study on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Perception of the Level and Importance of the Key Competencies of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 안광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2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기초능력 수준과 중요도를 측정하고 향상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대상자는 공업계 고등학교에서 산학협동교육을 담당하는 담당자 12명과 기업체 현장실습 담당자 7명 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 직업기초능력의 여러 부분에서 산학협동교육 담당 교사와 기업체 업무 담당자 사이에 인식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어문서이해능력에서는 두 집단 모두 수준과 중요도를 낮게 평가하여 직업기초능력으로 재고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직업기초능력에 추가되어야 할 능력으로는 한자 독해능력, 경청 능력 등으로 밝혀졌다. 직업기초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이 습득해야할 직업기초능력의 수준을 정확히 규명하고, 이를 근거로 직업기초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세계 각국의 국가도서관에 있어 태권도관련 목록레코드 비교 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Cataloging Records Related to Taekwondo in the National Libraries of the Various Countries)

  • 김정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55-77
    • /
    • 2021
  • 태권도의 역사적 배경과 용어 특성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53개 국가도서관 목록레코드를 조사하여 태권도관련 자료의 표기 실태 및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태권도관련 자료가 미국, 독일, 중화민국, 영국, 스페인 등 일부 특정 국가도서관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한 건도 검색되지 않은 곳이 4개 국가도서관에 달했다. 둘째, 태권도관련 자료의 표제 키워드는 직접적으로 태권도를 의미하는 용어가 93.5%이고, 기타 한국 무예, 한국 호신술, 한국 가라데 등이 6.5%로 나타났다. 자료의 언어별 빈도는 영어가 38.7%, 독일어, 스페인어, 중국어, 한국어 등이 각각 8~9%이다. 태권도의 로마자 번자는 'Taekwondo' 50.3%, 'Tae kwon do' 18.5% 등이다. 셋째, 태권도관련 목록의 주제명은 실제적인 의미가 태권도를 나타내는 주제명이 74.7%로 대부분이지만, 가라데를 의미하는 주제명이 7.6%, 일반 주제명 5.7%, 주제명이 기술되지 않은 경우가 12.0%로 나타났다. 이는 일부 국가도서관에서 태권도를 가라데로 잘못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임상병리학, 검사의학, 의료생물학 관련 지원보건직 명칭에 대한 제안 (Job Title Recommendations for Allied Health Professionals Related to Clinical Pathology, Laboratory Medicine, and Medical Biology)

  • 구본경;임대진;김상원;김철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1-8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병리사의 전공과 직업에 정체성을 부여할 수 있는 용어를 찾는 것이다. 임상병리학이라는 용어는 병리학의 모든 분야, 즉 해부병리학, 화학병리학, 혈액학, 미생물학 및 이들의 모든 하위 전문 분야를 포함하도록 의도되었다. 불행히도, 많은 나라에서 임상병리학이라는 용어는 해부병리학을 배제하는 것으로 생각되었는데, 이는 이름이 영어 이외의 언어로 번역되었을 때 문제가 복잡해졌다. 임상병리학(미국, 영국)은 의학의 한 전문 분야이다. 유사한 용어로는 검사의학(독일, 폴란드), 의료/임상생물학(프랑스, 네덜란드) 또는 임상분석학(스페인)이 있다. 의료기술은 개인, 회사 및 기관과 같이 질문하는 사람에 따라 약간 다르게 정의된다. 물론, 질문하는 언어에 따라 다르다. 의료기술은 임상검사기술학, 지원보건과학, 의료기기, 의생명공학, 보건기술로도 번역될 수 있다. 지원보건과학에서는 '임상병리기술학·병리기술학'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보건계열 임상병리학 및 임상병리사'의 명칭은 '의생명검험과학·의생명검험사' 또는 '임상검사분석학·임상검사분석사'로 대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문과 자격의 명칭을 '의생명'이 결합된 용어로 '의료생물학·의료생물사'로 변경할 것을 제안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