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어전치사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34초

한국 대학생 영어학습자들의 문법 습득에 있어 챗봇의 효과 (The Effects of Chatbot on Grammar Competence for Korean EFL College Students)

  • 안수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3호
    • /
    • pp.53-61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챗봇이 한국 대학생 영어학습자들에게 전치사와 관사 두 목표 문법을 습득하는데 효과적인지 실험하기 위한 것이었다. 필수 영어 과목을 수강한 46명의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참여자들은 실험군과 통제군. 두 그룹으로 무작위로 선별되었다 (각 그룹 23명). 실험 그룹은 6주 동안 챗봇과 6번의 채팅 세션을 가졌다. 사전·사후 실험을 통해 영어 작문에서 목표 문법의 오류 빈도의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효과를 검토했다. 실험결과는 챗봇과의 대화 후에 실험군이 전치사와 관사 모두에서 누락 오류의 평균을 유의하게 줄였다는 것을 보여줬다. 다른 오류 범주에서 큰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단답형 또는 부정확한 답변을 줄이고 챗봇과의 대화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챗봇 피드백이 개선되어야 한다.

최대 엔트로피 부스팅 모델을 이용한 전치사 접속 모호성 해소 (Resolving Prepositional Phrase Attachment Using a Maximum Entropy Boosting Model)

  • 박성배;장병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2)
    • /
    • pp.670-672
    • /
    • 2002
  • Park과 Zhang은 최대 엔트로피 모델(maximum entropy model)을 실제 자연언어 처리에 적용함에 있어서 나타날 수 있는 여러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최대 엔트로피 모델(maximum entropy boosting model)을 제시하여 문서 단위화(text chunking)에 성공적으로 적용하였다. 최대 엔트로피 부스팅 모델은 쉬운 모델링과 높은 성능을 보이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최대 엔트로피 부스팅 모델을 영어 전치사 접속 모호성 해소에 적용한다. Wall Street Journal 말뭉치에 대한 실험 결과, 아주 작은 노력을 들였음에도 84.3%의 성능을 보여 지금까지 알려진 최고의 성능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 PDF

다국어 기계번역시스템에서 부사격 조사의 올바른 대역어 선정을 위한 언어학적 모델링 (Linguistic Modeling for Target Word Selection of Korean Adverbial Postpositions in a Multilingual MT-System)

  • 홍문표;최승권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2001년도 제13회 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310-316
    • /
    • 2001
  • 이 논문은 '에서', '으로'와 같은 한국어의 부사격 조사들을 다국어 기계번역 시스템에서 다룰 때 올바른 역어 선택을 위한 3단계 변환 방식과 이를 위한 부사격 조사의 언어학적 모델링 방법을 제시한다. 3단계 변환 방식은 부사격 조사의 의미 모호성 해소, 의사 중간언어표상 (Quasi-Interlingua Representation)으로의 변환, 전치사 선택의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에서 중점적으로 다루게 될 세번째 단계, 즉 영어나 독일어에서 한국어의 부사격 조사에 대한 전치사 선택의 단계에서 올바른 대역어 선정 방법론의 핵심이 되는 부사격 조사에 대한 언어학적 모델링을 위해 Pustejovsky (1995)의 생성 어휘부 이론 (Generative Lexicon Theory)을 도입한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방법론은 그 타당성의 수학적 검증을 위해 통합기반 기계번역 시스템인 CAT2에서 구현되었으나, 방법론 자체는 특정 시스템에 제한됨 없이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한국어의 '보내-'와 영어의 send의 차이: 어휘 해체분석에 기반하여 (The Difference between the Korean Verb Ponay-'send' and the English Verb send: based on lexical decomposition)

  • 김문형
    • 한국언어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언어정보학회 2008년도 정기학술대회
    • /
    • pp.125-137
    • /
    • 2008
  • 한국어에서는 '보내-'가 여격 구문만을 허용하는 반면에, 영어의 send는 이중목적어 구문과 여격 구문 모두를 허용한다. 이런 비 대칭성은 어휘 해체 이론에 기반하여 볼 때, 영어에서는 send가 이중 목적어 구문에서 CAUSE와 전치사 $P_{HAVE}$로 분해되는 동사와 여격 구문에서 CAUSE와 $P_{LOC}$로 분해되는 동사가 존재하지만, 한국어에서는 '보내-'가 CAUSE와 $P_{LOC}$로만 분해되는 동사만 존재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이는 한국어의 '보내-'가 '주-'와 결합할 때는 이중 목적어 구문을 허용하는 것으로부터 알 수 있다. '주-'는 $P_{HAVE}$를 갖는 동사와 $P_{LOC}$를 갖는 동사로 나누어지는데, $P_{HAVE}$로 나누어지는 '주-'가 '보내-'의 이중목적어 구문을 허용해 주는 것으로 본다. '주-'는 '보내-' 이외에도 사역 동사들과 수여 동사들의 이중 목적어 구문의 형성을 돕는다.

  • PDF

영어쓰기학습에서 온라인 문법체커 활용 연구 (The use of an online grammar checker in English writing learning)

  • 임희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51-58
    • /
    • 2021
  • 본 논문은 온라인 문법체커에 대해서 살펴보고 영어쓰기에 있어서 온라인 문법체커 활용 시에 유의해야 할 점에 대해 제언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충청도에 있는 D 대학교에서 2019년 2학기에 실시하였으며 총 35명의 대학교 1학년 학생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 자료 수집을 위해서 사전 · 사후의 문법 테스트와 설문지 그리고 학습저널이 수집되었고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문법 테스트 결과 온라인 문법체커는 영어쓰기수업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은 온라인 문법체커에서 제공되는 피드백 무조건 받아들이기 보다는 스스로 판단하여 수용을 하거나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문법체커에서 제공하는 피드백 중 (부정)관사, 전치사, 문장부호, 동사 수의 일치, 명사수의 일치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제한점을 토론하였다.

명시적인 어휘적 연어 지도가 문법적 연어 능력에 미치는 영향: 전치사 연어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explicit lexical collocation instruction on the grammatical collocation knowledge: Focusing on preposition collocations)

  • 김낙복
    • 영어어문교육
    • /
    • 제16권3호
    • /
    • pp.141-160
    • /
    • 2010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s of explicit lexical collocation instruction on grammatical collocation knowledge, by focusing on the preposition collocations. The forty participants consisting of twenty men and twenty women are currently freshmen English majors in college. They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on their basic lexical learning strategies in pre-post tests, and carried out a lexical collocation test and a preposition collocation test as pre-post tests. They took the open class on the lexical collocations(LC) 5 times, but they did not concretely study any grammatical collocations(GC). Each test is analyzed and compared with pre-post tests by SPSS 12.0. From all the analyses, it was first revealed that most students who didn't know about the concepts, types and uses of collocations became aware of them after the class. The effects of the lexical collocations on the lexical collocation knowledge were quite revealing. Secon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lexical collocations and grammatical collocations were not significant, although relations among the lexical collocations were quite significant. Finally, some suggestions for methods of mixed lexical chunks instruction are made for students' productive skills. Also, it is suggested that more profound attention should be paid to giving direct instructions on the basis of the lexico-grammatical continuum between LC and GC.

  • PDF

The Acquistion of English Prepositions by L1 Chinese Speakers

  • Eng, Wong Bee;Yoke, Soo Kum;Chong, Lany
    • 영어어문교육
    • /
    • 제9권2호
    • /
    • pp.35-70
    • /
    • 200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cquisition of English prepositions of location and direction by Malaysian Chinese ESL learners. It was conducted with the objective of finding out which of the two types of prepositions was more problematic to the L1 Chinese learners. The study also sough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ge and proficiency levels in English on the acquisition of the English prepositions of location and direction by these learners. Additionally, the study sets out to determine the extent to which the L1 Chinese learners have acquired the English prepositions of location and direction. This study involved three groups of Chinese ESL learners: element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They were selected based on their age and their performance on a standardized proficiency test. The instrument used to collect data was a preposition test comprising 85 items. These items on prepositions of location and direction were randomly arranged in the tasks. The test required subjects to respond to multiple choice questions, match given sentences with appropriate prepositions, fill in blanks with the appropriate prepositions, judge given sentences to see if they are grammatical or ungrammatical and correct the ungrammatical sentence by providing the appropriate prepositions. The results indicate that age and proficiency levels of the learners made a difference in the acquisition of English prepositions of location and direction. The older learners with higher proficiency levels seem to fare better than the younger and less proficient learner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repositions of location arc slightly more problematic than prepositions of directions to the L1 Chinese learners. Our data also suggest that certain prepositions of each type are more problematic than others.

  • PDF

한영 기계 번역을 위한 조사 사전 구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Josa Dictionary Construction for Korean-English Machine Translation)

  • 최재혁;김권양;박상규;이상조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89년도 한글날기념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219-224
    • /
    • 1989
  • 본 연구는 한영 기계 번역을 위한 사전 중에서 한국어 조사 사전에 대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특히 정확한 역어 선택을 위한 제약정보를 수집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지금까지의 한국어 조사에 대한 역어 선택 방법은 체언의 속성 정보에 의한 역어 선택과 default 역어의 선택이었다. 그러나 한국어의 한 조사에 대응하는 영어의 전치사의 수가 너무 많음으로 인하여 이러한 기존의 방법을 사용할 경우 고질의 변역은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확한 역어의 선택을 위하여 조사의 격 분류와 체언의 속성 정보를 더욱 세분화 시키고, 이를 이용한 용언의 기본 구문 패턴을 재정립하였다. 또한 한 두개의 default 역어로 인한 번역의 부 정확성을 탈피하기 위하여 default 역어 및 체언의 속성 정보에 의한 역어를 용언의 의미적 분류에 의해 더욱 세분화시킴으로써 정확한 역어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 PDF

영한 기계변역에서의 전치사구 처리를 위한 격의미 체계와 의미속성 집합 (A Semantic Case Scheme and a Feature Set for Processing Prepositional Phrases in English-to-Korean Machine Translation)

  • 강원석;서정연;김길창
    • 한국정보과학회 언어공학연구회:학술대회논문집(한글 및 한국어 정보처리)
    • /
    • 한국정보과학회언어공학연구회 1994년도 제6회 한글 및 한국어정보처리 학술대회
    • /
    • pp.177-180
    • /
    • 1994
  • 영한 기계변역에서의 전치사구 처리는 자연어 처리의 중요한 연구과제 중 하나이다. 특히 전치사구의 격의미는 그에 대한 한국어 표현에 중요한 실마리가 된다. 본 논문은 영어의 전치사구에 대한 한국어 표현을 선택하기 위한 격의미 체계를 정의하고 그 격의미 체계를 실험한다. 이 격의미 체계는 전치사구에 대한 한국어의 격의미를 분별함으로 보다 좋은 한국어 격조사를 선택하게 해준다. 본 논문에서는 각 격의미의 구분을 위한 의미속성 집합도 정의한다. 이 의미속성 집합은 WordNet의 시소러스에서 제공한 상하위 관계와 변환표를 근거로 자동적으로 추출된다. 의미속성 집합의 자동획득은 격의미 체계의 표현과 기계변역의 성능 평가에 일반성을 부여한다. 격의미 체계와 의미속성 집합의 자동 획득은 영한 기계변역은 물론 한국어 생성과 자연어 처리에 중요한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말뭉치에 기반한 상호정보를 이용한 연어의 자동 추출 (Automatic Extraction of Collocations based on Corpus using mutual information)

  • 이호석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1권4호
    • /
    • pp.461-468
    • /
    • 1994
  • 본 논문은 말뭉치에 기반한 연어의 자동 추출에 관한 연구이다. 연어는 말뭉치로 부터 단어의 동시발생빈도(cooccurrence frequency)와 상호정보 (mutual informaton) 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영어에는 5가지 종류의 연어가 정의 되어 있다. 이들은 타동 사와 목적어, 자동사와 주어, 형용사와 명사, 동사와 부사 그리고 형용사와 부사이다. 여기에 동사와 전치사의 단어쌍을 새롭게 연어로 파악하여 6가지 종류의 연어를 추출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