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양액

Search Result 90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Preparation of Chlorella Drinks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클로렐라 음료의 제조와 그 품질 특성)

  • Kim Jung-Soo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7 no.4
    • /
    • pp.382-387
    • /
    • 2004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drink with chlorella and Prunus mume. The chlorella drinks were prepared in four different ratios such as chlorella extract 5%, 10% and Prunus mume extract 0.2%, 0.4% added in chlorella extract 5%. In the color of the chlorella drinks, chlorella extract 10% had lower Hunter's color values(L, a, b) than chlorella extract 5%. The hunter's L(lightness) and a(redness) values were lower for Prunus mume extract 0.4% compared to Prunus mume extract 0.2%,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b(yellowness) values. A safety test showed that the drinks are clear from heavy metals and total bacteria and colifom bacteria. In the sensory test of the drinks, the sensory scores(color, taste, flavor, overall acceptability) show the best result on chlorella extract 5%(with Prunus mume extract 0.4% added), followed by chlorella 5%(with Prunus mume extract 0.2% added). The score for chlorella extract 10% was the lowest.

버섯을 이용한 젤리 제조 및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 정기태;주인옥;최정식;최영근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2001.12a
    • /
    • pp.130-130
    • /
    • 2001
  • 버섯은 특유의 향과 풍미 뿐 아니라 단백질, 다당류, 비타민, 무기질 등을 고루 함유란 저칼로리 영양식품으로서 가치가 높고, 최근에는 생체방어, 항상성 유지, 질병의 회복뿐만 아니라 암, 뇌졸중, 심장병 등의 성인병에 대한 예방과 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기능성 식품소재로서 활용가치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버섯류는 대부분 생체 또는 건조품으로 소비되고 있으며 재배기술이 개선되어 점진적으로 생산량이 증가되나. 수요가 이를 따르지 못해 계절적 공급과잉으로 가격파동이 우려된다. 따라서 출하조절과 버섯 수요를 확대를 위하여 영지, 표고, 눈꽃동충하초 그리고 번데기동충하초를 이용한 버섯젤리의 제조와 제품의 색도, 물성 및 기호도를 조사 비교하였다. 버섯 젤리 제조를 위한 추출액의 적정혼합비율을 선발한 결과, 영지버섯 젤리는 버섯추출액 85%, 대추추출액 10%, 황기추출액 5%를 혼합했을 때, 표고버섯 젤리는 버섯추출액 80%, 대추추출액 10%, 감초추출액 5%, 오미자추출액 5%를 혼합했을 때, 눈꽃동충하초와 번데기동충하초 젤리는 버섯추출액 85%, 대추추출액 10%, 감초추출액 5%를 혼합했을 때 가장 우수하였다. 젤화제 종류별로 버섯 추출액에 대한 응고 효과는 모든 버섯에 대해 carrageenan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버섯 젤리의 색도는 carrageenan 첨가량에 따라 큰 차이가 없었고, hardness, gumminess, chewiness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관능은 젤화가 완전히 이루어지면서 hardness가 낮은 carrageenan 0.6% 첨가가 가장 우수하였다.

  • PDF

Quality Evaluation of the Nutrtional Cereal Bar with Citrus Fruit Extract (감귤 농축액 첨가에 따른 영양바의 품질 평가)

  • Park, Sung-Jin;Choi, Young-Bum;Ko, Jung-Rim;Rha, Young-Ah;Lee, Hyeon Yong
    •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 /
    • v.20 no.6
    • /
    • pp.245-253
    • /
    • 2014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nutritional cereal bars with various concentrations (0, 5, 10, 15, 20%) of Citrus fruit extract. Regarding the color of nutritional cereal bars, the L value de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nutritional cereal bars added, whereas a, b color values increased. The nutritional cereal bar with 5, 10, 15, and 20% Citrus fruit extract had a significantly lower hardness value than the control nutritional cereal bar. The result of a sensory test showed that the scores for color, taste,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the highest for the nutritional cereal bar with 15% Citrus fruit extract. The nutritional cereal bar with 20% Citrus fruit extract attained the highest flavor sc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optimal concentration of Citrus fruit extract in nutritional cereal bars were 15%.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nutritional cereal bar were also potential materials for good healthy food.

Isolation of Latic Acid Bacteria for Chestnut Yogurt (밤 요구르트 제조를 위한 유산균의 선정)

  • 진효상;김종범;이경자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4 no.3
    • /
    • pp.211-216
    • /
    • 2001
  • 성인 남녀의 분변과 시판 요구르트로부터 분리한 10주의 균주들을 밤용액에 접종 발효하고 산생성과 생균수 면에서 각각 우수한 Lactobacilus sp. PAP1 과 MGG2를 분리하였다. 발효액의 저장 중 균수는 발효액의 산도에 의존하였고 산도를 낮추었을 때 생균수는 증가하였다. 이들을 혼합 배양하였을 때 발효제품의 산도와 생균수는 각각의 단독배양액에 비하여 더 컸으며 3주간 저장후 생균수도 100배 이상 컸다. 밤 용액의 발효에서 이들을 상업용 수입 종균제품과 비교하였을 때 24시간 배양엣 생균수가 더 많았다.

  • PDF

Antimutagenic Effects of Persimmon Leaf tea Extracts in Sister Chromatid Exchanges(SCE) Assay System (감잎차 추출액의 Sister Chromatid Exchange(SCE) 방법에 따른 항돌연변이 효과)

  • 강명희;송현순;이현걸;장해동;김종익;박옥진;이미숙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5 no.2
    • /
    • pp.232-239
    • /
    • 1996
  • 돌연변이 유발 물질인 mitomycin C(MMC)를 처리하여 배양한 Chinese hamster ovary(CHO) cell에 대한 감잎차 추출액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자매 염색 분체 교환(sister chromatid exchange, SCE) 시험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여 보았다. 감잎차 추출액 자체는 CHO 세포의 SCE 빈도수를 변화시키지 않았으며, 세포의 분열 주기중 S phase에 S9 mixture 없이 감잎차 추출액이 처리되었을 경우 MMC로 유도된 SCE 빈도수를 감소시키지 않았다. 그러나 S9 mixture 존재하에 $G_{1}$ phase에서 MMC 처리 후 감잎차를 처리하는 후처리 방식으로 감잎차 추출액을 처리하였을 때, 저농도($\leq$40$\mu\textrm{g}$/ml)에서 MMC로 인해 유발된 SCE 빈도수가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이에 비해 고농도(>40$\mu\textrm{g}$/ml)에서는 SCE 빈도수의 감소 효과가 없었다. 본 연구결과, MMC 처리된 CHO 세포에 대한 감잎차 추출액의 항돌연변이 효과를 볼 수 있었고, 이 효과는 S9 mixture 존재하에서 저농도의 감잎차 추출액이 $G_{1}$ phase에 처리되었을 때 나타났다. 감잎차 추출액의 이러한 항돌연변이의 효과의 기전은 감잎차 추출액의 대사산물이 MMC 처리된 CHO 세포에 대한 DNA-excision repair activity를 촉진시키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 PDF

Flow Properties of Gelatinized Cowpea Flour Dispersion (동부 앙금 호화액의 흐름 성질)

  • 이애랑;김성곤;이신영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2 no.2
    • /
    • pp.181-185
    • /
    • 1993
  • The effects of concentrations (6~9%), heating temperatures (80, 85, 90 and 95$^{\circ}C$) and heating methods (continuous, method A and instantaneous, method B) on the flow properties of cowpea flour (air-dried sediment) at 6$0^{\circ}C$ were studied. The gelatinized cowpea flour dispersions by method B had higher values of yield stress and consistency index but lower value of flow behavior index compared to those values of method A. The log values of consistency index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oncentration and heating temperature for both methods. The rate of increase in the consistency index value by method B at the same concentration was greater in all heating temperatures than that by method A.

  • PDF

빵에 첨가한 녹차가 품질에 미치는 영향

  • 김정수;박정숙
    • Proceedings of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Conference
    • /
    • 2001.12a
    • /
    • pp.129-129
    • /
    • 2001
  • 기능성을 갖고 있는 녹차가 빵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녹차를 첨가한 식빵을 제조하여 품질 변화를 조사하였다. 녹차빵은 녹차 물추출액 0%, 50%, 70%, 100%를 첨가하여 제조하였고 3$0^{\circ}C$로 저장하면서 24시간 간격으로 7일간의 수분, PH 및 산도, 총제균수 등의 변화, 그리고 관능검사 등을 실시하였다. 녹차 물추출액의 첨가는 저장 중 빵의 수분 손실이 적었으며 pH 및 산도는 녹차 물추출액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변화 폭이 적었다. 총 세균수의 경우 녹차 물추출액 첨가구에서는 대조구에 비해 세균수의 증가폭이 적게 나타났다. 관능검사제서는 녹차 물추출액 첨가가 식빵의 기호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 PDF

Physiological Activities of Mycelial Flammulina velutipes Cultured in Liquid Grain Media (곡물 액체배지에서 배양시킨 팽이버섯 균사체의 생리활성)

  • 한서영;손미예;이상원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 /
    • v.8 no.1
    • /
    • pp.50-56
    • /
    • 2003
  • 팽이버섯 균사체를 액체배양하여 전통 장류 발효식품및 음료개발에 이용할 목적으로 7종류의 곡물에 배양한 팽이버섯 배양액의 생리활성을 검토하였다 혈전 용해능은 골목 배양액과 침전물사이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대체로 조, 대두박 및 검정콩 배지에서 혈전용해능이 높게 나타났다. 항균력은 S.aureus에 대해서는 밀, 보리 및 검정콩이 높았고, L. plantarum에 대해서는 조, 밀 및 보리가 높았으며, E.coli에 대해서는 밀과 보리 배지에서 배양한 배양액이 높게 나타났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는 곡물배지 자체에서는 검정콩, 대두박 및 합성배지에서 높게 나타났고, 팽이버섯을 배양했을 때는 검정콩배지의 항산화력과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비장세포의 증식능은 보리, 밀, 조 및 합성배지에 팽이버섯을 배양하였을 때가 곡물자체에서보다 약 20% 정도 높게 나타났다. ConA를 버섯배양 추출물에 혼합했을 때는 옥수수, 대두박 및 검정콩에서 팽이버섯을 배양한 배양액이 $22\sim26%$ 정도의 증식효과가 있었으며, LPS를 혼합했을 경우는 옥수수, 대두박, 검정콩배지에 배양한 배양액이 각각 45%, 25%,18%의 증식효과가 나타내었다.

  • PDF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Water and the Fermentation Liquid of 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 (다시마 물 추출액과 발효액의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

  • Jung, Kyung Im;Kim, Bo Kyung;Kang, Jeong Hyeon;Oh, Geun Hye;Kim, In Kyung;Kim, Mihyang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29 no.5
    • /
    • pp.596-606
    • /
    • 2019
  • The study investigated the physiochemical properties and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the sea tangle (Saccharina japonica) in a water extract before (STWE) and after (STFL) fermentation with Lactobacillus brevis. The pH values of STWE and STFL were 6.18 and 4.16, and the sugar contents were $8.50^{\circ}Brix$ and $7.40^{\circ}Brix$, respectively. The main free amino acids of STWE and STFL wer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alanine, and the ${\gamma}$-amino butyric acid (GABA) content was increased by fermentation.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STWE and STFL were 498.29 and 615.77 mg gallic acid equivalent (GAE)/ml, respectively.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STWE and STFL were markedly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revealed about 89.89% and 96.94% activities, respectively, at 10% concentration (p<0.05). The superoxide dismutase (SOD) activities of STWE and STFL were also markedly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activity of STF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hen compared with STWE (p<0.05).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was examined in lipopolysaccharide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STWE and STFL decreased the produc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which had levels of about 189.90% and 174.69% at 1% concentration, respectively (p<0.05). The contents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such as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and interleukin-6 (IL-6), were decreased more by addition of STFL than by addition of STWE. The STWE and STFL showed high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these activities were increased by fermentation. Therefore, sea tangle extracts can be used as functional food materi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