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영양모상엽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17초

한국산 홍조 참보라색우무(Symphyocladia latiuscula (Harvey) Yamada)의 형태와 생식 (Morphology and Reproduction of Symphyocladia latiuscula (Harvey) Yamada (Rhodophyta, Rhodomelaceae) in Korea)

  • 최도성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4권1호
    • /
    • pp.59-66
    • /
    • 1991
  • 홍조 참보라색우무(Symphyocladia latiuscula (Harvey) Yamada)의 형태적 식별형질들을 야외 및 실내배양 재료를 통해 검토하고 생활사를 밝혔다. 본 종은 엽체의 체장이 5-15 cm이고, 정단을 제외한 전 엽체에 피층이 발달하며, 주축과 측지의 유합정도는 5-7 절편에 달한다는 점에서 Symphyocladia속의 다른 종들과 구분된다. 생식기관의 형태와 발달과정은 속내의 다른 종들과 구분된다. 생식기관의 형태와 발달과정은 속내의 다른 종들과 유사하나 소측지의 변형에 의해 장상의 사분포자탁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본 종은 야외 및 실내배양 재료 모두에서 영양모상엽이 형성되어 S. pennata와 구분되었고, 따라서 지금까지 polysiphonieae족과 Pterosiphonieae족을 구별하기 위한 기본 식별형질로서 인식되어 왔던 영양모상엽의 존재 유무는 부류학적인 의의가 없음을 확인되었다. 실내배양에서 본 종의 Polysiphonia형 생활사를 반복하나 배우체의 체장이 포자체보다 상재적으로 작아 세대간 크기의 차이가 현저한 이형현상이 관찰되었다. 본 종은 한국 전 해안의 조간대 중부 이하의 지역에서 전 계절에 걸쳐 흔히 채집되며, 하계에 배우체의 출현비율이 높았다.

  • PDF

한국산 홍조식물 보라색 우무속(Symphyocladia)직물의 분류 (Taxonomy of the Genus Symphyocladia (Rhodophyta))

  • Lee, In-Kyu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8권3호
    • /
    • pp.297-303
    • /
    • 1995
  • Four species of Symphyocladia growing along the coast of Korea were investigated in taxonomic point of view. Characters available for identification of the species were; difference in gross morphology, degree of cortication in vegetative axis, presence or absence of vegetative trichoblasts, and developmental pattern of stichidia. Vegetative structure and reproductive organs in developmental anatomy were similar among species. Branching pattern and occurrence of vegetative trichoblasts adopted for systematic criteria between Pterosiphonieae and Polysiphonieae, and between Symphyocladia and Pterosiphonia were no more confidential. The degree of congenital fusion of laterals with the parent axes was considered as only main character to distinguish Symphyocladia from Pterosiphoni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