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양막세포

Search Result 104,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The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nti-Naegleria fowleri monoclonal antibodies (Naegleyiu fowleri에 대한 단세포군 항체의 생산과 그 특성에 관한 연구)

  • 류재숙;임경일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v.30 no.1
    • /
    • pp.33-42
    • /
    • 1992
  • Naegleria fowleri, a free-living amoeba commonly found in moist soil and fresh water, enters the body via the nasal mucosa and migrates along the olfactory nerve to t he brain, where it causes acute amoebic meningoencephalitis. In the present study 7 clones secreting monoclonal antibodies (McAbs) against N. fowleri were produced and the effector function of them was investigated. Their isotopes were IgGl (Nf 1, Nf 154), 19G3 (Nf 137) and 19A (Nf 1, Nf 2, Nf 256, Nf 279). Five McAbs (McAb Nf 2, Nf 279, Nf 27, Nf 154, Nf 137) were specific for N. fowleri by ELISA and recognized the antigenic determinants located on the trophoBoite surface by IFAT and immunoperoxidase stain. These aye McAbs had capacity to agglutinate N. fowleri trophozoites and inhibited the growth of the amoeba in culture medium. McAb Nf 2 inhibited proliferation of trophozoites in vitro significantly. Also the cytotoxicity of JV. fowleri against CHO cell was reduced in the presence of McAb Nf 2 and McAb Nf 154. From these results McAb Nf 2 was confirmed to weaken the virulence of the amoeba among 7 screened McAbs.

  • PDF

$K^{+}$ channel openers가 기니픽 심근의 수축력, 막전위 및 세포내 $Na^{+}$ 이온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 채수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2.05a
    • /
    • pp.36-36
    • /
    • 1992
  • 기니픽심장에서 유두근을 적출하여 valve 쪽은 silver wire에 연결하여 수축력을 측정하고 mural end는 sylgard floor에 pin으로 고정하여 1Hz로 자극하였다. 이때 사용된 영양액은 Tyrode Ringer로 bath내 은도는 36$^{\circ}C$이고 97% 0$_2$, 3% $CO_2$로 포화시켜 사용하였다. 수축력이 일정해진 후 막전위는 conventional electrode를 이용해서 기록하고, 세포내 $Na^{+}$ 이온 활성도( $a_{Na}$ $^{i}$ )는 $Na^{+}$ 선택적 전극을 이용해서 기록하였다. 적출 기니픽 심근에서 pinacidil, cromakalim, RP49356 둥의 $K^{+}$ channel opener는 활동전위 기간(APD)과 수축력 감소을 일으켰고, pinacidil과 cromakalim에 의한 APD 감소는 glibenclamide (10 $\mu$M)에 의해 거의 억제되었다. Pinacidil, RP49356 및 cromakalim에 의한 수축력 감소시 세포내 $Na^{+}$ 이온농도( $a_{Na}$ $^{i}$ )의 감소가 나타났으며 glibenclamide(10 $\mu$M)에 의한 APD의 감소는 거의 차단되었으나 $a_{Na}$ $^{i}$ 감소는 일부 나타났으며 이때 수축력의 감소도 나타났다.

  • PDF

소금의 영양학적 고찰

  • 백희영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and Cookery Science Conference
    • /
    • 1987.06a
    • /
    • pp.92-106
    • /
    • 1987
  • $Na^{+}$는 체내에서 세포외액 (extracellular fluid)의 주요 양이온으로 세포내액과 세포외액은 세포막을 사이에 두고 $Na^{+}$$K^{+}$의 높은 농도의 차이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농도차이는 세포막에 있는 $Na^{+}$-K$^{+}$ATP ase의 활동에 의하여 유지되며 $Na^{+}$는 체액의 osmolarity와 혈장의 부피 유지, 신경흥분, 근육수축 및 영양소등의 이동에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체내의 Na balance는 renin-aldosterone system에 의하여 신장에서의 배설조절로 이루어지며, 최근 Na대사에 관여하는 natriuretic hormone이 발견되고 있다. Na의 과잉섭취는 역학적 연구와 동물실험에서 고혈압의 유발인자로 제시되고 있으나, 임상적 연구에서는 Na제한이 혈압강하효과가 있다는 보고와 없다는 보고가 있어 결과가 뚜렷하지 않다. 이는 고혈압 환자중에는 salt-sensitive한 group자 salt-resistant group이 있다는 것과 산업화된 사회들의 Na 섭취량이 이미 너무 높은 수준으로 Na섭취증가와 혈압상승간의 관계를 현재의 연구 방법들로는 찾아내기 어렵다는 ‘saturation effect’로 설명한다. 그러나 Na섭취를 1일 70~100mEq.(NaCl 4.0~5.8g)이하로 줄이면 고혈압 발생이 현저히 감소하고 Na 섭취량이 1일 30mEq.(NaCl 1.7g)이하이면 고혈압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Na섭취가 1일 400mEq.(NaCl 23.2g)이상이 되더라도 인구 중 50~80%는 고혈압에 걸리지 않아 고혈압의 발생은 유전적 인자, 신장 기능의 부족에 의해 지배되고, Na이외에도 K, Ca등의 식이 인자 및 stress, 운동등의 환경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친다. Na 섭취량은 자연식품에 들어있는 양 뿐 아니라, 가공과정, 조리가정, 식사 중에 첨가되는 양에 의하여 좌우되므로, Na 섭취량을 측정하기 매우 어렵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법은 24시간 소변 중 배설되는 Na의 양으로부터 추정하는 방법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방법으로 섭취량을 환산할 경우 1일 200~260mEq. (NaCl 11.6~15.1g) 정도이며 이중 80% 이상이 discretionary intake인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앞으로 Na섭취를 줄이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하겠다.

  • PDF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The Growth of Bacillus cereus (인삼 Saponin이 Bacillus cereus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

  • Oh, Hae-Sook;Lee, Ho-Yong;Lee, Young-Me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 /
    • v.5 no.4
    • /
    • pp.449-453
    • /
    • 1990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lluciate the effect of ginseng saponin on the growth of Bacillus cereus 425. The bacteria was cultured in the broth medium treated with ginseng saponin. The result is as follows : The binding experiment was tried to see relationship between the growth stimulation and increased nutrient absorption. The result showed that stimulation of glucose binding especially, increased cell growth. The ginseng saponin stimulated the cell growth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f acid phosphatase an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ies.

  • PDF

The Localization of Lectin Receptors in the Tissue of the Paragonimus westermani (폐흡충조직내 Lectin(WGA) 수용체의 분포)

  • Kim, Soo-Jin;Nahm, Heun-Woo;Lee, Joon-Sang;Joo, Kyung-Whan
    • Applied Microscopy
    • /
    • v.30 no.1
    • /
    • pp.101-111
    • /
    • 2000
  • In this study, the distribution of lectin receptors in Paragonimus westermani tissue was explored using colloidal gold label complexed with lectin WGA purified from wheat germ (Triticum vulgare). The lectin WGA gold complex, shown to recognize GlcNAc (N-acetylgalactosamine) and NeuNAc (N-acetylneuraminic acid) regions, was applied to detect binding sites in Lowicryl HM 20 sections viewed under electron microscope. Labeled sections of the metacercaria revealed gold particles specifically distributed on the tegumental syncytium and lamella of the excretory canal. Labeling of young adult tissue was then quantified and compared to that of adult worm tissue. Adult worm tissue sections resulted in specific gold particle distribution on the lamella of caecal epithelium and excretory cana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ectin WGA receptors are located in the tegumental syncytium and lamella of the excretory canal of the metacercariae, and in the lamella of the caecum and excretory canal of the young adult and adult. Therefore, the GlcNAc and NeuNAc regions in the tegumental syncytium appear to be functionally associated with cell-recognition and protection from the immune system of the host, and linked with membrane transport and absorption of nutrients in the lamella of the excretaory canal and caecal epithelia.

  • PDF

Induction of Apoptosis i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by the Pepper Component Piperine (후추의 주요 성분인 Piperine의 대장암세포 세포사멸 유도 효과)

  • Kim, Eun-Ji;Park, Hee-Sook;Shin, Min-Jeong;Shin, Hyun-Kyung;YoonPark, Jung-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8 no.4
    • /
    • pp.442-450
    • /
    • 2009
  • Piperine is an alkaloid-amine found in pepper and has been reported to have anticarcinogenic properties. To explore the possibility that piperine has cancer chemopreventive and chemotherapeutic effects in colon cancer, we examined whether piperine inhibits the growth of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and investigated the mechanisms for this effect. Cells were cultur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0{\sim}40{\mu}M$) of piperine. Piperine decreased the cell viability and induced apoptosis of HT-29 cells. Western blot analysis of total cell lysates revealed that piperine decreases the protein levels of Bcl-2, Mcl-1, and intact Bid but increases Bik levels. Piperine increased the percentage of cells with depolarized mitochondrial membrane, and the release of cytochrome c into cytoplasm. Piperine induced the cleavage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and caspases 8, 9, 7, and 3 and increased the Fas levels. In addition, piperin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protein levels of survivin. The present results indicate that piperine inhibits the growth of HT-29 colon cancer cells by the induction of apoptosis, which may be mediated by its ability to change the Bcl-2 family proteins, increase the activation of caspases, and decrease survivin levels. Overall, our findings suggest that piperine has cancer chemotherapeutic effects in colon cancer.

생쥐 초기 배아에서 Aquaporin 8과 9의 발현에 관한 연구

  • 신현상;계명찬;강수만;이성은;이지원;강한승;김문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Conference
    • /
    • 2003.10a
    • /
    • pp.68-68
    • /
    • 2003
  • Aquaporin은 막관통 통로 단백질(transmembrane channel protein)로서, 삼투압의 농도구배에 따라 세포막을 가로질러 물분자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고 있다. 포유류 초기배아에서 포배강 형성은 영양외배엽세포에서 $Na^+ / K^+$ATPase에 의한 이온 농도 구배가 형성되면 auqaporin에 의해 물이 포배강으로 유입되면서 이루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생쥐 초기배아에서 반정량적인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방법(semi-quantitative RT-PCR)과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방법(real-time RT-PCR)을 통하여 AQP8과 9의 mRNA발현을 조사하고 다중 면역형광현미경 방법(confocal immunofluorescence microscopy)을 통해 단백질 발현양상을 분석하였다. AQP8 mRNA는 상실기까지 발현되지 않다가 포배기에 이르러 발현되었고 AQP9 mRNA는 수정란에서부터 발현되어 포배기에는 유의할 정도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AQP8 mRNA는 배아유전자가 활성화되어 나타나는 것이고 AQP9 mRNA는 모계유전자 기원임을 알 수 있었다. AQP8 단백질은 상실배 단계까지 발현되지 않다가 포배시기에 영양외배엽세포사이의 접합면에 발현되었고 AQP9 단백질은 상실배 시기에 할구 사이의 인접 부위에서 강하게 발현되었다가 포배시기에는 세포간의 접합면에 약하게 발현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포배에서 물과 글리세롤을 통과시키는 AQP9는 mRNA의 발현양이 AQP8보다 약 4배 정도 많았다. 또한 포배기에 이르러서야 물만을 통과시키는 AQP8의 발현이 나타나는 것을 보아 포배강 형성시 외부에서 영양외배엽을 통해 포배강으로 유입되는 물의 이동(trans- trophectodermal water movements)에 AQP9보다 AQP8이 더 중요하게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K, Pb, Cd, Cr, Co, Cu, Ni)을 측정하였다. 실험 조건1의 결과로서 각 국의 유아용 일회용 기저귀의 중금속 함량은 거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Cr, Zn, Pb, Ni, Mn, Mg, Li, K는 detection limit(2 ppm) 이하였고, Cd, Fe, Co, Cu, Ca, Al, Sr는 검출되었지만 기준치 이하였다. 실험 조건2의 결과로서 측정 항목(Cr, Sb, Cd, Pb, Ni, Co, Cu)중 Cr, Cd, Ni, Cu는 detection limit(0.1 ppm) 이하였고, Sb, Pb, Co는 검출되었지만 기준치 이하였다.았다. 4%의 경우에는 8$0^{\circ}C$이하로 온도를 낮추는 것이 좋은 상태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일반적으로 화학적 레팅을 4%, 7%에서한 선행결과와 상당히 다른 결과이다.염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 현상을 보였다.X>, 75BG30은 8.6$\mu\textrm{m}$, 75BG40은 7.02$\mu\textrm{m}$로 나타났다. 따라서 경화제 양에 관계없이 10$\mu\textrm{m}$ 이하로 나타나, 경화제 10$m\ell$만으로 미세한 크기를 얻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젤리 강도 변화에 따른 차이는 300BF는 78.09$\mu\textrm{m}$ 300BG는 56.32$\mu\textrm{m}$로, 75BF나 75BG에 비하여 현저히 증가하여, 젤라틴의 젤리 강도는 캡슐 제조 조건의 주요한 변수임을 알 수 있다.추출물 투여시 혈당강하 및 혈중콜레스테롤 강하가 나타났으며, 상엽복합추출물 투여와 운동을 병행시 이러한 감소 효과가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교육의 적임자로 보는 시각이 비교적 높았고 약 1/2정도는 영양교육에 참여하겠다는 의지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로 영양지도를

  • PDF

The anti-cancer effect of pomegranate-derived nanovesicles on MDA-MB-231 breast cancer cells (MDA-MB-231 유방암 세포에서 석류 유래 나노베지클의 항암효과)

  • Dong-ha Kim;Ji-Su Kim;In-Sook Kwun;Young-Eun Cho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7 no.1
    • /
    • pp.43-52
    • /
    • 2024
  • Purpose: Cancer is the leading cause of death in Koreans, with breast cancer being the most common among women. Breast cancer readily metastasizes, and the existing treatment processes impose a significant burden on patients. This study examined whether pomegranate-derived exosome-like nanovesicles (PNVs) have anti-cancer effects by inhibiting cell infiltration and metastasis while increasing apoptosis on breast cancer MDA-MB-231 cells. Methods: Initially, exosome-like nanovesicles were isolated from pomegranate using ultracentrifugation. Subsequently, the size range of these nanovesicles was confirmed using nanoparticle tracking analysis. The ability of breast cancer MDA-MB-231 cells to internalize these natural nanovesicles was assessed with flourescence microscope. The anti-cancer effects of the PNVs were confirmed by apply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PNVs (10, 50, 100 ㎍/mL) to MDA-MB-231 cells and systematically assessing their impact on cell viability and migration. Results: The round shape of the lipid bilayer in the PNVs was confirmed, providing crucial insights into their structural properties. We demonstrate that PNVs-associated DiD dye can be efficiently internalized by the MDA-MB-231 cells. The data showed that the PNVs inhibited cell viability, invasion rates, and migration in MDA-MB-231 cells. In addition, PNVs were absorbed into the MDA-MB-231 cells, leading to an increased expression of apoptosis proteins, such as cleaved caspase-3 and phosphorus-JNK,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Furthermore, a reduction in cell infiltration and decreased expression of the transition markers MMP-2 and MMP-9 proteins were observed. Conclusion: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suggests that PNVs may be useful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breast cancer by inhibiting the infiltration and metastasis of MDA-MB-231 cells and inducing apoptosis.

Ultrastructural Studies of Oogenesis and Oocyte Degeneration in Female Ruditapes philippinarum (Bivalvia: Veneridae) from Gomso Bay, Korea (곰소만에 서식하는 암컷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난형성과정 및 난모세포 퇴화의 미세구조적 연구)

  • Lee, Ki-Young;Chung, Ee-Yung
    •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 /
    • v.12 no.1
    • /
    • pp.41-49
    • /
    • 2008
  • Ultrastructural changes occurring during the course of development and degeneration of oocytes in female Ruditapes philippinarum (Adams & Reeve, 1850) are described for clams collected from Gomso Bay, Korea. During the early stages of oogenesis, desomosome-like gap junctions localized between the early vitellogenic oocyte and the follicle cells. Vitellogenesis occurs through a process of autosynthesis, involving the combined activity of the Golgi complex, mitochondria and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nd heterosynthesis in which extraovarian precursors are incorporated into oocytes by endocytotic activity, involving the basal region of the early vitellogenic oocytes prior to the formation of the vitelline envelope. The follicle cells appear to play an integral role in vitellogenesis and oocyte degeneration: phagocytosis and intracellular digestion of products originating from oocyte degeneration. These functions can permit a transfer of yolk precursors necessary to vitellogenesis, and they can accumulate nutrients in the cytoplasm, as glycogen and lipids, which can be employed by the vitellogenic oocyte. During the period of oocyte degeneration, follicle cells may have lysosomal system for breakdown, and resorb various phagosomes in the cytoplasm for nutrient storage. But follicle cells probably are not the major source of yolk precursors in vitellogenesis.

  • PDF

Comparison of Cell Numbers in Inner Cell Mass vs Trophectoderm and Establishment of ES-like Cells Derived from Day 7 to 9 IVF Bovine Blastocysts (소 체외수정 유래 7~9일령 배반포내에서 내세포괴 대영양배엽세포의 비율 및 배아간세포 확립율의 비교)

  • 공일근
    • Korean Journal of Animal Reproduction
    • /
    • v.21 no.2
    • /
    • pp.157-165
    • /
    • 1997
  • 포유류 배반포배의 epiblast는 내세포괴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 epiblast cells이 배 및 태아의 생식세포와 일반 체세포로 분화된다 (Beddington, 1986; Lawson 등, 1991). 그런데 조기에 발달된 부화배반포기 배가 지연발생된 부화배반포기 배보다도 많은 epiblast cells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Talbot 등, 1995).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체외수정 유래의 배반포배의 발육속도에 따른 내세포괴/영양배엽세포의 비율 및 배아간세포 확립 효율을 비교하여 발달일령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공시한 소의 난포란을 TCM-199에 0.5$\mu\textrm{g}$/ml FSH, 5$\mu\textrm{g}$/ml LH, 10% FBS, 100 units/ml penicilin, 및 100$\mu\textrm{g}$/ml streptomycin을 첨가하여 39$^{\circ}C$, 5% CO2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체외성숙한 후, 5$\mu\textrm{g}$/ml heparin으로 수정능이 획득된 1$\times$106 sperm/ml의 정자로 체외수정을 유도하였다. 체외수정 후 18~20시간에 과립막세포를 vortexing으로 제거하여 얻은 모든 체외수정란을 3mg/ml BSA, 20${\mu}\ell$/ml NEM amino acids, 40${\mu}\ell$/ml BME amino acids, 10mM glycine 및 1mM alanine이 함유된 CR1aa 배양액에서 BRL 단층세포와 공배양을 실시하였다. 수정후 7, 8 및 9일재 (체외수정일 : 0일)에 확장배반포기까지 발달한 수정란을 이중염색 및 배아간세포의 확립 실험에 공시하였다. 체외수정후 24시간에 분할된 총 1,145개의 수정란이 7, 8 및 9일째에 후기 배반포기까지 각각 222(15.6%), 103(7.2%) 및 52(3.6%)로 발달하여 총 377개 (26.4%)가 발달하였다. 내세포괴/영양배엽세포의 비율은 7일 및 8일째 배반포배에서 각각 47.2$\pm$11.9/95.1$\pm$24.4개 (33/67%) 및 40.3$\pm$12.4/83.3$\pm$26.9개 (33/67%)로서 9일째 배반포배의 19.3$\pm$8.1/62.3$\pm$23.1개 (24/76%) 보다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ES-like cells을 확립하기 위하여 후기배반포기 배를 mouse embryonic fibroblast 단층 공배양기에 옮긴 후 5일에 내세포괴의 부착 여부를 판정하고, 10일에 배아간세포의 확립 여부를 판정하였다. 그 결과 7, 8 및 9일째의 배반포기배의 각각 47.7% (82/172), 30.9%(22/71) 및 15.6%(5/32)에서 배아간세포가 확립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배반포기까지의 발육이 빠른 수정란에서 영양배엽에 대한 내세포괴세포의 비율이 높았고 배아간세포의 확립율도 높다는 사실을 입증할 수 있었으며, 이와 같은 결과에서 체외수정란 유래 배반포배의 질을 결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