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상 화질 개선

Search Result 66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Human sensibility ergonomic postprocessing technique reducing blocking artifacts in block transform coded video (감성적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의 블록현상 제거 기법)

  • Lee, Sang-Woo;Park, Sa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06.11a
    • /
    • pp.133-136
    • /
    • 2006
  • 한정된 네트워크 대역폭을 가진 현재의 인터넷에서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영상의 비트율을 높이는 것은 비용 등 여러 가지 문제로 인해 현실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비록 충분하지 못한 비트율의 영상을 전송받더라도 전송받은 영상의 화질을 높이는 연구가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되고 있다. 영상의 화질을 향상시키는 많은 방법 중 후처리 기법은 이러한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 할 수 있으면서 동영상 압축 표준 복호기를 수정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좋은 해결책이 된다. 동영상의 압축 과정에서 낮은 비트율로 인해 발생하는 화질 열화 현상 중에 쉽게 완화 할 수 있고, 영상의 질이 비용 대비 높은 효율로 좋아지는 대표적인 현상이 블록화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블록화 현상은 영상의 고주파대역에서 나타나므로 본 논문에서 영상의 고주파 성분과 블록화 현상을 구분하기 위해 Sobel 마스크를 사용한다. 구분된 블록화 현상이 발생한 매크로블록의 양쪽 경계면에 4-tap 저주파 통과 필터를 사용하여 블록화 현상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다. 개선된 영상의 화질 평가 기법으로 신호처리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객관적인 지표인 PSNR에 의한 평가와 함께 실제 인간의 시각을 기준으로 주관적이고 감성적인 관찰에 의한 평가를 함께 수행한다.

  • PDF

Image Emphasis by Histogram Distribution Chart Alteration (히스토그램 분포도 변경에 의한 영상 강조)

  • 허진경;이웅기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370-373
    • /
    • 2003
  • 획득한 영상의 강조는 강조된 그 자체를 이용한다는 것보다 이를 통하여 보다 낳은 결과를 얻기 위한 전처리의 한 부분이라고도 할 수 있다. 영상의 강조는 단지 화질을 보기 좋게 한다는 점이 아니라 주어진 영상으로부터 더 뚜렷한 화질을 얻는다는 것을 포함하기도 한다. 현재 영상의 개선 또는 강조 알고리즘들은 모든 영상에서 원하는 만큼의 뚜렷한 영상을 얻지 못하거나, 화질의 크기에 비례하여 많은 처리 시간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방법으로 촬영되는 영상에 있어서 차후 사용될 영상의 본래 활용 목적에 부합하도록 강조하는 방법이다. 이에 대한 새로운 알고리즘으로 히스토그램의 분포도를 조절하여 영상의 특징들을 강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 PDF

Filter Design for Removal Blocking Artifacts in Low Bit-rate Video Coding (저 비트율 영상부호화의 블록화 현상 제거를 위한 Filter 설계)

  • 조용설;전병우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403-40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저비트율 영상통신에서 발생되는 블록화현상과 컬러 번짐 현상을 효과적으로 줄임으로써, 주관적 화질을 개선하는 후처리 필터를 제안한다. 저비트율 영상통신에서 8*8 블록 단위의 DCT 수행은 블록화 및 컬러 번짐 현상과 같은 화질 열화를 초래한다. 이러한 화질 열화를 개선하기 위하여 밝기 영역과 컬러 영역에서 각기 다른 후처리 필터를 본 논문에서 제안한다. 밝기 부분의 후처리 필터에서는 일률적인 후처리 필터에서 발생하게 되는 새로운 artifact 인 geometric pattern 을 방지하기 위해 각 화소의 공간영역에서 블록 경계 좌우로 filtering range 를 다르게 수행하고, 컬러부분의 후처리 필터에서는 컬러번짐 현상을 최대한 억제하기 위해 블록간 컬러 값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수행되는 후처리 필터를 제안한다. 제안된 실험을 통하여 후처리 필터를 수행한 영상화질이 H.263 baseline 에 비해 월등히 나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H.263 Annex J의 deblocking filter mode에 비해서도 떨어지지 않는 화질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of Deep Learning Researches for Compressed Video Quality Improvement (압축 영상 화질 개선을 위한 딥 러닝 연구에 대한 분석)

  • Lee, Young-Woon;Kim, Byung-Gyu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4 no.3
    • /
    • pp.420-429
    • /
    • 2019
  • Recently, researches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based approache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to improve the reduced quality of compressed video using block-based video coding standards such as H.265/HEVC. This paper aims to summarize and analyze the network models in these quality enhancement studies. At first the detailed components of CNN for quality enhancement are overviewed and then we summarize prior studies in the image domain. Next, related studies are summarized in three aspects of network structure, dataset, and training methods, and present representative models implement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for performance comparison.

Image Quality Enhancement for Chest X-ray images (흉부 엑스레이 영상을 위한 화질 개선 알고리즘)

  • Park, So Yeon;Song, Byung Cheol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 /
    • v.52 no.10
    • /
    • pp.97-107
    • /
    • 2015
  • The initial X-ray images obtained from a digital X-ray machine have a wide data range and uneven brightness level than normal images. In particular, in Chest X-ray imag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naturally all of the parts such as ribs, spine, tissue, etc. These X-ray images can not be improved enough from conventional image quality enhancement algorithms because their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from ordinary images'. This paper proposes to eliminate unnecessary background from an input image and expand the histogram range of the image. Then, we adjust the weight per frequency band of the image for improvement of contrast and sharpness. Finally, jointly taking the advantages of global contrast enhancement and local contrast enhancement methods we obtain an improved X-ray image suitable for effective diagnosis in comparison with the existing methods. Experimental results show quantitatively that the proposed algorithm provides better X-ray images in terms of the discrete entropy and saturation than the previous works.

An Adaptive Watermarking with Improved Quality (화질이 개선된 적응적 워터마킹)

  • 고종관;이규대;김진업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234-237
    • /
    • 2002
  • 디지털 워터마크는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저작권 보호와 인증의 목적으로 최근에 제안되었다. 워터마킹 기술은 공간영역이나 주파수 영역에서 워터마크를 삽입하는 알고리즘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공간영역의 워터마킹 방법을 보안, 개선하였고, 주변화소의 밝기를 고려하여 워터마크의 정보를 삽입하는 방법을 이용하였다. 실험은 영상의 화질저하를 추정하기 위해 PSNR을 계산하고, 제안하는 알고리즘으로 삽입된 영상의 화질이 개선됨을 보이고 외부의 공격에도 워터마크가 추출됨을 보인다.

  • PDF

Low Power Contrast Enhancement Algorithm for OLED Displays (OLED 디스플레이를 위한 저전력 화질 개선 기법)

  • Kim, Jin-Hwan;Lee, Chul;Lee, Chulwoo;Kim, Cha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1.11a
    • /
    • pp.158-160
    • /
    • 2011
  • 본 논문은 OLED 디스플레이를 위한 저전력 화질 개선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에서는 영상의 대조비를 높이고, OLED 디스플레이 소비전력을 감소하는 기법을 선형 함수에 기반하여 유도하며,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각 지역마다 서로 다른 매핑 함수를 적용하는 적응적 변환 함수를 구한다.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기법이 전력 소비를 줄이는 동시에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는 것을 확인한다.

  • PDF

Study on Methods to Improve Image Quality of Abdominal CT Images (복부 CT 영상의 화질 개선 방법에 대한 연구)

  • Seok-Yoon Cho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7 no.5
    • /
    • pp.717-723
    • /
    • 2023
  • Liver disease is highly associated with death, and other abdominal diseases are also important causes affecting a person's lifespan, and a CT scan is essential when treating abdominal diseases. High radiation exposure is essential to create images that are good for reading, but managing the patient's radiation exposure is also essential. In this study, a post-processing wavelet algorithm was proposed to improve the image quality of abdominal CT images. Wavelets have the disadvantage of having to set a threshold value depending on the type of input image. Therefore, we experimentally proposed the threshold value of the wavelet and evaluated whether the image quality was effectiv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optimal threshold value for abdominal CT images was calculated to be 50. In the case of image 1, noise was improved by 49% and in the case of image 2, by 29%, and the contrast also increased. i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pplied for post-processing after abdominal CT, image quality can be improved and it will be helpful in disease diagnosis.

Adaptive Postprocessing Technique for Enhancement of DCT-coded Images (DCT 기반 압축 영상의 화질 개선을 위한 적응적 후처리 기법)

  • Kim, Jong-Ho;Park, Sang-Hyun;Kang, Eui-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10a
    • /
    • pp.930-933
    • /
    • 2011
  • This paper addresses an adaptive postprocessing method applied in the spatial domain for block-based discrete cosine transform (BDCT) coded images. The proposed algorithm is designed by a serial concatenation of a 1D simple smoothing filter and a 2D directional filter. The 1D smoothing filter is applied according to the block type, which is determined by an adaptive threshold. It depends on local statistical properties, and updates block types appropriately by a simple rule, which affects the performance of deblocking processes. In addition, the 2D directional filter is introduced to suppress the ringing effects at the sharp edges and the block discontinuities while preserving true edges and textural information. Comprehensive experiments indicate that the proposed algorithm outperforms many deblocking methods in the literature, in terms of PSNR and subjective visual quality evaluated by GBIM.

  • PDF

Advanced Retinex Algorithm for Image Enhancement (영상 선명화를 위한 개선된 Retinex 알고리즘)

  • Cha, Hyo-Sang;Hong, Sung-Hoo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6 no.1
    • /
    • pp.29-41
    • /
    • 2013
  • The digital camera is impossible to preserve the appearance of a scene containing high dynamic range due to a limitations of the sensing hardware. The Retinex was proposed on the purpose to solve these problems. While the Retinex enhances visibility and color constancy, it sometimes suffers from color distortion, halo effect and reduced global contrast. This paper presents an advanced Retinex algorithm working on the YCbCr color coordinate to reduce the processing time and to improve the global contrast and colo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algorithm significantly reduces the total processing time, and provide the superior result image by improving the global contrast and color consistency as well as by reducing the halo effect around the bounda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