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상아카이브

Search Result 32,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The Necessity of Video Recording in Archaeology and the Visual Archaeology (고고학에서 영상의 필요성과 영상고고학)

  • Choi, Sung Rak;Cho, Woo Tack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42 no.3
    • /
    • pp.88-104
    • /
    • 2009
  • Changes in a society and visual media has a tight relationship. Photography represented the last 20th century in the visual media; while the 21st century we live in is represented by moving image(video). The change of visual media also brought changes to the archaeological recordings. As information is gathered from the field work in archaeology, it seems that use of video recording, a reliable way of collecting and recording data, will increase. The process of archaeological excavations can be considered as a contents itself. Also, video recording has many advantages when recording environmental surrounding of the sites and artifacts, for the reservation of the scenery, and as recorded heritage of the humankind. Video recording can be a tool of conversion to public archaeology to devote to its social and academic roles. Considering all of the above, studying ways to record and preserve visual materials is essential in the field of archaeology and we should be prepared for it. We strongly propose reinstatement of the visual archaeology, which should be studied in archaeological perspective. The direction of the study of visual archaeology can be summarized into two. First is the study on the video recording during field work and the archive of video recordings. Second is the study on the media as the tool of communication. More detailed and organized research should be considered in depth in the archaeological theory and methods.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Online Services for Movie Sound Effects: Focusing on the K-Sound Library (영화 효과음원 온라인 서비스 개선방안 연구 : K-Sound Library 를 중심으로)

  • HyunTae Kim;Jung-eun Lee;SeulBi Lee;Geon Kim;Soojung Kim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23 no.2
    • /
    • pp.49-67
    • /
    • 2023
  • In recent years, the film industry in South Korea has experienced a period of prosperity, evidenced by the numerous awards won at major international film festivals. Furthermore, growing global interest in K-content and the expansion of the OTT industry following the COVID-19 pandemic are providing favorable condi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film industry. Sound effects play a crucial role in conveying the atmosphere and emotions of a film, making them an essential element of film production. In response, the Jeonju IT & CT Industry Promotion Agency has been promoting the development of Korean-style sound effects since 2013. Furthermore, the agency launched an online service called the "K-Sound Library," a sound effect archive, in 2021. However, the service has not been widely utilized because of issues with the database's construction and the system's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K-Sound Library's problems through interviews with sound effects specialists about the online service of the first sound effect archive in South Korea. Based on the interviews and analyses of foreign cases, the study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search services' usability and the sound effects classification system.

A Study on the Analysis of Current Issues and the Operation Plan of News Media Asset Management System in Korean Broadcasting Companies: the Case Study of KBS Digital Newsroom (방송사 보도영상관리시스템 운영 현황분석과 개선안 연구 - KBS 디지털뉴스룸 사례를 중심으로 -)

  • Choi, Hyo-jin;Park, Choonwon;Kim, Sooyoung;Song, Jeonga;Park, Yeajin;Shin, Bongseung;Ji, Sunho;Sun, Sangwon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3 no.3
    • /
    • pp.123-155
    • /
    • 2022
  • This study focuses on the management of the news production system in broadcasting companies. This paper concentrates on the process of data registration and metadata management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currently produced news can have value as a 'public record' in the long term, and whether reliable and accurate information is preserved. In addition, the user experience in the current system is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Ingest Managers, Editors, and Archive Managers, who are closely related to metadata creation compared to other members of the its News Department. Finally, a sustainable metadata quality management method is sought to increase the value of news footage as a 'public record'. In this study, these points can be found out: the metadata of the news agency footage is input manually according to the user's will or working style, that is, the user-friendly metadata input system is insufficient. Accordingly, it can be seen that the quality of the metadata of the news video continues to deteriorate. 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is, it is found that work flow improvement, system improvement, classification system and metadata improvement plan, etc. are definitely necessary in the short and long term.

An Oral History Study of Overseas Korean Astronomer: John D. R. Bahng's Case (한국천문연구원 원외 원로 구술사연구 - 방득룡 전임 노스웨스턴 대학교 천문학 교수 사례 -)

  • Choi, Youngsil;Seo, Yoon Kyung;Lee, Hyung Mok
    •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 /
    • v.46 no.2
    • /
    • pp.73.4-74
    • /
    • 2021
  • 한국천문연구원은 2017년 제1차 구술채록사업에 이어 2020년 제2차 사업을 진행하면서 최초로 원외 원로에 대한 구술채록을 시도하였다. 국가 대표 천문연구의 산실로서 연구원 존재 의의를 확립하기 위하여 원내 원로에 국한되었던 구술자 대상을 확장한 것이다. 그 첫 외부 구술 대상자로 방득룡 전임 노스웨스턴 천문학과 교수를 선정하여 2020년 7월부터 준비단계에 들어갔다. 방득룡 전(前)교수가 첫 번째 한국천문연구원 원외 인사 구술자로 선정된 이유는, 그가 우리나라 천문대1호 망원경 구매 선정에 개입한 서신(1972년)이 자료로 남아있었기 때문이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2017년에 수행한 제1차 구술채록사업에서 구술자로 참여한 오병렬 한국천문연구원 원로가 기증한 사료들은 대부분 연구원 태동기 국립천문대 구축과 망원경 구매 관련 자료였으며 이 가운데 1972년 당시 과학기술처 김선길 진흥국장에게 Boller and Chivesns(사(社))의 반사경을 추천한 방득룡 전(前)교수의 서신은 한국 천문학 발전사에서 중요한 사료였다. 연구진은 이 자료를 시작으로, 방득룡 전(前)교수의 생존 여부와 문서고의 공기록물들에서 그의 흔적을 찾아가기 시작했다. 놀랍게도 그는 실제 세계와 한국천문연구원 문서고 깊숙이 기록물들 모두에서 상존하고 있었다. 1927년생인 방득룡 전(前)교수, Dr. John D. R.은 미국 플로리다 한 실버타운에서 건강한 정신으로 생존하여 있었고 연구진의 인터뷰에 흔쾌히 응했다. 2020년 9월 16일에 한국천문연구원 본원 세종홀 2층 회의실에서 영상통신회의로 그와의 구술인터뷰가 진행되었다. 이 구술인터뷰는 원외 인사가 대상이란 점 외에도 방법적으로는 전형적인 대면 방식이 아닌 영상 인터뷰였다는 점에서 코로나 시대의 대안이 되는 실험적 시도였다. 현대 한국천문학 발전사의 재조명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었다. 1960년대 초반부터 1992년 정년퇴임까지 30년을 미국 유수 대학교 천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활발한 활동을 해 온 한국계 천문학자가 우리나라 최초 반사망원경 구매 선정에 적극 개입하였던 역사는, 공문서 자료들과 서신 사료들에 이어 그의 육성으로 나머지 의구심의 간극이 채워졌다. 또 구술자 개인이 주관적으로 중요하다고 여기는 '기억'이 중요한 아카이빙 콘텐츠 확장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구술사 연구에 있어서도 중요한 관점을 주었다. 애초 연구진이 방득룡 전(前)교수의 공식 기록에서 아카이빙의 큰 줄기로 잡았던 것은 1948년 도미, 1957년 위스콘신 대학교 천문학 박사학위 취득, 1962년부터 노스웨스턴 대학(일리노이주 에반스턴)의 천문학 교수진, 1992년 은퇴로 이어진 생애였다. 그러나 그와의 구술 준비 서신 왕래와 구술을 통하여 알게 된 그가 인생에서 중요시 여겼던 지점은, 1948년 도미 무렵 한국의 전쟁 전 상황과 당시 비슷한 시기에 유학한 한국 천문학자들의 동태, 그리고 1957년부터 1962년까지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M. Schwarzschild 교수와 L. Spitzer 교수를 보조하며 Stratoscope Project를 연구하였던 경험이었다. 기록학적 의미에서도, 전자를 통해서 그와 함께 동시대 한국 천문학을 이끌었던 인재들의 맥락정보를 얻을 수 있었으며, 후자를 통해서는 세계 천문학사에 큰 영향을 미친 석학에 대한 아카이브 정보와의 연계 지점과 방득룡 전(前)교수의 연구 근원을 찾을 수 있었다. 이들은 추후 방득룡 콘텐츠 서비스 시에 AIP, NASM, Lyman Spitzer 콘텐츠, 평양천문대, 화천조경천문대, 서울대와 연세대, 그리고 한국천문연구원까지 연계되어 전 세계 폭넓은 이용자들의 유입을 유도할 수 있는 검색 도구가 될 수 있다. 이번 방득룡 구술사 연구에서 구술자 개인의 주관적인 소회가 공식 기록이 다가갈 수 없는 역사적 실체에 일정 부분 가까울 수 있다는 것, 그리고 이를 통하여 개인의 역사는 공동체의 역사로 확장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 연구진은 방득룡 전(前)교수의 회상을 통하여 구술자 개인의 시각으로 한국과 미국 천문학계의 공동체 역사를 재조명할 수 있었고, 이것을 아카이브 콘텐츠 확장 서비스에 반영할 수 있다는 기대를 가지게 되었다. 무엇보다 이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주제의 아카이브로 연동될 수 있는 주제어와 검색도구를 구술자 개인의 회상으로부터 유효하게 도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향후 한국천문 구술아카이브의 확장을 통하여 보다 다양한 활용과 연구 재활용의 선순환이 가능하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이는 최근 기록학계에서 대두되고 있는 LOD(Linked Open Data)의 방향성과도 흡사하여 한국천문학 구술사연구의 차세대 통합형 기록관리의 미래모형을 기대케 하는 대목이다.

  • PDF

멀티미디어 기술 기반 방송제작 체계

  • 김경수
    •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 /
    • v.20 no.5
    • /
    • pp.10-16
    • /
    • 2002
  • 디지털 기술의 급속한 발전에 의한 디지털 방송의 도입은 방송환경에 커다란 변혁을 초래하고 있다. 기술의 발전은 방송, 통신, 컴퓨터를 융합시킨 새로운 미디어 서비스를 등장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미디어의 융합은 지금까지 독자적인 영역에서 발전하여 오던 각각의 미디어들이 가지고 있는 한계성 또는 단점을 상호보완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서비스 능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와같은 디지털 시대의 대변혁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그 중심축으로 하고 있으며, 이른바 방송통신 융합시대의 경쟁력 있는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한 미디어간, 국가간의 경계영역을 초월한 글로벌 경쟁체제가 급속히 진전되어 가고 있다. 이와 같은 미디어의 융합 현상에 따라 제작 환경도 새로운 디지털 방송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지원하도록 전환되어야 한다. 디지털 방송의 특징인 고품질 및 다채널 시대를 맞아 방송 콘텐츠의 재활용도를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데이터 방송, 인터넷 방송 등 다양한 기능의 서비스를 도입하기 위해선 제작 체계의 개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제작 환경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컴퓨터 기반의 제작 환경 구축에 핵심 요소인 넌리니어 편집시스템과 방송 콘텐츠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테이프 대신 하드디스크를 기록 매체로 하는 넌리니어(non-linear) 시스템의 등장에 따라 방송 프로그램 제작에 대한 새로운 개념의 정립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근간으로 하는 새로운 프로그램 제작환경, 즉 네트워크에 의해 컴퓨터와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여 제작으로부터 송출가지 통합관리가 가능한 새로운 방송 프로그램 제작환경, 이른바 멀티미디어 제작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디지털 방송 시대의 방송 사업자에게 가장 중요한 과제중의 하나가 되었다. 멀티미디어 제작환경을 구축함으로써 영상, 음성 및 다양한 부가 데이터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프로그램을 편리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필요한 영상 이미지를 자유롭게 합성, 조작하는 등, 매우 다양하고 편리한 제작기법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를 응용한 제작 분야로서 컴퓨터 그래픽스 기술은 방송의 사전제작에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으며, 이미 선거방송을 비롯한 여러가지 프로그램은 가상스튜디오와 가상캐릭터 기술을 활용하여 제작하고 있다. 방송사업자는 이러한 멀티미디어 제작시스템을 근간으로 영상검색, 영상 합성, 스크립트 편집, 가상현실 응용 등 고도의 제작 기법을 활용함으로써 사용자 친화성, 다이나믹한 표현, 실시간, 대화성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A Scheme for News Videos based on MPEG-7 and Its Summarization Mechanism by using the Key-Frames of Selected Shot Types (MPEG-7을 기반으로 한 뉴스 동영상 스키마 및 샷 종류별 키프레임을 이용한 요약 생성 방법)

  • Jeong, Jin-Guk;Sim, Jin-Sun;Nang, Jong-Ho;Kim, Gyung-Su;Ha, Myung-Hwan;Jung, Byung-Heei
    • Journal of KIISE:Computing Practices and Letters
    • /
    • v.8 no.5
    • /
    • pp.530-539
    • /
    • 2002
  • Recently, there have been a lot of researches to develop an archive system for news videos that usually has a fixed structure. However, since the meta-data representation and storing schemes for news video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previously proposed archive systems, it was very hard to exchange these meta-data. This paper proposes a scheme for news video based on MPEG-7 MDS that is an international standard to represent the contents of multimedia, and a summarization mechanism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hots in the news videos. The proposed scheme for news video uses the MPEG-7 MDS schemes such as VideoSegment and TextAnnotation to keep the original structure of news video, and the proposed summarization mechanism uses a slide-show style presentation of key frames with associated audio to reduce the data size of the summary video.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Metadata Elements for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cords Based on FRBR (무형문화유산 기록물을 위한 FRBR 기반 메타데이터 요소에 관한 연구)

  • Kim, Soojung;Kim, 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0 no.2
    • /
    • pp.119-141
    • /
    • 2013
  • This study develops metadata elements based on the FRBR model for effectively managing and retrieving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cords. Sinc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as a logical layer from its concept to a physical record that realizes the concept and it can be expressed in diverse formats such as video and audio, it is necessary to represent such rich relationship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set of metadata elements at each of the four levels (work, expression, manifestation, and item) the FRBR Group 1 presents.

A Systematic Approach to Producing Oral Records (체계적인 구술기록 생산을 위한 제언)

  • Sohn, Dong You;Kwon, Yong Ch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 /
    • v.13 no.1
    • /
    • pp.135-158
    • /
    • 2013
  • While academic discussions and methodological researches on oral history are being progressed in Korea, its exploitation has already begun to increase with a variety of methods and approaches in the private sector. Oral history is a new method of research, as well as another process of production of archives. In order to make valuable and highly qualified archives of oral history with the application of the aforementioned conditions and characteristics, its recognition, environment, process, and method should be improved and developed. From this point of view, it is regarded as reasonable that oral history is recognized as a part of the strategy for documentation. Oral history should be produced based on common sense and reasonable judgment, applying empirical know-how rather than logic or principles because it holds a great number of characteristics, which include variable elements in the field of oral history. In addition, its process or documentation methods should be improved and developed, giving consideration to thorough exploitation. The promotion or revitalization of oral history is a signal that announces the advent of new archives and the new subjects of history at the same time. Endeavors to produce highly efficient archives of oral history are expected to be continued with the complex accumulation of empirical assets achieved at academic discussions and its fields.

The Archival Method Study For Female Worker in the 1970s : Focused on (1970년대 여성 노동자 아카이빙 방법론 연구 전시 를 중심으로)

  • Lee, Hye Rin;Park, Ju Seok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63
    • /
    • pp.145-165
    • /
    • 2020
  • , in collaboration with Mary Kelly, Kay Hunt and Margaret Harrison, tells the story of workers in the 1970s. Since the late 1960s, the world has undergone many political and social changes, and social movements have been active to protect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including women, children and workers. This phenomenon led to the diversification of the collection of the general public, the community, and the minority, and the expansion of the artist's political remarks and themes in the art world. , completed in conjunction with these social issues, surveyed and recorded the reality of workers in a factory in London and produced it as a artwork. is a collaborative work of three artists, a record of workers in the 1970s, and a record of the labor situation, factory, and even the history of the reg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methods and features of , which dealt with the lives of women workers in the 1970s, based on social conditions.

Value and Prosect of individual diary as research materials : Based on the "The 12th May Diaries Collection" (개인 일기의 연구 자료로서의 가치와 전망 "5월12일 일기컬렉션"을 중심으로)

  • Choi, Hyo Jin;Yim, Jin Hee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 /
    • no.46
    • /
    • pp.95-152
    • /
    • 2015
  • "Archives of Everyday Life" refers to an organization or facility which collects, appraises, selects and preserves the document from the memory of individuals, groups, or a society through categorizing and classifying lives and cultures of ordinary people. The document includes materials such as diaries, autobiography, letters, and notes. It also covers any digital files or hypertext like posts from blogs and online communities, or photos uploaded on Social Network Services. Many research fields including the Records Management Studies has continuously claimed the necessity of collection and preservation of ordinary people's records on daily life produced every moment. Especially diary is a written record reflecting the facts experienced by an individual and his self-examination. Its originality, individuality and uniqueness are considered truly valuable as a document regardless of the era. Lately many diaries have been discovered and presented to the historical research communities, and diverse researchers in human and social studies have embarked more in-depth research on diaries, their authors, and social background of the time. Furthermore, researchers from linguistics, educational studies, and psychology analyze linguistic behaviors, status of cultural assimilation, and emotional or psychological changes of an author. In this study, we are conducting a metastudy from various research on diaries in order to reaffirm the value of "The 12th May Diaries Collection" as everyday life archives. "The 12th May Diaries Collection" consists of diaries produced and donated directly by citizens on the 12th May every year. It was only 2013 when Digital Archiving Institute in Univ. of Myungji organized the first "Annual call for the 12th May". Now more than 2,000 items were collected including hand writing diaries, digital documents, photos, audio and video files, etc. The age of participants also varies from children to senior citizens. In this study, quantitative analysis will be made on the diaries collected as well as more profound discoveries on the detailed contents of each item. It is not difficult to see stories about family and friends, school life, concerns over career path, daily life and feelings of citizens ranging all different generations, regions, and professions. Based on keyword and descriptors of each item, more comprehensive examination will be further made. Additionally this study will also provide suggestions to examine future research opportunities of these diaries for different fields such as linguistics, educational studies, historical studies or humanities considering diverse formats and contents of diaries. Finally this study will also discuss necessary tasks and challenges for "the 12th May Diaries Collection" to be continuously collected and preserved as Everyday Life Archiv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