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상계측

Search Result 66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3D Kidneys Measurements and Abdominal Obesity Level in Computed Tomography (전산화단층영상에서 콩팥 3차원 영상 계측치와 복부 비만도 간의 상관관계 분석)

  • Ji-Yeong Kim;Youl-Hun Se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17 no.3
    • /
    • pp.315-325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dict abdominal obesity with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 (3D CT) measurements of kidneys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kidney sizes and abdominal obesity level. The subjects were 178 healthy adults without underlying diseases who had a comprehensive health examination at the Health Medical Center of Jesus Hospital in Jeonju. Abdominal obesity was measured by CT cross-sectional image at the level of the umbilicus and divided into visceral fat area, subcutaneous fat area, visceral fat/total fat ratio. The average comparison of kidney sizes classified according to abdominal obesity were performed through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and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rrelate all measurement values. The results of kidney size ANOVA analysis according to abdominal obesity were as follows. The means of kidney measurements according to visceral fat classification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all kidney measurements (p<0.05). And in case of subcutaneous fat classification, the means of kidney measurements by 3D CT of the severe obesity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right kidney width (p<0.05). In case of visceral fat area/total fat area ratio, the means of kidney measurements by 3D CT of the severe obesity grou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both kidneys width (p<0.05). Pearson correlation between kidneys measurements and CT abdominal obesity showed that visceral fat area had the highest correlation with the left kidney width measured by 3D CT (r=0.467) and subcutaneous fat area had correlation with the right kidney width measured by 3D CT (r=0.249). The visceral fat area/total fat area ratio had correlation with the left kidney width measured by 3D CT (r=0.291).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recision and application of STIV using deep learning (딥러닝을 통한 STIV(영상유속계)의 정밀도 및 적용성 향상에 관한 연구)

  • Jeong, Jae Hoon;Kim, Yeon Joong;Hasegawa, Makoto;Yoon, Joug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78-78
    • /
    • 2021
  • 영상유속분석법은 비접촉식으로 유속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특히 홍수시 하천의 표면유속을 안전하게 계측할 수 있어서 경제적이고 안전한 하천유속 측정 방법 중 하나이다. STIV는 영상의 휘도 정보를 시간 방향으로 나열하여 작성된 STI(Space-Time Image)에 나타나는 패턴의 기울기를 이용하여 유속을 산정하는 방법이다. 특히 STIV(Space-Time Image Velocimetry)는 기존 입자군의 상호상관법에 기초한 입자영상유속계와 달리 표식자의 유무와 상관없이 유속을 측정할 수 있어 적용성과 안정성이 확보된다. 하지만 영상의 상태가 불량한 경우 정확한 유속 측정이 난해하며 야간에는 별도의 조명 추가 및 태풍과 같은 악기상에서는 빗방울이 카메라에 맺히거나 수면의 진동, 구조물의 진동에 의한 영상의 상태가 불량하게 되어 측정 정도가 떨어진다. 이처럼 영상을 이용한 유속 계측에 있어 다양한 연구 및 기술개발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상을 이용한 정확한 유속측정을 위해 STIV와 인공지능을 융합하여 정확한 유속 평가를 목적으로 한다. 우선 기존 STI에 의한 기울기 추정방법을 확장하여 딥러닝(CNN)에 의한 기울기 추정방법을 도입하였다. CNN은 일반적으로 이미지의 특성을 추출하는데 유용한 방법으로서 STI의 2차원 Fourier변환 이미지를 사용하여 패턴의 기울기를 감지하도록 학습하였고 적용 결과 기울기에 대한 인식율은 매우 양호하였으며 이를 이용한 실제 관측 영상에 적용한 결과 유속에 대한 정밀도도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다. 또한 딥러닝을 적용한 STIV는 노이즈(진동, 화면 불량 등)가 있는 영상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속을 산정할 수 있으며 전파유속계를 이용한 실제 하천의 표면유속 관측치와 비교 검토 결과 매우 양호하게 유속을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hange of Morphologic Pelvis and Deviation According to Gender, Age -Radiological Pelvimetry- (성별과 나이에 따른 골반 형태 변화와 골반 변위 -방사선영상을 이용한 골반 계측-)

  • Kang, Yeong-Han;Kim, Seon-Chil
    •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34 no.2
    • /
    • pp.91-9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nge of morphologic pelvis according to age and gender. Pelvis AP(anterior-posterior) projection were taken from 382 individuals (men: 194, women: 188) at the age of twenty and older. We measured four values of pelvis using CR (computed radiological system) including maximum pelvic breadth (MPB), sacral breadth (SB), transverse diameter of pelvic inlet (TD), and distance between femoral heads (DFH). Average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were calculated for comparison.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gender in case of MPB,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B (men 97.76 mm, women 102.00 mm), TD (men 138.0 mm, women 149.79 mm), and DFH (men 141.94 mm, women 150.39 mm). The DFH valu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ge (men r=-0.280, women r=-0.207).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pelvis were measured high in the men of 50's and in the women of 60's and 70's. The SB, TD and DFH were greater in the women than in the man. As the ages get higher, the deviation of pelvis were gradually increased, which indicates that the morphological changes of pelvis with respect to the age reflects an aging process.

Diagnostic Coincidence of Radiologic Measurement Methods of the Proximal Femur Anterior-posterior Projection for Assessment of Osteoporosis (근위대퇴부 정면 영상을 이용한 골다공증 평가 시 방사선적 계측의 진단일치도)

  • Kang, Yeong-Han;Cho, Kwang-H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6
    • /
    • pp.353-360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there are relationships between radiologic parameters for osteoporosis by the proximal femur radiograhps and bone mineral density, as assess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DEXA). Proximal femur anterior-posterior projection were taken from 112 individuals who undergoing DEXA. Radiographic parameters including canal-to-calcar ratio(CCR) and cortical thickness indices(CTI) were measured and compared with bone mineral density($g/cm^2$), T-score. The intramedullary femoral canal width(FW) and calcar width(CW) at osteoporosis group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The CCR were correlated negatively with bone mineral density($g/cm^2$)(r=-0.340, p<0.01), and the CTI were correlated positively(r=0.624). The diagnostic accuracy of CCR for osteoporosis was 63.4%, and kappa value was 0.271. And the accuracy of CTI was 67.0%, and kappa value was the level of fair agreement(${\kappa}$=0.258). The proximal femur with large CCR and small CTI had lower T-scores. When evaluating proximal femur anterior-posterior radiographs, those patients with the thinnest femur diaphyseal cortices should be referred for further osteoporosis investigation.

Super-Resolution Reconstruction using adjusted input image (보정된 입력영상을 이용한 초해상도 영상복원)

  • Um, Jong-Bum;Yun, Jong-ho;Choi, Myu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11a
    • /
    • pp.310-313
    • /
    • 2011
  • 초해상도 영상복원은 저해상도 영상을 이용하여 하나의 고해상도 영상을 획득하는 기법이다. 초해상도 영상복원은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구현된다. 단일 영상을 이용한 초해상도 영상복원과, 여러 장의 저해상도 영상을 이용한 초해상도 영상복원 기법이 연구되고 있다. 여러 장의 저해상도 영상을 이용한 공간영역에서의 초해상도 영상복원 알고리즘은 크게 정합, 보간, 후처리 과정을 거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정합과정 이전에 입력영상보정을 통한 전처리과정을 수행하여 잡음으로 인한 부정확한 위치정보추정 확률을 감소시키고, 입력영상보정과정인 전처리과정으로 인해 후처리과정을 통한 영상복원 영상보다 향상된 영상을 획득하는 기법을 제안하며, 실험결과에서 기존의 방법보다 좋은 영상을 얻음을 확인하였다.

Measurement of Lateral Prestress Force of UHPC Cross Beam using the Smart Tendon (스마트강연선을 이용한 UHPC 가로보의 횡방향 긴장력 계측)

  • Kim, Hyun-Woo;Kim, Jae-Min;Kim, Young-Jin;Kim, Young-Sang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1.04a
    • /
    • pp.178-18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광섬유센서를 내장한 스마트강연선을 이용하여 초고성능콘트리트로 제작된 하이브리드 사장교 세그먼트의 횡방향 도입 긴장력을 계측하고 세그먼트 내부의 프리스트레스를 계측하여 즉시손실에 해당하는 정착장치 활동에 의한 손실과 마찰손실을 도로교설계기준(2005)의 설계 마찰손실과 비교하였다. 제작된 2개의 UHPC 사장교 세그먼트는 횡방향 길이 16.7m, 종방향 길이 1.75m, 높이 1.5m이며 각 시험체의 1/4, 1/2, 3/4지점에 긴장력을 계측하기 위해 3개의 FBG센서를 배치하였다. 긴장력은 유압잭을 이용하여 5개의 강연선에 동시에 순차적으로 도입되었으며, 단부에서 최대 도입 긴장력은 세그먼트 1은 734kN, 세그먼트 2는 639kN이었다. 도로교설계기준에 제시된 마찰계수의 중간값(파상마찰계수=0.00405, 곡률마찰계수=0.20)을 사용하여 FBG센서 위치에서 계산된 긴장력은 계측치와 5% 이내의 차이를 보였으며, 정착장치 활동에 의한 순간손실은 긴장단에서 최대 12.8%로 계측되었다. 이로부터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긴장력계측방법의 적용성을 입증할 수 있었으며, 향후 이 방법은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의 설계기준 마찰계수 개정을 위한 연구에 좋은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Study of discharge measurement in compound open channel using LSPIV (표면영상유속계를 이용한 홍수시 복단면 하천 유량 측정 연구)

  • Lee, Jun Hyeong;Kim, Seo Jun;Lee, Yun Ho;Yun, Byeong-M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3-23
    • /
    • 2021
  • 영상유속계는 영상을 이용한 비접촉식 유속계로 하천과 같은 넓은 범위의 유속 및 유량을 쉽고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국내외에서 영상유속계의 실용화 연구가 다양하게 수행되고 있다. 특히 영상유속계는 별도의 고가의 장비 없이 카메라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비교적 경제적이고 간편하며 비접촉식 유속 측정 방법이기 때문에 안전하게 홍수기 하천 유속 및 유량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넓은 범위의 유속을 순간적으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시간에 따라 수위가 급변하는 중규모 이하의 하천 유량을 측정하는데 적합하다. 하지만 영상유속계로 측정한 유속은 표면유속이기 때문에 하천 유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표면유속에 환산계수를 곱해 평균유속으로 환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환산계수는 이전 연구에서 실험을 통해 0.84~0.90의 값을 갖는다고 하였고 일반적으로 0.85를 사용하지만, 하상, 수심 및 단면에서의 측정 위치에 따라 달라지므로 확실하게 결정하기 어렵다(Turnipseed and Sauer, 2010). 특히 국내의 많은 하천은 산책로를 포함한 복잡한 복단면으로 이루어져 있어 환산계수를 일률적으로 0.85로 사용하면 유량 측정 정확도가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탄천 대곡교에서 영상유속계를 이용하여 홍수기 유량 측정을 수행하여 흐름 특성에 따른 수위변화에 따라 적정 환산계수를 산정하였다. 탄천 대곡교 지점은 환경부의 자동유량계측 장비가 설치되어 있고 다년간의 검증된 유량 자료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환경부 유량측정 결과와 영상유속계로 산정한 유량을 비교하며 환산계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수위에 따라 환산계수는 0.7~1.3의 범위를 갖으며 둔치수위 이하에서는 0.85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둔치를 넘는 수위에서는 1 이상으로 환산계수가 증가하였다가 둔치가 완전히 잠기는 수위에서는 다시 0.85 정도로 변화하는 경향을 확인하였다. 향후 영상유속계를 이용한 다양한 홍수기 계측을 통해 복단면에서의 적정 환산계수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