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영농 어려움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해외농업정책 - 고령농도 즐겁게 영농을 할 수 있는 "즐거운 농법"

  • 테라오까
    • 농업기술회보
    • /
    • v.50 no.3
    • /
    • pp.14-17
    • /
    • 2013
  • 일본은 우리의 농촌보다 먼저 고령농이 먼저 진행되었다. 이에 고령농에 대한 각종 지원을 통하여 지속가능한 영농을 통하여 고령농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 그중에서 영농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는 "즐거운 농법"을 통하여 건강한 삶의 이어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봄이 되면 벚꽃으로 유명한 나라(奈良)현 요시노(吉野)산의 주변에는 일본에서도 유영한 감의 산지이다. 가을이 되면 산전체가 감색으로 물들 정도로 산전체가 장관을 이루지만, 대부분이 경사지로 이루어져 고령농들이 작업을 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때문에 요시노(吉野)군 시모이치쵸(下市町) 토치바라(?原)지구의 지역민들과 함께 "고령자의 영농을 지원하는 "즐거운 농법"의 개발"이라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 PDF

Factors Influencing Urban to Rural Migration for Farming (귀농인의 영농 어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 Choi, Yoon-Ji;Shin, Hyo-Yeon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3 no.3
    • /
    • pp.335-346
    • /
    • 2016
  • For the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urban to rrual migration for farming. This study analyzed 217 urban to rural migrant farmer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influence of the main variables on the agricultural challenges of the urban to rural migrant farmers were observed as the relationship of the level of financial preparations, the motivations of urban to rural migration, the agricultural income, the annual of urban to rural migration, the size of agricultural, gender, and age. This study result show that urban to rural migrant farmers' agricultural challenges is influenced by almost economical factors. Therefore, for the successful agricultural activities of the urban to rural migrant farmers show significant impact to need on the composite effort of all such as the individual, the family, the rural society, local autonomous entity, the government.

Research Trends and Future Direction for Sustainable Agricultural and Forest Management (지속가능한 영농·영림을 위한 국내외 연구동향 및 향방)

  • Kim, Hakyoung;Choi, Sung-Won;Kim, Joon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17 no.3
    • /
    • pp.236-247
    • /
    • 2015
  • Domestic agricultural and forest management suffers disturbances arising from rapid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including climate change. Sustainable management has emerged as a key to overcoming these challenges. From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viewpoint, we have identified mainly three (i.e. indicator, accounting, and ecological) approaches to sustainable management of agricultural and forest ecosystems. Compared to persistent investment in indicator and accounting approaches, we find the paucity of the domestic efforts in ecological approach. The latter approach can be facilitated based on the long-term meteorological and flux data including the ecosystem-level energy, matter and information flows, which have been monitored and manag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and Korea Forest Service. In order to keep up with vigorous international efforts toward sustainable ecosystem management, more interdisciplinary, multidisciplinary and transdisciplinary collaborations among diverse domestic sectors and institutes are essential.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iculty of Securing Farmland and Demand for Farmland Information (농지확보의 어려움과 농지정보 수요간의 관계 분석)

  • Yi, Hyang-Mi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11
    • /
    • pp.264-272
    • /
    • 2020
  • In this study, for the people who turned or returned to farming (the "Returnees"), information provision measures were sought, focusing on "farmland," for their difficulties in the settlement phase and finding a way for their new agricultural companies to settle in the farming business stabl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sidered endogeneity using a bivariate probit mode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there is a strong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ifficulty of securing farmland and the demand for providing farmland information in the settlement phase. Therefore, to ensure the stable settlement of the Returnees,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spond to their demand through the provision of farmland information. Second, for young returnees, the probability of encountering difficulties in securing farmland is high during the settlement phase. Third, if the young returnees returned to farming after seeing the possibility of agricultural development, the possibility of securing farmland in the settlement stage decreases, and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demand for farmland information also decreases. Fourth, it was found that if the returnees intend to expand the scale of farming in the future, it is difficult to secure farmland in the settlement phase, and the demand for farmland information also increases.

관행농업과 친환경농업의 조화

  • Hyeon, Hae-Nam
    • Life and Agrochemicals
    • /
    • s.251
    • /
    • pp.12-15
    • /
    • 2009
  • 우리나라는 병해충 발생이 많고 토양도 너무나 척박하다. 친환경농자재의 효과는 논란의 중심에 서 있다. 특히 화학제품을 이용한 미량원소가 함유될 수 없기 때문에 미량원소 결핍현상도 자주 나타난다. 효과가 중요하지만 친환경농자재에서 효과를 얘기하는 것도 어려움이 많다. 양자를 조화시킨 한국형 과학영농이 논의되어야 할 시점이다.

  • PDF

Status in Employment in the Agricultural Sector and Analysis Demand Factors : Evidence from Gangwon, South Korea (강원도 농업부문 고용인력 실태 및 수요 결정요인 분석)

  • Yi, Hyangmi;Goh, Jongtae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 /
    • v.24 no.1
    • /
    • pp.47-60
    • /
    • 2018
  • 계획적이고 안정적인 영농을 위해 영농작업 인력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농가인구의 감소로 인한 농업인력 확보의 어려움과 농업노동 임금의 지속적인 증가는 경영주에게 이중의 고통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가처분가능소득이 전국에서 가장 높은 강원도를 지역 표집으로 선정하여 Bivariate Probit 모형을 이용해 내국인과 외국인 고용의 상호 관계를 고려한 고용인력 수요 결정요인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3개월 이상 노동력을 고용하는 농가들의 경우 내국인 고용수요와 외국인 고용수요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형적인 도시근교 농업의 특징을 나타내는 춘천시에 비해 강원도내 타 지역 농가들은 다른 변수들이 일정할 경우 내국인과 외국인의 고용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젊은 경영주일수록 내국인 상시 고용에 대한 수요가 높고, 농가조직에 참여하고 있는 농가일수록 자가노동 확률은 0.13% 감소하고, 상시 농업 노동력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종합한 농업 노동력 확보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첫째, 상시고용된 농업인력들을 대상으로 국내외 문화 차이를 인지하고, 내국인 노동자와 외국인 노동자간의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영농교육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각 지역별로 내국인 또는 외국인 노동자의 상시고용 수요가 상이한 것으로 나타나 강원도내 지역별 농산업 현황을 기반으로 "(가칭)강원도 농업 인력 수급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청년창업농과 농가조직 참여 농가들을 대상으로 농작업 상시고용 인력을 우선적으로 매칭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Application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Estimating Drainage from Paddy Plots (논에서의 지표배수량 산정을 위한 인공신경망기법 적용)

  • Ahn, Ji-Hyun;Kang, Moon-Seong;Song, In-Hong;Lee, Kyong-Do;Jang, Jeong-Ryeol;Song, J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295-295
    • /
    • 2012
  • 영농기간 동안 논에서의 유출량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강우와 관개를 고려하여 논에서의 물수지를 파악하여야 한다. 효율적인 물수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관개량과 지표 유출량의 기작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지표 유출량의 경우 현장 관리나 영농 조건 변화 등에 따라 정확한 현장 자료 수집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 지역시스템공학과에서 운영하고 있는 평택의 논 포장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영농기간 동안 모니터링을 실시한 뒤 논에서의 물수지에 요구되는 현장자료를 수집하였다. 모니터링을 통해 수집된 기초 수문 자료를 활용하여 물수지식에 적용한 뒤 논 포장에서의 지표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모니터링을 통하여 수집된 담수심, 강우량, 관개량 자료와 증발산량 산정에 있어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기상자료를 활용하여 입력자료를 구축한 뒤, 인공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지표 유출량 추정 모형을 구성하였다.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구축된 학습 자료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여 매개변수를 결정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유출량의 모의치와 물수지식을 통하여 산정된 유출량 값을 비교하여 모형을 검증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형은 지속적인 현장 모니터링과 이를 통하여 축적된 장기간의 수문자료를 활용하여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pplication of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Estimating Drainage from Paddy Plots (논에서의 지표배수량 산정을 위한 인공신경망기법 적용)

  • Ahn, Ji-Hyun;Kang, Moon-Seong;Song, In-Hong;Lee, Kyong-Do;Jang, Jeong-Ryeol;Song, J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460-460
    • /
    • 2012
  • 영농기간 동안 논에서의 유출량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기 위해서는 강우와 관개를 고려하여 논에서의 물수지를 파악하여야 한다. 효율적인 물수지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관개량과 지표 유출량의 기작을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지표 유출량의 경우 현장 관리나 영농 조건 변화 등에 따라 정확한 현장 자료 수집에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대학교 지역시스템공학과에서 운영하고 있는 평택의 논 포장을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여 영농기간 동안 모니터링을 실시한 뒤 논에서의 물수지에 요구되는 현장자료를 수집하였다. 모니터링을 통해 수집된 기초 수문 자료를 활용하여 물수지식에 적용한 뒤 논 포장에서의 지표 유출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모니터링을 통하여 수집된 담수심, 강우량, 관개량 자료와 증발산량 산정에 있어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기상자료를 활용하여 입력자료를 구축한 뒤, 인공신경망 모형을 이용한 지표 유출량 추정모형을 구성하였다.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구축된 학습 자료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하여 매개변수를 결정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유출량의 모의치와 물수지식을 통하여 산정된 유출량 값을 비교하여 모형을 검증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모형은 지속적인 현장 모니터링과 이를 통하여 축적된 장기간의 수문자료를 활용하여 그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엘니뇨와 문제 병해충 - 여름 잦은비 예상돼 도열병 $\cdot$ 벼멸구 걱정 - 관련정보 수집$\cdot$분석 및 방제$\cdot$영농대책에 적극 참여해야

  • 한국농약공업협회
    • Agrochemical news magazine
    • /
    • v.19 no.1 s.142
    • /
    • pp.26-28
    • /
    • 1998
  • 남미의 페루연안에서 적도에 이르는 태평양상의 수온이 2$\~$6년 주기로 올라가 세계 각지에 홍수, 가뭄, 폭설 등을 몰고 다닌다는 기상이변의 주범인 엘니뇨 현상은 과연 우리나라는 안전지대인가? 그렇다면 지난한해동안 논란이 계속돼온 엘니뇨 현상이 과연 올해에는 우리나라 농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것인가는 모든이의 궁금 사하이 아닐 수 없다. 물론 기사이변을 예측하는데는 고도의 과학적 자료와 분석능력이 뒷따라야 하기 때문에 쉽게 접근할 수 없다는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농림부는 그동안 각종 자료를 꾸준히 분석하여 엘니뇨 발생에 따른 병 해충 발생양상을 예견해 보고 이에 대비한 영농대책을 마련, 시행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농림부는 어떤 예측을 하고있으며 그에 따른 대책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본다.

  • PDF

Estimating Seasonal Runoff Ratio of Paddy Field (논의 시기별 유출율 산정)

  • Jung, Jae-Woon;Yoon, Kwang-Sik;Choi, Woo-Jung;Choi, Woo-Young;Lee, Soo-Hyung;Chang, Nam-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770-774
    • /
    • 2008
  • 현장 계측을 통한 오염부하량 산정은 많은 시간, 노력, 비용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오염부하 추정에 관한 많은 방법론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개발되고 있는 중이다. 논오염부하 추정을 위한 일환으로 강우사상평균농도(Event Mean Conentration, EMC)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오염부하량 산정을 위해서는 농도이외의 주요 매개변수인 유출량 산정 또한 중요하다. 하지만 논의 경우 실제 유출량 자료는 흔치 않다. 우리나라의 경우 영농활동이 시기별, 지역별로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이러한 점을 이용하면 유출율을 추정하는데 용이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04년부터 2007년 영농기 강우-유출량 실측 자료를 이용하여 시기별 유출특성을 파악하고, 논의 시기별 유출율을 제안하였다. 논의 시기별 유출율을 산정하기 위한 시험지구는 영산강 수계내에 위치한 전라남도 함평군 엄다면 화양리 13.69 ha 논지구이며, 2004년부터 2007년 영농기(5월$\sim$9월)동안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논 배수로 말단에 수위계를 설치하여 수위-유량관계식을 이용하여 유량을 구하였고, 직선분리법을 이용하여 직접유출과 기저유출을 분리한후 강우량과 유출량의 비를 통하여 월별 평균 유출율을 산정하였다. 5월, 6월, 7월, 8월, 9월에 내린 평균 강수량은 각각 40.2, 50.1, 75.4, 75.8, 136.8 mm로 나타났고, 영농기 월별 평균 직접유출량은 각각 9.1, 26.6, 34.6, 42.9, 79.6 mm로 나타났다. 강우량과 유출량의 비를 통해 4개년 5월, 6월 7월 8월 9월 평균 유출율은 각각 0.18, 0.42, 0.40, 0.44, 0.49로 나타나 논의 경우 시기별로 유출율이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