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엽리

Search Result 139,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Case Study of Derivation of Input-Parameters for Ground-Structure Stability on Foliation-Parallel Faults in Folded Metamorphic Rocks (단층 발달 습곡지반 상 구조물 안정성을 위한 설계정수 도출 사례 연구)

  • Ihm, Myeong Hyeo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2
    • /
    • pp.467-472
    • /
    • 2020
  • Methods for deriving design input-parameters to ensure the stability of a structure on a common ground are generally well known. Folded metamorphic rocks, such as the study area, are highly foliated and have small faults parallel to the foliation, resulting in special research methods and tests to derive design input parameters, Etc. are required. The metamorphic rock ground with foliation development of several mm intervals has a direct shear test on the foliation surface, the strike/dip mapping of the foliation, the boring investigation to determine the continuity of the foliation, and the rock mass rating of the metamorphic rock. etc. are required. In the case of a large number of small foliation-parallel faults developed along a specific foliation plane, it is essential to analyze the lineament, surface geologic mapping for fault tracing, and direct shear test. Folded ground requires additional geological-structural-domain analysis, discontinuity analysis of stereonet, electrical resistivity exploration along the fold axis, and so on.

영양-울진지역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의 변형작용사

  • 강지훈;김남훈;박계헌;송용선;옥수석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5a
    • /
    • pp.84-85
    • /
    • 2003
  • 소백산육괴의 동부에 분포하는 영양-울진지역의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는 평해층, 기성층, 원남층, 평해화강편마암, 하다우백질화강편마암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김옥준 외, 1963). 그러나, 최근 김남훈 외(2001, 2002)은 야외조사연구와 암석학적 및 지구화학적 연구를 통하여 주로 변성화산암류로 기재되었던 기성층은 변성화산암류가 아니라 평해층과 원남층에서 산출되는 화강암질편마암과 각섬암 기원의 변성암류가 연성전단변형을 받아 형성된 압쇄암 내지 초압쇄암으로 되어 있고, 기존의 기성층은 변성화산암류와 같이 성분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층이 아닌 구조적으로 만들어진 연성전단대의 중심부일 가능성을 시사한 바가 있다. 본 연구는 연성전단대의 연장성 및 연성전단대 형성과 관련된 지구조운동의 특성을 파악하고, 중첩된 변형구조들의 선후관계로부터 영양-울진지역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에 대한 변형작용사를 규명하기 위해 기성층의 분포지를 중심으로 이 지역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에 대한 상세한 야외지질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예천(북후면-평은면)지역을 통과하여 봉화 부근에서 동북동-서남서 방향이 동-서 방향으로 전환하여 장군봉지역까지 연장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우수 주향 이동성 예천전단대(KIGAM, 1995; 강지훈 외 1997; 강지훈, 2000; 강지훈과 김형식, 2000)는 영양-울진지역까지 연장됨이 확인된다. 또한, 영양-울진지역의 선캠브리아기 변성암류에는 연성전단변형 이전에 적어도 한 번의 습곡작용과 이후에 적어도 두 번의 습곡작용이 인지된다. 각 변형단계별 특징적인 구조요소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D1 변형: 편마면 내지 편리(S0)가 습곡되어 형성된 F1 습곡은 동-서 방향의 준 수평적인 습곡축을 갖는 뿌리 없는 등사습곡 형태로 인지된다. 양 날개부의 S0 엽리는 F1 습곡축면(S1)으로 완전히 전위된 하나의 엽리(S0-1)로 나타나고, S0-1 엽리는 이 지역의 광역엽리로 인지된다. S0-1 광역엽리는 구성암류의 대상 분포 방향과 유사한 서북서 주향에 북쪽으로 중각 경사하는 집중된 방향성을 보이며 분산되어 나타난다. D2 변형: 변형구조로는 신장선구조, 압쇄구조면, 비대칭습곡 등으로 인지된다. 신장선구조는 S0-1 엽리면상에서 주로 신장된 석영(집합체)과 장석(집합체)들의 정향배열에 의해 정의되고, S0-1 엽리의 주향 방향으로 저각으로 침강하는 집중된 방향성을 보이며 분산되어 나타난다. 신장선구조에 평행하고 S0-1 엽리에 수직한 단면에서는 상부-동쪽-이동의 우수주향 이동성 연성 전단운동감각을 지시하는 구조요소들이 다량 관찰된다. 연성전단변형에 의해 형성된 압쇄구조면은 전단엽리와 압쇄엽리에 각각 해당하는 C면과 S면 등이 인지된다. 전단엽리 C면은 S0-1 광역엽리와 거의 일치하고, 압쇄엽리 S면은 F2 비대칭습곡의 축면엽리와 거의 일치한다. S0-1 엽리를 습곡시키는 F2 비대칭습곡은 S0-1 엽리를 전단면으로 하여 상부-동쪽-이동 전단운동에 의해 형성된 밀착습곡 형태로 인지된다. F2 습곡축은 북동 방향으로 중각 내지 저각 침강하고 F1 습곡축과는 65$^{\circ}$-75$^{\circ}$ 범위의 사이각을 이룬다. F2 습곡축면은 동북동 주향에 북쪽으로 중각으로 경사하고 F1 습곡축면과는 20$^{\circ}$-40$^{\circ}$ 범위의 사이각을 이룬다. D3 변형. S0-1 엽리와 압쇄구조면 등을 습곡시키는 F3 습곡은 준 수평적인 습곡축과 습곡축면을 갖는 개방 횡와습곡의 형태로 인지된다. D4 변형: F4 습곡은 비대칭 공역성 킹크습곡, 공역성 충상단층에 수반되어 나타나는 드래그습곡, 대칭 개방 직림습곡 등의 다양한 습곡 형태로 인지된다. 이들 F4 습곡의 축면엽리는 일반적으로 동-서 주향에 남쪽과 북쪽으로 경사한다. 그 경사각은 비대칭 공역성 킹크습곡(저각), 드래그습곡(중각), 대칭 개방 직립습곡(고각) 순으로 고각을 이룬다. F4 습곡축은 동쪽과 서쪽으로 저각 침강하는 집중된 방향성을 보인다. 공역성 충상단층은 동-서 주향에 남쪽과 북쪽으로 경사하는 단층면과 상부가 북쪽과 남쪽으로 충상하는 운동상을 보인다. 드래그습곡의 축면엽리는 이러한 공역성 충상단층운동의 전단압축방향에 수직으로 발달한다. 이러한 D4 변형구조는 남-북 방향의 압축 지구조 환경하에서 형성된 것으로 고찰된다.

  • PDF

홍성 토날라이트에서 관찰되는 화성기원의 엽리와 조직

  • 김장하;조문섭
    • Proceedings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5a
    • /
    • pp.52-52
    • /
    • 2003
  • 경기육괴 서남부에 위치한 홍성지역의 기반암은 선캠브리아 화강암질 편마암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적어도 일부는 신원생대(약820 Ma) 시기에 관입한 토날라이트질 심성암체로 구성된다. 토날라이트의 주 구성광물은 석영, 사장석, 흑운모, 각섬석이며, 저어콘, 스핀, 녹니석, 인회석 등이 소량으로 산출한다. 이 연구에서는 야외 및 미세구조 관찰을 통해, 홍성 화강암질암에서 나타나는 구조적 요소들이 화성기원임을 보고한다. 홍성 토날라이트에서 관찰되는 구조들이 화성기원인 증거는: (1) 엽리가 연속성이 부족하고 주향과 경사가 불규칙하며, 드물게는 사층리처럼 보이기도 한다. (2) 자형 내지 반자형의 장석과 각섬석이 엽리면에 평행 또는 준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반정 주변에는 음영대(pressure shadow)가 발달하지 않는다 (3) 고철질 포획체(mafic enclave)는 주변암의 엽리에 평행하게 신장되어 있고, 완전히 고화 되지 않은 상태에서 형성되는 불꽃 구조(flame structure)가 드물게 관찰된다. (4) 고철질 포획체의 주 구성광물인 흑운모와 각섬석은 주변암의 엽리와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으나, 소성변형의 증거를 보이지 않는다. 홍성 토날라이트에서 관찰되는 모든 조직들이 화성기원이라고 주장하기는 어렵지만, 모두 고체상태에서의 변형작용으로 설명하기는 더욱 힘들다. 후자가 화성기원의 조직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었는지는 추후의 연구를 통해 밝혀져야 할 것이다.

  • PDF

Nature of contact between the Ogcheon belt and Yeongnam massif and the Pb-Pb age of granitic gneiss in Cheondong-ri, Danyang (단양 천동리 지역 옥천대/영남육괴의접촌관계와 소위 화강암질 편마암의 Pb-Pb 연대)

  • 권성택;이진한;박계헌;전은영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4 no.2
    • /
    • pp.144-152
    • /
    • 1995
  • The Jangsan Quartzite of the Joseon Supergroup and the foliated granite (so-called granitlc gneiss of presumed Precambrian age) of the Yeongnam massif are in direct contact at Cheondong-ri area, 6 km @SE of Danyang. sllthough it has been thought traditionally that the Jangsan Quartzite overlies unconformably the f&ted granite, it is difficult to interpret the contact as an unconformity smce the basal conglomerate in- the lower part of the Jangsan Quartzite does not have any clast of the foliated granite, Rather, recent structural studies of this area indlcate that the contact is a ductile shear zone. However, the sense and age of the shear movement are still problematic. Our mesoscopic and microscopic studies of &tre Cheondong-11 semi-brittle shear zone involving foliated cataclasite and phyllonite, which is a pa& of the Ogdong fault, indlcate a top-to-the northeast shearing, i.e., dextral strike slip. We also performed Pb-Pb dating for the age-unknown foliated granite, since the age of deformed granite ccarr emtrain the maximum age of deformation. The whole rock and feldspar Pb isotape data for the foliated granite and a micaceous xenolith define an isoc chron age of $2.16{\pm}0.15$ Ga ($2{\sigma}$;MSWD=4.4) which is interpreted as the emplacement age of the granite. This early Proterozoic age agrees with those of Precambrian igneous activity In the Yeongnam massif reported previously. The obtaiPrfid gge confirms the traditional idea about the age of the foliated granite and indicates that other methd(s) should be employed to constrain the age of the shear movement.

  • PDF

Development Pattern and Ductile Deformation of the Sancheong Fe-Ti Mineralized Zone, Korea (산청 철-티탄 광화대의 발달양상과 연성변형)

  • Ryoo, Chung-Ryul;Kim, Jong-Sun;Son, Moon;Koh, Sang-Mo;Lee, Han Yeang;Kang, Ji-Hoon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2 no.2
    • /
    • pp.209-217
    • /
    • 2013
  • Fe-Ti ore bodies occur in the western part of the Sancheong anorthosites around Banggok-ri, Sancheong, Korea. Within ore bodies, a several centimetric size of anorthositic breccia are enclaved by ore-bearing mafic part and deformed strongly as a sigmoidal form by ductile shearing. The ore bodies have a general N-S trending foliations with westward dipping directions. The foliation developed in the ore bodies cut the foliation in anorthosites. The stretching lineations are well developed in the foliated plane of the ore bodies, showing ENE-trending with gentle plunging angle to the ESE direction. The sigmoidal patterns of anorthositic breccia in the ore bodies indicates the top-to-the-eastnortheastward shearing. Thus, in this study area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ometric pattern and the ductile deformation is an important fact to understand the Sancheong Fe-Ti mineralized zone, Korea.

Slope Failure Along the Weathered And Mobilized Foliation Plane : Studies for Causes of the Failure and the Supporting Methodologies (풍화된 엽리면을 따라 붕괴된 대절토 사면의 붕괴요인 분석과 보강방안에 대한 연구)

  • Hwang, Sang-Gi;Kim, Young-Muk;Ji, In-Taeg;Jeon, Byoung-Ch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9.09a
    • /
    • pp.775-784
    • /
    • 2009
  • Weathered foliation could act as a critical failure plane because this type of plane tend to have low roughness and long extensions. A big constructed slope at $\bigcirc\bigcirc$ road construction site was failed due to the block movement along a fault zone which is parallel to foliation. Tectonic activity reactivated a fault zone parallel to foliation, and the fault clay within the shear zone metamorphosed retrogressively to chrolite. The failed block moved when the block weigh lost the balancing with the resisting force of the retrogressively metamorphosed chrolite. Evaluating the three dimensional distribution of the foliation was critical for establishing a plan for the stabilization of the slope. For this purpose, 10 boreholes were drilled as a lattice distribution, and the BIPS analyses are performed at each boreholes. The fractures measured in the boreholes are projected into 15 cross sections and their distributions are analysed, using Fracjection software. The projection analyse show that the strike of the foliation gets dipper towards left side of the slope. This geometry indicates that there are more failure block geometry at left side of the slope. Potential failure planes are searched using the projection method, and these information are provided for further support design.

  • PDF

Genetic Relationship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e-Ti Ore Body and the Sancheong Anorthosite, Korea (산청 회장암과 철-티탄 광체의 구조적 특징과 발생적 관계)

  • Kang, Ji-Hoon;Lee, Deok-Se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7 no.6
    • /
    • pp.571-588
    • /
    • 2014
  • It consists of the Precambrian Jirisan metamorphic complex and Sancheong anorthosite complex and the Mesozoic granitoids which intrude them in the Sancheong area, the Jirisan province of Yeongnam massif, Korea. The study area is located in the western part of the stock-type Sancheong anorthosite complex. We performed a detailed fieldwork on the Sancheong anorthosite (SA) and Fe-Ti ore body (FTO) which constitute the Sancheong anorthosite complex, and reinterpreted the origin of FTO foliation and the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them from the foliations, shear zones, occurrences of the SA and FTO. The new structur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m are as follows: the multilayer structures of FTO, the derived veins of straight, anastomosing uneven types and block structures related to the size reduction of SA, the gradual or irregular boundaries of SA blocks and FTO showing bulbous lobate margins and comb structures, the FTO foliation and linear arrangements of flow occurrence which is not ductile shear deformation, the discontinuous shear zone of SA, the orientation of FTO foliations parallel to the boundaries of SA blocks, the predominance of FTO foliations toward the boundaries of SA blocks and being proportional to the aspect ratio of plagioclase xenocrysts and SA xenoblocks, and the flow folding structures of FTO foliation. Such field evidences indicate that the SA is not fully congealed when the FTO is melt and the fracturing of partly congealed SA causes the derived veins of FTO and the size reduction of SA. Also the gradual or irregular boundaries of SA blocks and FTO result from the mutual reaction between the not fully congealed SA blocks and the FTO melt, and the FTO foliation is a magmatic foliation which was form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FTO melt and the partly congealed SA blocks. Therefore, these suggest that the SA and FTO are not formed from the intrusion of different magmas in genesis and age but from a coeval and cogenetic magma through multiple fractionation. We predict that the FTO will show an very irregular occurrence injected along irregular fractures, not the regular occurrence like as the intrusive vein and dike. It can be applied to the designing of Fe-Ti mineral resource exploration in this area.

Correlation between Mineralogical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the Micro-Textures in Manganese Nodules (망간단괴 미세조직에 따른 광물조성과 화학조성의 상관관계)

  • 최헌수;장세원;이성록
    • Journal of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3 no.4
    • /
    • pp.205-220
    • /
    • 2000
  • 북동태평양 C-C지역의 우리나라 광구에서 산출되는 망간단괴의 내부조직을 크게 주상조직 층상대, 첨상조직 층상대, 첨상조직 괴상대, 첨상조직 다공질대 및 괴상조직 괴상대로 구분하였다. 주상조직 층상대에서는 버나다이트(vernadite)가 가장 우세하게 산출되며, 첨상조직 층상대에서는 부서라이크(buserite)가 함께 산출된다. 첨상조직 괴상대는 부서라이트의 산출이 두드러지며, 부분적으로 토도로카이트(todorokite)가 수반된다. 첨상조직 다공질대는 첨상체 또는 구상체로 이루어지며 부분적으로 괴상조직으로 교대되는데 주로 토도로카이트와 부서라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괴상조직을 갖는 괴상대에서는 토도로카이트와 버네사이트(birnessite)가 부서라이트와 함께 산출된다. 각 조직대별로 미세조직을 이루는 엽리들에 대해 전자현미분석을 실시하였다. 엽리의 화학조성을 구성하는 요인은 상관계수 군집분석에 의해 Mn-K의 Mn군, Cu-Ni-Zn-Mg(Ca-Na)의 Cu-Ni-Mg군 Fe-Co-Ti(Ca-P)의 Fe군과 Si-Al의 Si군 등 네 개군으로 구분된다. 각 조직대는 세 개 또는 네 개의 군으로 구성되며 이들 각군은 단괴에서 산출되는 광물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Mn군은 토도로카이트, Cu-Ni-Mg군은 부서라이트, Fe군은 함코발트수산화철광물, 그리고 Si군은 규산염광물에서 주로 기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엽리의 화학조성은 이들 광물의 조합과 구성광물의 화학조성에 따라 지배되고 한 조직대내에서도 여러종류의 조합을 보이는데 이는 각 조직대의 엽리들의 성인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변성암석학과 구조지질학에서 석류석 반상변정의 중합적인 의의: 조산운동의 온도-압력-변형-시간 경로 해석

  • Kim, Hyeong-S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02a
    • /
    • pp.138-144
    • /
    • 2005
  • 석류석은 변성 온도와 압력을 계산하는 지온지압계에 널리 사용되며, 또한 이들 내부엽리와 외부엽리와의 접촉 관계를 이용하여 상대적인 변형작용의 시기를 밝히는 데 이용되어져 왔다. 석류석 반상변정 내의 내부 엽리 조직에 대한 정량적인 해석과 내부 미세 구조와 화학적 누대구조와의 관계에 대한 접근 방법은 석류석이 형성되는 동안에 온도-압력-변형작용의 진화 과정을 보다 정량적으로 해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절대 연령 자료와 결합은 조산 운동 동안 발생하는 다변성/다변형 작용의 특징 보여주는 온도-압력-변형-시간 경로를 규명할 수 있다. 미국 메사추세츠 주 북중부 지역에서 십자석, 남정석과 함께 산출되는 석류석 반상변정은 온도-압력이 증가(540-570 $^{\circ}C$, 4.0-5.0 kbar에서 620-637 $^{\circ}C$, 7.9-8.8 kbar 까지) 하면서 성장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변성작용 동안 압축 변형 방향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NE-SW, NW-SE, N-S 그 다음 E-W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결론적으로 이와 같은 변성작용과 변형작용은 주로 고생대 중기 데본기 동안에 일어났던 아카디안 조산운동으로 특징 지워 지며, 후기 알레게니안 조산운동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판단한다.

  • PDF

Time-relationship between Deformation and Growth of Metamorphic Minerals around the Shinbo Mine, Korea: the Relative Mineralization Time of Uranium Mineralized Zone (신보광산 주변지역에서 변성광물의 성장과 변형작용 사이의 상대적인 시간관계: 우라늄 광화대의 상대적인 광화시기)

  • Kang, Ji-Hoon;Lee, Deok-Se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5 no.4
    • /
    • pp.385-396
    • /
    • 2012
  • The geochemical high-grade uranium anormal zone has been reported in the Shinbo mine and its eastern areas, Jinan-gun, Jeollabuk-do located in the southwestern part of Ogcheon metamorphic zone, Korea. In this paper is reported the time-relationship between deformation and growth of metamorphic minerals in the eastern area of Shinbo mine, which consists of the Precambrian metasedimentary rocks (quartzite, metapelite, metapsammite) and the age-unknown pegmatite and Cretaceous porphyry which intrude them, and is considered the relative mineralization time on the basis of the previous research's result. The D1 deformation formed the straight-type Si internal foliation which is defined mainly as the arrangement of elongate quartz, biotite, opaque mineral in andalusite porphyroblast. The D2 deformation, which is defined by the microfolding of Si foliation, formed S2 crenulation cleavage. It can be divided into two sub-phases, early crenulation and late crenulation. The former occurs as the curvetype Si foliation in the mantle part of andalusite. The latter occurs as S1-2 composite foliation which warps around the andalusite. The andalusite porphyroblast began to grow under non-deformation condition after the formation of S1 folia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straight-type Si foliation. It continued to grow before the late crenulation phase. The age-unknown pegmatite intruded after the D2 deformation and grew the fibrous sillimanite which random masks the S1-2 composite foliation. The D3 deformation formed F3 fold which folded the S1-2 composite foliation, D2 crenulation, fibrous sillimanite. It means that the intrusion of pegmatite related to the growth of the fibrous sillimanite took place during the inter-tectonic phase of D2 and D3 deformations. The retrograde metamorphism is recognized by the chloritization of biotite and two-way cleavage lamellae which is parallel to the S1-2 composite foliation and the F3 fold axial surface in the andalusite porphyroblast. It occurred during the D2 late crenulation phase and D3 deformation. In considering of the previous research's result inferring the most likely candidate for the uranium source rock as pegamatite, it indicates that the age-unknown pegmatite intruded during the inter-tectonic phase of D2 and D3 deformations, i.e. during the retrograde metamorphism related to the uplifting of crust, and formed the uranium ore zone around the Shinbo m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