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염착력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고온숙성에 의한 저급육의 연도개선과 그 이용 (Tenderness Improvement and Utilization of Low Quality Meat by High Temperature Aging)

  • 성삼경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49-555
    • /
    • 1989
  • 저급육인 한우숫소의 앞다리고기를 도살직후 $16{\pm}2^{\circ}C$에서 고온숙성하여 연도개선 효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24시간 고온숙성한 후, 재구성육을 조제하여 결착성 개선방법을 모색하였다. 시료의 처리는 소금(0, 0.5, 1.0%), pyrophosphate(0, 0.3, 0.5%)와 이들의 혼용효과를 검토하였고, 소금(0.5%)과 pyrophosphate(0.3%)를 혼용한 원료에 succinic anhydride(0, 0.1, 0.2, 0.3%)를 첨가하여 석시닐산의 첨가효과를 검토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고온숙성은 저온숙성에 비하여 전단력이 낮았고, 근원섬유소편화지수가 높았으며, 연도개선의 효과가 뛰어났다. 전자현미경에 의한 형태학적 변화의 결과도 이들 결과 일치하였다. 2. 재구성육의 파단응력은 소금과 인산염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높아졌고, 소금과 인산염을 혼용할 경우, 현저히 증가하였다. 3. 조리수율은 소금과 인산염의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낮아졌고, 소금과 인산염을 혼용할 경우,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4. TBA가는 소금 첨가수준에 비례하여 증가하였으며, 인산염 및 인산염과 소금혼용의 경우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5. 석신산은 재구성육의 결착력과 품질개선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았다.

  • PDF

경화중 콘크리트의 염해 침투성능에 관한 연구 (Prediction of chloride penetration into hardening concrete)

  • 번위결;왕소용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5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50-51
    • /
    • 2015
  • In marine and coastal environments, penetration of chloride ions is one of the main mechanisms causing concrete reinforcement corrosion. Currently, most of experimental investigations about submerged penetration of chloride ions are started after the four weeks standard curing of concrete. The further hydration of cement and reduction of chloride diffusivity during submerged penetration period are ignored. To overcome this weak point, this paper presents a numerical procedure to analyze simultaneously cement hydration reaction and chloride ion penetration process. First, using a cement hydration model, degree of hydration and phase volume fractions of hardening concrete are determined. Second, the dependences of chloride diffusivity and chloride binding capacity on age of concrete are clarified. Third, chloride profiles in hardening concrete are calculated. The proposed numerical procedure is verified by using chloride penetration test results of concrete with different mixing proportions.

  • PDF

DTP(Digital Textile Printing)용 후처리 및 연속공정 시스템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Continuous After-Treatment Process and System for DTP(Digital Textile Printing))

  • 박순영;전동원;박윤철;이범수;조항성
    • 패션비즈니스
    • /
    • 제15권5호
    • /
    • pp.43-54
    • /
    • 2011
  • Digital Textile Printing(DTP) is appropriate for quick response system(QRS) and is closely connected with high value added fashion industry. Fashion products of high price are mainly silk and cotton. For high quality DTP products, it is important to optimize the parameters of media, pre and after-treatment, ink, printer, etc. DTP for these two fiber materials is also accompanied certainly with steaming as after-treatment process for coloration. Role of steam is like water in exhaustion dyeing. Steam can diffuse dye or ink in printing paste to fiber. Quality of DTP products depend on after-treatment processes such as steaming, washing, drying. Current production amount of DTP is smaller than one of conventional textile printing. However conventional after-treatment system has been using so far. This is mismatched with DTP in terms of process efficiency, spot work of small lot, quality control. In this study, continuous after-treatment system has been suitably designed for DTP that washing and drying are available after steaming. So, It is possible to improve efficiency of DTP process. Especially, the effects of after-treatment process, such as temperature of heat drum, steaming time on printability, color difference, color fastness were examined. Two types of samples(cotton knit and silk fabrics) were used.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 First, there is no a wide difference between the K/S values of cotton and silk treated with continuous after-treatment system and those of sample treated with conventional printing after-treatment method. So it is more effective to use the continuous after-treatment system than conventional printing after-treatment system in case of the daily throughput of 1,000 yards below. Second, after continuous after-treatment for DTP, K/S values were increased and lightness($L^*$) values were decreased. ${\Delta}E$ values were below 2.3. Third, DTP samples treated with continuous after-treatment system were tested for fastness(washing, light, rubbing). Grades of fastness(washing, light, rubbing) were above 3 grade.

해양세균 Microbulbifer sp. PPB12 생성 천연색소의 섬유 염색 효과 (Dyeing effects of natural pigment from marine bacterium, Microbulbifer sp. PPB12)

  • 이가은;박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27-533
    • /
    • 2017
  • 의류 산업의 발전과 함께 다양한 염료를 이용한 염색 기술이 개발되어 왔다. 최근 합성색소의 인체에 대한 유해성으로 인하여 천연색소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미생물 색소의 개발과 활용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세균 Microbulbifer sp. PPB12 균주가 생산하는 보라색 천연색소를 이용하여 다섬교직포에서 염색 효과와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보라색 색소는 Microbulbifer sp. PPB12 균주를 Marine broth 2216을 이용하여 3일 동안 배양 후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20% 에탄올에 녹인 보라색 색소는 다섬교직포의 면, 아세테이트 특히 나일론에 우수한 염착력을 나타내었고, 최적의 염색조건은 염색온도 $80-90^{\circ}C$, 염색시간 1시간 이상, pH 4-6, 욕비 1:25로 나타났다. 매염처리는 $Na_2SO_4$를 사용하여 염색 10분 후 후매염 처리 하는 것이 색상 발현에 더 적합하였으나 매염제를 처리하지 않은 경우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보라색 색소는 B. subtilis에서 항균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 본 해양 세균 색소는 항균성이 부가된 천연 섬유 염색제로 이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폴리에틸렌 이민과 혼합된 PEO 복합체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에 미치는 실리카 필러 첨가 효과 (Silica Filler Addition Effect on the Ion Conductivity of PEO Composite Electrolytes Blended with Poly(ethylene imine))

  • 김주현;김광만;이영기;정용주;김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4호
    • /
    • pp.465-469
    • /
    • 2011
  • 본 연구는 이온전도도와 계면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PEO, poly(ethylene oxide)와 PEI, poly(ethylenimine)의 블렌드에 무기 필러인 실리카를 첨가한 고분자 전해질을 조사하였다. 리튬염으로 $LiClO_4$를 사용하고 무기 필러로서 실리카($SiO_2$)를 고분자 복합체 전해질에 첨가해서 전해질 응용 가능성 측정을 위해 AC임피던스법을 이용하여 이온전도도를 측정하였다. 임피던스 측정에서 무기 필러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반원의 크기가 점점 감소하는 것은, 이온전도도가 첨가량이 20 wt%가 될 때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첨가량이 20 wt% 이상이 되었을 때는 앞서 측정한 이온전도도와 큰 차이가 없어 무기 필러가 포화 상태가 됨을 알 수 있었다. XRD 분석을 이용하여 PEO의 회절 피크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는데, 무기 필러의 첨가로 인해 결정화도가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전해질 막의 형태학 구조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SEM 분석을 이용하였는데, 실리카 함량이 높을 때, 더 비균일한 형태학적 구조, 즉 실리카가 강한 결착력을 지니는 PEI로 인해 고르게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