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염습의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7초

장흥마씨 출토복식의 특징과 연대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and Dating of Excavated Costume of The Ma Family in JangHeung)

  • 안명숙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9권8호
    • /
    • pp.63-71
    • /
    • 2011
  • The excavated costume of Jangheung Ma's included jeogoris, skirts, and pants, and a jungchimak(중치막), jangot(장옷), cheolrik(철릭), and jikryeong(직령). Most of the items were made of silk and cotton. The clothes for shrouding were plainer than those found in other regions. The method of sewing was mostly broad-stitching, but backstitch, hem tacking and decorative saddle stitching were also used. Unlined clothes were made with on old method of sewing(옛쌈솔), which was used mainly in the early period of the Chosun dynasty. Dating of the excavated costume can be determined by examining the collar of the Korean coat or jacket, the shape and form of sleeve, the size of the sub, and the form of gusset. Straight, diagonal, and broad sleeves were the most commonlyused shapes of sleeve in the middle period of $17^{th}$ century. In the latter period of Chosun, the trend moved towards a single-sub.

낙동강 하구 염습지의 갈대서식 환경 특성 (Environmetal Characteristics of Reed Habitat in Nakdong Estuary Saltmarsh)

  • 류성훈;김경회;이인철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87-19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하구 염습지 생태계 복원 및 조성을 위한 기초적 연구로서, 낙동강 하구 사주섬인 진우도에 서식하는 갈대의 서식환경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저질의 함수량, 입도분포, pH, 영양염 농도($NH_4-N$, $PO_4-P$), 지하수위, 지반고, 갈대 개체수 및 최대 높이 등의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연구대상 지역의 저질 입경 및 함수량이 갈대 서식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pH는 식생대와 비식생대 정점의 차이가 없었고, $NH_4-N$$PO_4-P$ 농도도 정점별 차이가 없었다. 식생대 영역에서 해안선 쪽으로 갈수록 지반고가 낮으며 개체수는 감소하였고, 지하수위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낙동강 하구 염습지의 갈대서식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인자는 지반고와 지하수위가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해안염습지와 사구 염생식물 분포 (Distribution of halophytes in coastal salt marsh and on sand dunes in Korea)

  • 심현보;조원범;최병희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64-276
    • /
    • 2009
  • 본 연구는 한반도산 염생식물 분포를 밝히기 위해 해안 염습지와 사구 95지역을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남한의 해안과 섬지역 등에서 21과 44속 57종 4변종 1품종 등 62 염생식물이 기록되었다. 이 중 33분류군은 사구에 자라며, 나머지 29분류군은 염습지에 자라는 식물이다. 61지역이 조사된 서해안에는 58분류군이 분포하였으며, 이들 중 염습지에서는 나문재, 칠면초, 갈대, 갯잔디, 천일사초가, 사구에서는 수송나물, 갯완두, 갯길경, 갯메꽃이 많이 발견되었다. 한편 15지역이 조사된 남해안에는 서해안 보다 적은 45분류군이 분포하였다. 13지역이 조사된 동해안에는 44분류군이 분포하였으며, 흔히 발견된 식물은 수송나물, 갯완두, 갯메꽃으로 모두 사구식물이다. 해란초는 한반도에서는 동해안에서만 조사되었다. 6 지역이 조사된 제주도에는 30분류군이 분포하였다. 해녀콩은 국내에서는 제주도에서만 발견되었다. 한국산 염생식물 중 약 절반은 12종의 명아주과, 12종의 벼과, 7종의 국화과 등 3과에 속하였다.

새만금 간척지 내 칠면초 개체군의 변화 (Population Changes of Suaeda Japonica in the Saemangeum Reclaimed Land)

  • 김창환;최영은;이남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13-22
    • /
    • 2010
  • 본 연구는 칠면초의 분포역을 결정짓는 개체수의 변화와 성장 변화를 분석하고자 6개 조사역 18 Site에서 2006~2008년의 3년간 개체수 변화, 지상부길이 생장변화, 토양요인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칠면초의 개체수 변화는 간척으로 인한 해수유입의 급격한 감소가 저위 염습지의 수분공급이 원활하지 못한 환경을 조성하여 2008년도 8월 이후에 급격히 감소하는 영향을 나타냈다. 길이 생장변화 역시 강수, 해수유입 감소 등에 의한 탈염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토양요인의 변화에서 칠면초의 개체수 및 길이생장에 $EC_{1:5}dS/m$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새만금 만경강 하구역 갯벌 염습지는 새만금 간척사업으로 인한 해수유입의 급격한 감소와 담수의 유량변화에 따른 수위변동 등의 환경요인에 의하여 간척사업이전 우점종인 칠면초의 분포역과 생장에 큰 영향을 미쳤다.

17세기 여자 출토복식의 일례 - 전남 영암출토 경주이씨( \ulcorner~1684) 분묘의 출토복식을 충심으로 - (A Case Study on a Woman′s Excavated costumes in the 17th century - Based on the excavation of the Mrs. KyungJu Lee gave in Young-am, Chonnam -)

  • 안명숙
    • 복식
    • /
    • 제51권4호
    • /
    • pp.5-14
    • /
    • 2001
  • Excavated costumes at the women's tomb in 17C have been sustained good condition. These materials give us that Jang ui(長衣) and so chang ui(소창의) with chechori(유), skirt, trousers(袴) reflects on women's fashion style at that time. By seeing these costumes, we can get the characteristics of costumes in mid-chosun era with chechori, skirt, jang ui, so chang ui etc. The features of chechori in this area are follows : form - diagonal gil, collar - kalkit and tangkokit, length - about 50cm, materials - silk, cotton, grass-cloth, kind - single, double. clothing padded with cotton wool etc. It is the first time that chang ui, one of Po, is excavated in this area. There are three pieces of jang ui which is significant data to study deeply on the costume in 1700's. Jang ui mainly made of silk in pattern, silk, cotton and decorated stylish printing on the robes. With these material and style, we can induce the mode of mid-chosun period. Through comparative studying we have many chances to understand women's the garment for the dead(염습의) in mid-chosun period.

  • PDF

신득연 묘 출토복식의 과학적 조사와 응급보존 (Scientific Investigation and Emergency Conservation of Costumes Excavated from Sin-deucyeon tomb)

  • 김현정;부혜선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6권
    • /
    • pp.17-29
    • /
    • 2005
  • 출토복식(出土服食)이란 시신이 매장될 때 염습의 등과 함께 부장되는 것으로 발굴이나 이장 시 발견되는 피복류 일체를 말한다. 유물은 시신과 함께 땅속에서 지속적인 열화과정을 거쳤기 때문에 발견 당시 형태가 온전하더라도 매장환경과 다른 새로운 환경으로 인해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미생물 번식이 용이하므로 수습 때부터 적절한 보관과 보존처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최근 급격한 국토개발 등으로 급증하는 출토복식은 인식과 전문처리인 부족으로 응급 보존처리 실시 예가 매우 적다. 이에 출토복식에 대하여 본 실험실에서 실시한 과학적 조사와 응급보존처리를 중심으로 서술하고자 한다.

16세기 여성 복식에 관한 연구 - 남양홍씨 몽남(夢男: $1534{\sim}1574$) 배위 연안김씨 묘 출토복식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Excavated Costumes of Yeon-An Kim Clan, a Wife of Mong-Nam ($1534{\sim}1574$), who Belongs to Nam-yang Hong clan)

  • 송미경
    • 복식
    • /
    • 제57권8호
    • /
    • pp.125-136
    • /
    • 2007
  • This study is about the excavated female shroud while moving the graveyard of Nam-yang Hong clan in Yang-pyeong, Gyeonggi Province to other place. It is acquired as Yeon-An Kim clan who is a wife of one of Nam-yang Hong clan and history is estimated to 16th Century. Significance of this excavated female costumes is, 1) a Dan-ryeong, which is typical costumes during 16C. for woman is excavated. It is embroidered with peacocks shaped badge in fore and backside on a clothes, which is understood as the symbol of highest status but it is considered as much higher than actual status of her husband. from this, we can assume that burial costumes and regulation for actual clothes by the status are not exactly matched. 2) Various form of Chima and Jegori also found in the grave along with a Buddhist banner(幡) printed with Darani(多羅尼) which is unusual in Chosun dynasty, under confucian influence. 3) An embroidered design pillow was collected first time, which make us enable to understand the in-house life style of 16C.